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세월호 의인 김동수 씨 자해…“해결된 게 없는데”
입력 2015.03.20 (21:34) 수정 2015.03.20 (22:03) 뉴스9(경인)
<앵커 멘트>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학생 10여 명을 구조했던 화물차 운전기사 김동수 씨가 어제 저녁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사고 1년이 다 되도록 김 씨는 경제적 정신적인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하는 갑판에서 파란 바지를 입은 남성이 힘겹게 소방 호스를 당깁니다.
10명이 넘는 학생을 살려내 화제를 모았던 화물차 기사 김동수 씨입니다.
김 씨가 사고 열 한 달 만에 집에서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가족 신고로 겨우 목숨을 건졌지만 안산 트라우마센터에서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입니다.
<인터뷰> 김동수(세월호 사고 생존자) : "손은 계속 아파져 오는데 쓸모없는 손으로 무엇 하겠느냐 생활고도 해결된 게 없는데(그런 심정이었죠.)"
육체적 후유증에다 살려달라는 학생들의 환청까지, 무엇보다 큰 고통은 왜 잊지 못하느냐는 주변 시선입니다.
<인터뷰> 김동수(세월호 사고 생존자) : "세월호 문제가 다 해결된 것 같지만 지금 아무것도 안 됐는데. 국민들은 안전을 어떻게 믿습니까?"
김 씨처럼 세월호 사고에서 생존한 제주지역 화물차 기사만 22명이나 됩니다.
일주일에 두 번 있는 정신적 치료뿐, 생계비 지원까지 끊겨 경제적 고통까지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지언(제주도 세월호피해상담소장) :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과정이 너무나 오래 걸리고 잘 진행되지 않는 점들도 이분들을 좌절하게 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의인의 충격적인 자해는 세월호 사고 1주기를 앞둔 우리 사회의 씁쓸한 자화상을 보는 듯합니다.
KBS 뉴스 강정훈입니다.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학생 10여 명을 구조했던 화물차 운전기사 김동수 씨가 어제 저녁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사고 1년이 다 되도록 김 씨는 경제적 정신적인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하는 갑판에서 파란 바지를 입은 남성이 힘겹게 소방 호스를 당깁니다.
10명이 넘는 학생을 살려내 화제를 모았던 화물차 기사 김동수 씨입니다.
김 씨가 사고 열 한 달 만에 집에서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가족 신고로 겨우 목숨을 건졌지만 안산 트라우마센터에서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입니다.
<인터뷰> 김동수(세월호 사고 생존자) : "손은 계속 아파져 오는데 쓸모없는 손으로 무엇 하겠느냐 생활고도 해결된 게 없는데(그런 심정이었죠.)"
육체적 후유증에다 살려달라는 학생들의 환청까지, 무엇보다 큰 고통은 왜 잊지 못하느냐는 주변 시선입니다.
<인터뷰> 김동수(세월호 사고 생존자) : "세월호 문제가 다 해결된 것 같지만 지금 아무것도 안 됐는데. 국민들은 안전을 어떻게 믿습니까?"
김 씨처럼 세월호 사고에서 생존한 제주지역 화물차 기사만 22명이나 됩니다.
일주일에 두 번 있는 정신적 치료뿐, 생계비 지원까지 끊겨 경제적 고통까지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지언(제주도 세월호피해상담소장) :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과정이 너무나 오래 걸리고 잘 진행되지 않는 점들도 이분들을 좌절하게 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의인의 충격적인 자해는 세월호 사고 1주기를 앞둔 우리 사회의 씁쓸한 자화상을 보는 듯합니다.
KBS 뉴스 강정훈입니다.
- 세월호 의인 김동수 씨 자해…“해결된 게 없는데”
-
- 입력 2015-03-20 21:53:34
- 수정2015-03-20 22:03:09

<앵커 멘트>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학생 10여 명을 구조했던 화물차 운전기사 김동수 씨가 어제 저녁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사고 1년이 다 되도록 김 씨는 경제적 정신적인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하는 갑판에서 파란 바지를 입은 남성이 힘겹게 소방 호스를 당깁니다.
10명이 넘는 학생을 살려내 화제를 모았던 화물차 기사 김동수 씨입니다.
김 씨가 사고 열 한 달 만에 집에서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가족 신고로 겨우 목숨을 건졌지만 안산 트라우마센터에서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입니다.
<인터뷰> 김동수(세월호 사고 생존자) : "손은 계속 아파져 오는데 쓸모없는 손으로 무엇 하겠느냐 생활고도 해결된 게 없는데(그런 심정이었죠.)"
육체적 후유증에다 살려달라는 학생들의 환청까지, 무엇보다 큰 고통은 왜 잊지 못하느냐는 주변 시선입니다.
<인터뷰> 김동수(세월호 사고 생존자) : "세월호 문제가 다 해결된 것 같지만 지금 아무것도 안 됐는데. 국민들은 안전을 어떻게 믿습니까?"
김 씨처럼 세월호 사고에서 생존한 제주지역 화물차 기사만 22명이나 됩니다.
일주일에 두 번 있는 정신적 치료뿐, 생계비 지원까지 끊겨 경제적 고통까지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지언(제주도 세월호피해상담소장) :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과정이 너무나 오래 걸리고 잘 진행되지 않는 점들도 이분들을 좌절하게 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의인의 충격적인 자해는 세월호 사고 1주기를 앞둔 우리 사회의 씁쓸한 자화상을 보는 듯합니다.
KBS 뉴스 강정훈입니다.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학생 10여 명을 구조했던 화물차 운전기사 김동수 씨가 어제 저녁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사고 1년이 다 되도록 김 씨는 경제적 정신적인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하는 갑판에서 파란 바지를 입은 남성이 힘겹게 소방 호스를 당깁니다.
10명이 넘는 학생을 살려내 화제를 모았던 화물차 기사 김동수 씨입니다.
김 씨가 사고 열 한 달 만에 집에서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가족 신고로 겨우 목숨을 건졌지만 안산 트라우마센터에서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입니다.
<인터뷰> 김동수(세월호 사고 생존자) : "손은 계속 아파져 오는데 쓸모없는 손으로 무엇 하겠느냐 생활고도 해결된 게 없는데(그런 심정이었죠.)"
육체적 후유증에다 살려달라는 학생들의 환청까지, 무엇보다 큰 고통은 왜 잊지 못하느냐는 주변 시선입니다.
<인터뷰> 김동수(세월호 사고 생존자) : "세월호 문제가 다 해결된 것 같지만 지금 아무것도 안 됐는데. 국민들은 안전을 어떻게 믿습니까?"
김 씨처럼 세월호 사고에서 생존한 제주지역 화물차 기사만 22명이나 됩니다.
일주일에 두 번 있는 정신적 치료뿐, 생계비 지원까지 끊겨 경제적 고통까지 겪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지언(제주도 세월호피해상담소장) :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과정이 너무나 오래 걸리고 잘 진행되지 않는 점들도 이분들을 좌절하게 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의인의 충격적인 자해는 세월호 사고 1주기를 앞둔 우리 사회의 씁쓸한 자화상을 보는 듯합니다.
KBS 뉴스 강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경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강정훈 기자 dagajew@kbs.co.kr
강정훈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