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추억과 역사가 남긴 물건…작품이 되다!
입력 2015.02.20 (06:49) 수정 2015.02.20 (08:06) 뉴스광장 1부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자신만의 소중한 사연이 있는 물건이 한두개 정도는 있는데요.
그게 예술작품으로 새롭게 태어난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평범한 사람들의 사연 있는 물건들이 작품으로 재탄생한 모습 함께 보시죠.
국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구를 20바퀴 돌 정도로 함께했던 택십니다.
그만큼 정이 들었지만 이젠 떠날 시간입니다.
<녹취> 김영귀(택시 운전사) : "절대 시원한 건 하나도 없고 그냥 섭섭, 많이 섭섭..."
폐기된 줄 알았던 택시가 다시 나타났습니다.
<녹취> "이게 뭐야?"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새롭게 탄생한 겁니다.
자동차 안장 시트는 매끈한 여행 가방으로, 장애학교 학생의 통학버스 안전띠는 흑백 사진으로.
모습은 바뀌었지만 사연은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인터뷰> 김혜련(관객) : "한 사람의 인생이 차와 함께 버려지는 게 아니고추억이 영원히 지속될 수 있게.."
<인터뷰> 남종숙(관객) : "우리 옆집 아줌마 얘기일 수도 있잖아요. 얘기를 들었을 때 작품에 대해 더 쉽게 얘기가 되는.."
낡은 첼로와 타자기, 가정집에서 썼던 와인병까지.
한 때 누군가 꼭 필요했거나 아끼던 물건들입니다.
작가가 세계를 돌며 직접 모았습니다.
작품 안에는 사용하던 사람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 변종곤(화가) : "다 사람을 닮았어요. 항상 오브제(재료) 옆에 있을 때 따뜻한 느낌이라든지 여러가지 외로울 때 위로가 되는 것 같아요"
작품이 된 평범한 일상의 물건들, 그 속에 담긴 추억과 역사가 관객들의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국현호입니다.
자신만의 소중한 사연이 있는 물건이 한두개 정도는 있는데요.
그게 예술작품으로 새롭게 태어난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평범한 사람들의 사연 있는 물건들이 작품으로 재탄생한 모습 함께 보시죠.
국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구를 20바퀴 돌 정도로 함께했던 택십니다.
그만큼 정이 들었지만 이젠 떠날 시간입니다.
<녹취> 김영귀(택시 운전사) : "절대 시원한 건 하나도 없고 그냥 섭섭, 많이 섭섭..."
폐기된 줄 알았던 택시가 다시 나타났습니다.
<녹취> "이게 뭐야?"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새롭게 탄생한 겁니다.
자동차 안장 시트는 매끈한 여행 가방으로, 장애학교 학생의 통학버스 안전띠는 흑백 사진으로.
모습은 바뀌었지만 사연은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인터뷰> 김혜련(관객) : "한 사람의 인생이 차와 함께 버려지는 게 아니고추억이 영원히 지속될 수 있게.."
<인터뷰> 남종숙(관객) : "우리 옆집 아줌마 얘기일 수도 있잖아요. 얘기를 들었을 때 작품에 대해 더 쉽게 얘기가 되는.."
낡은 첼로와 타자기, 가정집에서 썼던 와인병까지.
한 때 누군가 꼭 필요했거나 아끼던 물건들입니다.
작가가 세계를 돌며 직접 모았습니다.
작품 안에는 사용하던 사람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 변종곤(화가) : "다 사람을 닮았어요. 항상 오브제(재료) 옆에 있을 때 따뜻한 느낌이라든지 여러가지 외로울 때 위로가 되는 것 같아요"
작품이 된 평범한 일상의 물건들, 그 속에 담긴 추억과 역사가 관객들의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국현호입니다.
- 추억과 역사가 남긴 물건…작품이 되다!
-
- 입력 2015-02-20 06:50:43
- 수정2015-02-20 08:06:33

<앵커 멘트>
자신만의 소중한 사연이 있는 물건이 한두개 정도는 있는데요.
그게 예술작품으로 새롭게 태어난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평범한 사람들의 사연 있는 물건들이 작품으로 재탄생한 모습 함께 보시죠.
국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구를 20바퀴 돌 정도로 함께했던 택십니다.
그만큼 정이 들었지만 이젠 떠날 시간입니다.
<녹취> 김영귀(택시 운전사) : "절대 시원한 건 하나도 없고 그냥 섭섭, 많이 섭섭..."
폐기된 줄 알았던 택시가 다시 나타났습니다.
<녹취> "이게 뭐야?"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새롭게 탄생한 겁니다.
자동차 안장 시트는 매끈한 여행 가방으로, 장애학교 학생의 통학버스 안전띠는 흑백 사진으로.
모습은 바뀌었지만 사연은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인터뷰> 김혜련(관객) : "한 사람의 인생이 차와 함께 버려지는 게 아니고추억이 영원히 지속될 수 있게.."
<인터뷰> 남종숙(관객) : "우리 옆집 아줌마 얘기일 수도 있잖아요. 얘기를 들었을 때 작품에 대해 더 쉽게 얘기가 되는.."
낡은 첼로와 타자기, 가정집에서 썼던 와인병까지.
한 때 누군가 꼭 필요했거나 아끼던 물건들입니다.
작가가 세계를 돌며 직접 모았습니다.
작품 안에는 사용하던 사람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 변종곤(화가) : "다 사람을 닮았어요. 항상 오브제(재료) 옆에 있을 때 따뜻한 느낌이라든지 여러가지 외로울 때 위로가 되는 것 같아요"
작품이 된 평범한 일상의 물건들, 그 속에 담긴 추억과 역사가 관객들의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국현호입니다.
자신만의 소중한 사연이 있는 물건이 한두개 정도는 있는데요.
그게 예술작품으로 새롭게 태어난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평범한 사람들의 사연 있는 물건들이 작품으로 재탄생한 모습 함께 보시죠.
국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구를 20바퀴 돌 정도로 함께했던 택십니다.
그만큼 정이 들었지만 이젠 떠날 시간입니다.
<녹취> 김영귀(택시 운전사) : "절대 시원한 건 하나도 없고 그냥 섭섭, 많이 섭섭..."
폐기된 줄 알았던 택시가 다시 나타났습니다.
<녹취> "이게 뭐야?"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새롭게 탄생한 겁니다.
자동차 안장 시트는 매끈한 여행 가방으로, 장애학교 학생의 통학버스 안전띠는 흑백 사진으로.
모습은 바뀌었지만 사연은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인터뷰> 김혜련(관객) : "한 사람의 인생이 차와 함께 버려지는 게 아니고추억이 영원히 지속될 수 있게.."
<인터뷰> 남종숙(관객) : "우리 옆집 아줌마 얘기일 수도 있잖아요. 얘기를 들었을 때 작품에 대해 더 쉽게 얘기가 되는.."
낡은 첼로와 타자기, 가정집에서 썼던 와인병까지.
한 때 누군가 꼭 필요했거나 아끼던 물건들입니다.
작가가 세계를 돌며 직접 모았습니다.
작품 안에는 사용하던 사람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인터뷰> 변종곤(화가) : "다 사람을 닮았어요. 항상 오브제(재료) 옆에 있을 때 따뜻한 느낌이라든지 여러가지 외로울 때 위로가 되는 것 같아요"
작품이 된 평범한 일상의 물건들, 그 속에 담긴 추억과 역사가 관객들의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국현호입니다.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국현호 기자 eichitwo@kbs.co.kr
국현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