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누리과정 예산, 미봉책으론 안돼…빨리 진행”
입력 2015.03.20 (06:39) 수정 2015.03.20 (07:21)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전국 시도교육감들이 정치권이 합의한 누리과정 예산을 앞당겨 집행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당겨쓴 예산마저 다 떨어져 예산이 급한데 더 기다리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도교육감들이 한목소리로 누리과정 지원 예산을 앞당겨 집행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국회는 다음 달 교육청이 누리과정에 쓰도록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고 5604억원을 집행한다고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부족한 예산에 그나마 다른 예산까지 누리과정에 돌려쓴 만큼 국고예산이라도 빨리 집행해 달라는겁니다.
광주교육청이 당장 이번 달 누리과정 예산이 바닥났고 서울과 인천, 강원교육청 등이 다음 달 바닥이 납니다.
<녹취> 장휘국(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장) : "지금이라도 당장 하루속히 집행해달라, 그런 취지죠"
교육감들은 근본적 처방으로 국가 부담을 늘려야 한다고 했습니다.
지방채를 발행하는 것 자체가 교육청이 빚지는 것인데 이미 엄청난 부채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교부금 교부율을 올리는 방식으로라도 지원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교육청 재정 운용이 방만하다는 감사원 감사결과에 대해서도 불편한 심사를 드러냈습니다.
<녹취> 조희연(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부회장) : "지방교육재정감사를 해서 여러가지 여유분이 많다, 긴축할 부분이 많다는 걸 밝히는 방식으로 저희들을 압박하고..."
전국 시도교육감들은 경상남도의 무상급식 중단에 대해선 우려를 표명했지만 공동대응 문제엔 입장차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전국 시도교육감들이 정치권이 합의한 누리과정 예산을 앞당겨 집행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당겨쓴 예산마저 다 떨어져 예산이 급한데 더 기다리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도교육감들이 한목소리로 누리과정 지원 예산을 앞당겨 집행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국회는 다음 달 교육청이 누리과정에 쓰도록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고 5604억원을 집행한다고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부족한 예산에 그나마 다른 예산까지 누리과정에 돌려쓴 만큼 국고예산이라도 빨리 집행해 달라는겁니다.
광주교육청이 당장 이번 달 누리과정 예산이 바닥났고 서울과 인천, 강원교육청 등이 다음 달 바닥이 납니다.
<녹취> 장휘국(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장) : "지금이라도 당장 하루속히 집행해달라, 그런 취지죠"
교육감들은 근본적 처방으로 국가 부담을 늘려야 한다고 했습니다.
지방채를 발행하는 것 자체가 교육청이 빚지는 것인데 이미 엄청난 부채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교부금 교부율을 올리는 방식으로라도 지원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교육청 재정 운용이 방만하다는 감사원 감사결과에 대해서도 불편한 심사를 드러냈습니다.
<녹취> 조희연(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부회장) : "지방교육재정감사를 해서 여러가지 여유분이 많다, 긴축할 부분이 많다는 걸 밝히는 방식으로 저희들을 압박하고..."
전국 시도교육감들은 경상남도의 무상급식 중단에 대해선 우려를 표명했지만 공동대응 문제엔 입장차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 “누리과정 예산, 미봉책으론 안돼…빨리 진행”
-
- 입력 2015-03-20 06:40:27
- 수정2015-03-20 07:21:00

<앵커 멘트>
전국 시도교육감들이 정치권이 합의한 누리과정 예산을 앞당겨 집행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당겨쓴 예산마저 다 떨어져 예산이 급한데 더 기다리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도교육감들이 한목소리로 누리과정 지원 예산을 앞당겨 집행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국회는 다음 달 교육청이 누리과정에 쓰도록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고 5604억원을 집행한다고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부족한 예산에 그나마 다른 예산까지 누리과정에 돌려쓴 만큼 국고예산이라도 빨리 집행해 달라는겁니다.
광주교육청이 당장 이번 달 누리과정 예산이 바닥났고 서울과 인천, 강원교육청 등이 다음 달 바닥이 납니다.
<녹취> 장휘국(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장) : "지금이라도 당장 하루속히 집행해달라, 그런 취지죠"
교육감들은 근본적 처방으로 국가 부담을 늘려야 한다고 했습니다.
지방채를 발행하는 것 자체가 교육청이 빚지는 것인데 이미 엄청난 부채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교부금 교부율을 올리는 방식으로라도 지원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교육청 재정 운용이 방만하다는 감사원 감사결과에 대해서도 불편한 심사를 드러냈습니다.
<녹취> 조희연(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부회장) : "지방교육재정감사를 해서 여러가지 여유분이 많다, 긴축할 부분이 많다는 걸 밝히는 방식으로 저희들을 압박하고..."
전국 시도교육감들은 경상남도의 무상급식 중단에 대해선 우려를 표명했지만 공동대응 문제엔 입장차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전국 시도교육감들이 정치권이 합의한 누리과정 예산을 앞당겨 집행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당겨쓴 예산마저 다 떨어져 예산이 급한데 더 기다리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도교육감들이 한목소리로 누리과정 지원 예산을 앞당겨 집행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국회는 다음 달 교육청이 누리과정에 쓰도록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고 5604억원을 집행한다고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부족한 예산에 그나마 다른 예산까지 누리과정에 돌려쓴 만큼 국고예산이라도 빨리 집행해 달라는겁니다.
광주교육청이 당장 이번 달 누리과정 예산이 바닥났고 서울과 인천, 강원교육청 등이 다음 달 바닥이 납니다.
<녹취> 장휘국(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장) : "지금이라도 당장 하루속히 집행해달라, 그런 취지죠"
교육감들은 근본적 처방으로 국가 부담을 늘려야 한다고 했습니다.
지방채를 발행하는 것 자체가 교육청이 빚지는 것인데 이미 엄청난 부채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교부금 교부율을 올리는 방식으로라도 지원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교육청 재정 운용이 방만하다는 감사원 감사결과에 대해서도 불편한 심사를 드러냈습니다.
<녹취> 조희연(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부회장) : "지방교육재정감사를 해서 여러가지 여유분이 많다, 긴축할 부분이 많다는 걸 밝히는 방식으로 저희들을 압박하고..."
전국 시도교육감들은 경상남도의 무상급식 중단에 대해선 우려를 표명했지만 공동대응 문제엔 입장차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우정화 기자 jhw01@kbs.co.kr
우정화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