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경제] 재개발조합 vs 지역주택조합 뭐가 달라?
입력 2015.05.13 (11:10)
수정 2015.05.25 (16: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공예감 김원장입니다. [김기자의 똑똑한 경제]
□ 방송일시 : 2015년 5월 13일(수요일)
□ 방송일시 : 2015년 5월 13일(수요일)
■ 추성훈 성대모사
안녕하세요. 저 사랑이 아빠, 추성훈이에요. 요새 보니까. 다들 새 아파트를 사는 분위기라서 우리 가족도 이참에 아파트를 하나 마련해 보려고하는데요. 뭐더라..아, 지역조합아파트?? 이거 어때요? 이거로 하면 아파트가 좀 저렴하다고 해서요. 근데 왜 지역조합아파트는 분양가가 더 싸다고 해요? 어차피 똑같은 콘크리트 아파트 잖아요? 그리고 사랑이랑 kbs뉴스 보다가 들은 건데 같은 땅에 주택조합 두 개가 만들어져 가지고.. 그래서 조합원들이 돈을 날리게 됐다.... 이런 보도를 하던데 이게 말이나 돼요? 어떻게 같은 땅에 조합이 두 개나 된다는 거예요.. 허이구. 이거 불안해지네.. 김기자, 지역주택조합 그냥 포기할까요?
.jpg)
A. 김기자
보통 재개발조합은 땅을 갖고 있는 주민들이 합의를 해서 여기에 아파트를 새로 짓자 이런 식이죠. 그런데 지역 주택조합은 조합원을 모아서 – 20명 이상 모아서 땅을 사들이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건설사를 선정해서 아파트를 짓죠. 일종의 아파트 지을 땅 공동구매입니다. 여기 땅을 사서 아파트 지을 사람 모여라~
작은 규모의 아파트를 빨리 모여서 빨리 땅 사고 빨리 지어서 저렴하게 입주하는 겁니다. 전국에 지역주택조합이 지금도 수십여 곳이 있습니다. 문제는 땅을 사들이는 기간이 자꾸 길어진다든지 80% 이상 땅을 사야 조합승인이 나고 땅의 95%를 사 모아야 아파트 사업승인이 나는데 이게 지지부진하면 비용이 늘어나겠죠...처음에 한 천만 원 정도 업무추진비도 거둬서 하는데 이 돈도 다 써버리고, 대출받아 초기투자했는데 조합원 한 50명이 모여서 토지 매입이 자꾸 안 되고 땅값도 자꾸 올라가고...
그래서 조합원이 “저는 포기할래요” 하면 또 다른 조합원 모아야죠 이 조합원은 물론 처음에 낸 업무추진비 같은 거 날린거구요...이런 단점이 있습니다. 여기에, 다른 재건축이나 재개발사업처럼 뒤늦게 추가분담금 문제도 여전히 걸림돌입니다. 아니 처음엔 2억 내라더니...사업하면서 2억 5천만원을 내라고 하면 어떡하느냐 이런 분쟁 가능성도 마찬가지구요
얼마 전 저희 KBS뉴스에서 보도된 '땅은 하나인데 지역주택조합은 2개'인 경우는 서로 양쪽의 지역 주택조합 추진위가 땅 하나를 두고 조합설립을 시도한 거죠. 당연히 땅을 차지하지 못한 조합원들은 사업 추진에 들어간 돈만 날리는 거죠. 지역주택조합은 따라서 신속하게 땅을 사들이고 사업추진을 빨리 하는데 관건입니다.
<똑똑한 경제> 오늘은 재건축 재개발 조합 말고 지역주민들이 모여 땅을 사들이고 아파트를 짓는 지역 조합아파트 살펴봤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똑똑한 경제] 재개발조합 vs 지역주택조합 뭐가 달라?
-
- 입력 2015-05-13 11:10:57
- 수정2015-05-25 16:16:30

성공예감 김원장입니다. [김기자의 똑똑한 경제]
□ 방송일시 : 2015년 5월 13일(수요일)
□ 방송일시 : 2015년 5월 13일(수요일)
■ 추성훈 성대모사
안녕하세요. 저 사랑이 아빠, 추성훈이에요. 요새 보니까. 다들 새 아파트를 사는 분위기라서 우리 가족도 이참에 아파트를 하나 마련해 보려고하는데요. 뭐더라..아, 지역조합아파트?? 이거 어때요? 이거로 하면 아파트가 좀 저렴하다고 해서요. 근데 왜 지역조합아파트는 분양가가 더 싸다고 해요? 어차피 똑같은 콘크리트 아파트 잖아요? 그리고 사랑이랑 kbs뉴스 보다가 들은 건데 같은 땅에 주택조합 두 개가 만들어져 가지고.. 그래서 조합원들이 돈을 날리게 됐다.... 이런 보도를 하던데 이게 말이나 돼요? 어떻게 같은 땅에 조합이 두 개나 된다는 거예요.. 허이구. 이거 불안해지네.. 김기자, 지역주택조합 그냥 포기할까요?
.jpg)
A. 김기자
보통 재개발조합은 땅을 갖고 있는 주민들이 합의를 해서 여기에 아파트를 새로 짓자 이런 식이죠. 그런데 지역 주택조합은 조합원을 모아서 – 20명 이상 모아서 땅을 사들이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건설사를 선정해서 아파트를 짓죠. 일종의 아파트 지을 땅 공동구매입니다. 여기 땅을 사서 아파트 지을 사람 모여라~
작은 규모의 아파트를 빨리 모여서 빨리 땅 사고 빨리 지어서 저렴하게 입주하는 겁니다. 전국에 지역주택조합이 지금도 수십여 곳이 있습니다. 문제는 땅을 사들이는 기간이 자꾸 길어진다든지 80% 이상 땅을 사야 조합승인이 나고 땅의 95%를 사 모아야 아파트 사업승인이 나는데 이게 지지부진하면 비용이 늘어나겠죠...처음에 한 천만 원 정도 업무추진비도 거둬서 하는데 이 돈도 다 써버리고, 대출받아 초기투자했는데 조합원 한 50명이 모여서 토지 매입이 자꾸 안 되고 땅값도 자꾸 올라가고...
그래서 조합원이 “저는 포기할래요” 하면 또 다른 조합원 모아야죠 이 조합원은 물론 처음에 낸 업무추진비 같은 거 날린거구요...이런 단점이 있습니다. 여기에, 다른 재건축이나 재개발사업처럼 뒤늦게 추가분담금 문제도 여전히 걸림돌입니다. 아니 처음엔 2억 내라더니...사업하면서 2억 5천만원을 내라고 하면 어떡하느냐 이런 분쟁 가능성도 마찬가지구요
얼마 전 저희 KBS뉴스에서 보도된 '땅은 하나인데 지역주택조합은 2개'인 경우는 서로 양쪽의 지역 주택조합 추진위가 땅 하나를 두고 조합설립을 시도한 거죠. 당연히 땅을 차지하지 못한 조합원들은 사업 추진에 들어간 돈만 날리는 거죠. 지역주택조합은 따라서 신속하게 땅을 사들이고 사업추진을 빨리 하는데 관건입니다.
<똑똑한 경제> 오늘은 재건축 재개발 조합 말고 지역주민들이 모여 땅을 사들이고 아파트를 짓는 지역 조합아파트 살펴봤습니다.
-
-
김원장 기자 kim9@kbs.co.kr
김원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