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경제] “그 손해사정사가 보험사 소속이라구?”
입력 2015.03.23 (14:07)
수정 2015.03.23 (14: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방송일시 : 2015년 3월 23일(월요일)
Q. 박영진 & 김영희
김영희 : "아이고, 큰일날 뻔 했네."
박영진 : "또 무슨 일이야. 김영희 씨."
김영희 : "내가 사고를 냈거든요. 자동차 사고.."
박영진 : "내가 첫째도 안전운전, 둘째도 안전운전이라고 했어. 안했어! 이렇게 조심성이 없어가지고."
.jpg)
김영희 : "그런데 보험사에서 나온 손해사정사 분이 친절하게 보험금을 산정해 준다고.. 해서.."
박영진 : "손해사정사는 보험사 편이잖아."
김영희 : "에이~ 보험사 편인 사람이 왜 보험금을 산정해줘요. 그럼 안되잖아요."
박영진 : "무슨 소리야. 아예 보험사 직원이야. 이 사람아."
김영희 : "그럼 당연히 보험사 편일텐데. 앙돼요. 그러면 보험금도 조금밖에 못받는 거 아니에요?"
박영진 : "그래서 어쩌겠다고. 소송이라도 할거야. 어쩔거야."
김영희 : "김기자님. 어떻게 해요~ 소송이라도 해야해요?"
A. 김기자
그 전에 보험사가 소송할지도 몰라요... 가입자가 금감원이나 이런데 문제제기를 하기 전에 먼저 소장이 날아오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보험사가 먼저 소송을 제기한 경우가 1년 전보다 76%나 늘었고 동부화재가 제일 많았고요 메리츠 화재의 경우 한해 동안 소송이 9배나 늘었습니다.
.jpg)
소장이 날아오면 그것도 업무방해 이런 거로 날아오면 고객은 일단 화도 나지만 무섭죠
이런 저런 소송비용까지 따져보니 그냥 조정하는 게 낫겠다.. 보험사는 이런 심리를 잘 압니다. 그래서 끝까지 소송할만한, 있는 사람한테는 또 소송을 잘 안겁니다.
.jpg)
이 보험금이 얼마가 적당할까 손해사정사가 이걸 판단하는데 그 손해액을 결정하고 적정 보험금을 계산하는데 대부분 보험사 소속이거든요 그러니 아무래도 보험사 입장에서 결정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독립적으로 일하는, 보험사에 속하지 않은 손해사정사를 통해 도움을 받는 분들도 많습니다. 암보험금이라든지 실손보험금 같은 보험금 산정을 도와줍니다.
그러니까 구조적으로 보험사 소속 손해사정사는 보험금을 조금이라도 덜 받게 하려고 하고 독립 손해사정사는 보험금을 조금이라도 더 받게 하려고 하죠
그런데 이 과정에서 독립 손해사정사가 이 경우 암보험금은 1억2천만원도 가능해 보입니다. 자세히 협상에 응하면 이게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의견만 제시해야 하거든요 그래서 보험회사는 또 이런 걸 트집 잡아 독립 손해사정사를 압박하기도 하고 그럽니다.
그래서 독립 손해사정사가 보험사와 동등한 위치에서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쉽지는 않습니다.
<똑똑한 경제>오늘은 급증하는 보험사 소송과 관련 손해사정사의 역할 살펴봤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똑똑한 경제] “그 손해사정사가 보험사 소속이라구?”
-
- 입력 2015-03-23 14:07:11
- 수정2015-03-23 14:07:54

□ 방송일시 : 2015년 3월 23일(월요일)
Q. 박영진 & 김영희
김영희 : "아이고, 큰일날 뻔 했네."
박영진 : "또 무슨 일이야. 김영희 씨."
김영희 : "내가 사고를 냈거든요. 자동차 사고.."
박영진 : "내가 첫째도 안전운전, 둘째도 안전운전이라고 했어. 안했어! 이렇게 조심성이 없어가지고."
.jpg)
김영희 : "그런데 보험사에서 나온 손해사정사 분이 친절하게 보험금을 산정해 준다고.. 해서.."
박영진 : "손해사정사는 보험사 편이잖아."
김영희 : "에이~ 보험사 편인 사람이 왜 보험금을 산정해줘요. 그럼 안되잖아요."
박영진 : "무슨 소리야. 아예 보험사 직원이야. 이 사람아."
김영희 : "그럼 당연히 보험사 편일텐데. 앙돼요. 그러면 보험금도 조금밖에 못받는 거 아니에요?"
박영진 : "그래서 어쩌겠다고. 소송이라도 할거야. 어쩔거야."
김영희 : "김기자님. 어떻게 해요~ 소송이라도 해야해요?"
A. 김기자
그 전에 보험사가 소송할지도 몰라요... 가입자가 금감원이나 이런데 문제제기를 하기 전에 먼저 소장이 날아오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보험사가 먼저 소송을 제기한 경우가 1년 전보다 76%나 늘었고 동부화재가 제일 많았고요 메리츠 화재의 경우 한해 동안 소송이 9배나 늘었습니다.
.jpg)
소장이 날아오면 그것도 업무방해 이런 거로 날아오면 고객은 일단 화도 나지만 무섭죠
이런 저런 소송비용까지 따져보니 그냥 조정하는 게 낫겠다.. 보험사는 이런 심리를 잘 압니다. 그래서 끝까지 소송할만한, 있는 사람한테는 또 소송을 잘 안겁니다.
.jpg)
이 보험금이 얼마가 적당할까 손해사정사가 이걸 판단하는데 그 손해액을 결정하고 적정 보험금을 계산하는데 대부분 보험사 소속이거든요 그러니 아무래도 보험사 입장에서 결정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독립적으로 일하는, 보험사에 속하지 않은 손해사정사를 통해 도움을 받는 분들도 많습니다. 암보험금이라든지 실손보험금 같은 보험금 산정을 도와줍니다.
그러니까 구조적으로 보험사 소속 손해사정사는 보험금을 조금이라도 덜 받게 하려고 하고 독립 손해사정사는 보험금을 조금이라도 더 받게 하려고 하죠
그런데 이 과정에서 독립 손해사정사가 이 경우 암보험금은 1억2천만원도 가능해 보입니다. 자세히 협상에 응하면 이게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의견만 제시해야 하거든요 그래서 보험회사는 또 이런 걸 트집 잡아 독립 손해사정사를 압박하기도 하고 그럽니다.
그래서 독립 손해사정사가 보험사와 동등한 위치에서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쉽지는 않습니다.
<똑똑한 경제>오늘은 급증하는 보험사 소송과 관련 손해사정사의 역할 살펴봤습니다.
-
-
김원장 기자 kim9@kbs.co.kr
김원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