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월급 줄 돈 없어”…‘제2진주의료원’ 될라
입력 2015.03.06 (21:32) 수정 2015.03.06 (22:13) 뉴스9(경인)
<앵커 멘트>
도의료원은 저소득층과 같은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과 각종 의료복지사업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그런데 올해로 설립 60년을 맞은 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이 더 이상 운영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제2의 진주의료원'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
늘 환자가 북적이고, 220여 개 병상은 비는 날이 없습니다.
<인터뷰> 김은례(입원 환자) : "의료비가 반값도 안 돼요. 없는 사람들이 찾을 수밖에 없잖아요."
그런데 어찌된 게 늘 적자입니다.
제약회사엔 약값도 주지 못해, 3년간 51 억 원이 밀렸고, 지난달엔 직원 170여 명에게 임금 한 푼 주지 못했습니다.
월급이 한 달 밀린 건 처음입니다.
<인터뷰> 이선희(의정부 병원 노조지부장) : "카드 대금이나 이런 것들이 연체 돼서 은행에서 계속 독촉전화 오고 앞으로의 미래를 설계할 수 없는 거예요."
전체 환자의 절반이 취약 계층인데, 이들 몫의 진료비를 병원이 대신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환자를 받으면 받을수록 손해인 구조, 지난 5년간 쌓인 손실은 134억 원에 이릅니다.
여기에 외부 지원은 더 줄었습니다.
공공병원의 불가피한 적자, 이른바 '착한 적자'에 대한 경기도 지원금은 지난해 30억에서 올해 15억으로, 반토막났습니다.
정부 역시, 적자를 메워주겠다면서도, 경영 정상화를 조건으로 내걸었습니다.
<인터뷰> 김왕태(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장) : "정상적인 진료가 어려워지고, 제2의 진주의료원이 될 수도 있다는 그런 위기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의정부 병원 직원들의 임금부터 긴급 지원하기로 하고, 조만간 경영 정상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도의료원은 저소득층과 같은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과 각종 의료복지사업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그런데 올해로 설립 60년을 맞은 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이 더 이상 운영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제2의 진주의료원'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
늘 환자가 북적이고, 220여 개 병상은 비는 날이 없습니다.
<인터뷰> 김은례(입원 환자) : "의료비가 반값도 안 돼요. 없는 사람들이 찾을 수밖에 없잖아요."
그런데 어찌된 게 늘 적자입니다.
제약회사엔 약값도 주지 못해, 3년간 51 억 원이 밀렸고, 지난달엔 직원 170여 명에게 임금 한 푼 주지 못했습니다.
월급이 한 달 밀린 건 처음입니다.
<인터뷰> 이선희(의정부 병원 노조지부장) : "카드 대금이나 이런 것들이 연체 돼서 은행에서 계속 독촉전화 오고 앞으로의 미래를 설계할 수 없는 거예요."
전체 환자의 절반이 취약 계층인데, 이들 몫의 진료비를 병원이 대신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환자를 받으면 받을수록 손해인 구조, 지난 5년간 쌓인 손실은 134억 원에 이릅니다.
여기에 외부 지원은 더 줄었습니다.
공공병원의 불가피한 적자, 이른바 '착한 적자'에 대한 경기도 지원금은 지난해 30억에서 올해 15억으로, 반토막났습니다.
정부 역시, 적자를 메워주겠다면서도, 경영 정상화를 조건으로 내걸었습니다.
<인터뷰> 김왕태(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장) : "정상적인 진료가 어려워지고, 제2의 진주의료원이 될 수도 있다는 그런 위기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의정부 병원 직원들의 임금부터 긴급 지원하기로 하고, 조만간 경영 정상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월급 줄 돈 없어”…‘제2진주의료원’ 될라
-
- 입력 2015-03-06 21:34:27
- 수정2015-03-06 22:13:02

<앵커 멘트>
도의료원은 저소득층과 같은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과 각종 의료복지사업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그런데 올해로 설립 60년을 맞은 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이 더 이상 운영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제2의 진주의료원'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
늘 환자가 북적이고, 220여 개 병상은 비는 날이 없습니다.
<인터뷰> 김은례(입원 환자) : "의료비가 반값도 안 돼요. 없는 사람들이 찾을 수밖에 없잖아요."
그런데 어찌된 게 늘 적자입니다.
제약회사엔 약값도 주지 못해, 3년간 51 억 원이 밀렸고, 지난달엔 직원 170여 명에게 임금 한 푼 주지 못했습니다.
월급이 한 달 밀린 건 처음입니다.
<인터뷰> 이선희(의정부 병원 노조지부장) : "카드 대금이나 이런 것들이 연체 돼서 은행에서 계속 독촉전화 오고 앞으로의 미래를 설계할 수 없는 거예요."
전체 환자의 절반이 취약 계층인데, 이들 몫의 진료비를 병원이 대신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환자를 받으면 받을수록 손해인 구조, 지난 5년간 쌓인 손실은 134억 원에 이릅니다.
여기에 외부 지원은 더 줄었습니다.
공공병원의 불가피한 적자, 이른바 '착한 적자'에 대한 경기도 지원금은 지난해 30억에서 올해 15억으로, 반토막났습니다.
정부 역시, 적자를 메워주겠다면서도, 경영 정상화를 조건으로 내걸었습니다.
<인터뷰> 김왕태(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장) : "정상적인 진료가 어려워지고, 제2의 진주의료원이 될 수도 있다는 그런 위기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의정부 병원 직원들의 임금부터 긴급 지원하기로 하고, 조만간 경영 정상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도의료원은 저소득층과 같은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과 각종 의료복지사업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그런데 올해로 설립 60년을 맞은 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이 더 이상 운영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제2의 진주의료원'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
늘 환자가 북적이고, 220여 개 병상은 비는 날이 없습니다.
<인터뷰> 김은례(입원 환자) : "의료비가 반값도 안 돼요. 없는 사람들이 찾을 수밖에 없잖아요."
그런데 어찌된 게 늘 적자입니다.
제약회사엔 약값도 주지 못해, 3년간 51 억 원이 밀렸고, 지난달엔 직원 170여 명에게 임금 한 푼 주지 못했습니다.
월급이 한 달 밀린 건 처음입니다.
<인터뷰> 이선희(의정부 병원 노조지부장) : "카드 대금이나 이런 것들이 연체 돼서 은행에서 계속 독촉전화 오고 앞으로의 미래를 설계할 수 없는 거예요."
전체 환자의 절반이 취약 계층인데, 이들 몫의 진료비를 병원이 대신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환자를 받으면 받을수록 손해인 구조, 지난 5년간 쌓인 손실은 134억 원에 이릅니다.
여기에 외부 지원은 더 줄었습니다.
공공병원의 불가피한 적자, 이른바 '착한 적자'에 대한 경기도 지원금은 지난해 30억에서 올해 15억으로, 반토막났습니다.
정부 역시, 적자를 메워주겠다면서도, 경영 정상화를 조건으로 내걸었습니다.
<인터뷰> 김왕태(경기도의료원 의정부 병원장) : "정상적인 진료가 어려워지고, 제2의 진주의료원이 될 수도 있다는 그런 위기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의정부 병원 직원들의 임금부터 긴급 지원하기로 하고, 조만간 경영 정상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9(경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