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우유 생산량, ‘젖소 도축’에도 늘어
입력 2015.03.08 (06:48) 연합뉴스
우유 생산과잉으로 재고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올해 1분기 우유 생산량이 작년 동기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분기 우유생산량 2013년 동기대비 5.9%나 늘었던 지난해 1분기보다도 최고 3.5% 많은 56만∼56만5천t이 될 전망이다.
지난 1월 하루 평균 생산량은 6천40t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9% 증가했다.
업계는 지난해 연말기준 우유 재고가 전년 대비 150% 많은 23만2천여t까지 치솟자 젖소 도태·자율 감축 등으로 올해 11만3천t가량의 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서울우유 등은 1∼3월 젖소 5천400마리를 도축, 연간 4만6천t의 우유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또 1ℓ당 800원대를 주는 농가 생산쿼터를 줄이고, 쿼터 초과물량에 대해서는 1ℓ당 309∼561원을 지불하던 것을 100∼300원으로 낮추기로 했음에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쿼터가 줄고 값이 싸져도 농가에서는 당분간 생산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설 명절 등의 영향으로 목표치의 40% 정도만 도축된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젖소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증가에 따라 작년동기보다 오히려 0.4∼0.8% 많은 42만9천∼43만1천마리에 이를 전망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2분기 우유생산량이 56만5천~57만t으로 작년 동기의 57만t과 큰차이가 없고 3분기는 돼야 감산정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분기 우유생산량 2013년 동기대비 5.9%나 늘었던 지난해 1분기보다도 최고 3.5% 많은 56만∼56만5천t이 될 전망이다.
지난 1월 하루 평균 생산량은 6천40t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9% 증가했다.
업계는 지난해 연말기준 우유 재고가 전년 대비 150% 많은 23만2천여t까지 치솟자 젖소 도태·자율 감축 등으로 올해 11만3천t가량의 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서울우유 등은 1∼3월 젖소 5천400마리를 도축, 연간 4만6천t의 우유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또 1ℓ당 800원대를 주는 농가 생산쿼터를 줄이고, 쿼터 초과물량에 대해서는 1ℓ당 309∼561원을 지불하던 것을 100∼300원으로 낮추기로 했음에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쿼터가 줄고 값이 싸져도 농가에서는 당분간 생산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설 명절 등의 영향으로 목표치의 40% 정도만 도축된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젖소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증가에 따라 작년동기보다 오히려 0.4∼0.8% 많은 42만9천∼43만1천마리에 이를 전망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2분기 우유생산량이 56만5천~57만t으로 작년 동기의 57만t과 큰차이가 없고 3분기는 돼야 감산정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우유 생산량, ‘젖소 도축’에도 늘어
-
- 입력 2015-03-08 06:48:32
우유 생산과잉으로 재고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올해 1분기 우유 생산량이 작년 동기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분기 우유생산량 2013년 동기대비 5.9%나 늘었던 지난해 1분기보다도 최고 3.5% 많은 56만∼56만5천t이 될 전망이다.
지난 1월 하루 평균 생산량은 6천40t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9% 증가했다.
업계는 지난해 연말기준 우유 재고가 전년 대비 150% 많은 23만2천여t까지 치솟자 젖소 도태·자율 감축 등으로 올해 11만3천t가량의 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서울우유 등은 1∼3월 젖소 5천400마리를 도축, 연간 4만6천t의 우유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또 1ℓ당 800원대를 주는 농가 생산쿼터를 줄이고, 쿼터 초과물량에 대해서는 1ℓ당 309∼561원을 지불하던 것을 100∼300원으로 낮추기로 했음에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쿼터가 줄고 값이 싸져도 농가에서는 당분간 생산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설 명절 등의 영향으로 목표치의 40% 정도만 도축된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젖소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증가에 따라 작년동기보다 오히려 0.4∼0.8% 많은 42만9천∼43만1천마리에 이를 전망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2분기 우유생산량이 56만5천~57만t으로 작년 동기의 57만t과 큰차이가 없고 3분기는 돼야 감산정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분기 우유생산량 2013년 동기대비 5.9%나 늘었던 지난해 1분기보다도 최고 3.5% 많은 56만∼56만5천t이 될 전망이다.
지난 1월 하루 평균 생산량은 6천40t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9% 증가했다.
업계는 지난해 연말기준 우유 재고가 전년 대비 150% 많은 23만2천여t까지 치솟자 젖소 도태·자율 감축 등으로 올해 11만3천t가량의 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서울우유 등은 1∼3월 젖소 5천400마리를 도축, 연간 4만6천t의 우유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또 1ℓ당 800원대를 주는 농가 생산쿼터를 줄이고, 쿼터 초과물량에 대해서는 1ℓ당 309∼561원을 지불하던 것을 100∼300원으로 낮추기로 했음에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쿼터가 줄고 값이 싸져도 농가에서는 당분간 생산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설 명절 등의 영향으로 목표치의 40% 정도만 도축된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젖소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증가에 따라 작년동기보다 오히려 0.4∼0.8% 많은 42만9천∼43만1천마리에 이를 전망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2분기 우유생산량이 56만5천~57만t으로 작년 동기의 57만t과 큰차이가 없고 3분기는 돼야 감산정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기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