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국내에서도 메르스 환자 발생
입력 2015.05.22 (07:34)
수정 2015.05.23 (08: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엄중식 객원 해설위원]
이번엔 중동호흡기 증후군이 문젭니다. 중동 지역에서 유행하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이른바 ‘메르스’라는 호흡기 감염병에 걸린 환자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환자와 같은 병실을 사용했던 사람도 비슷한 증세를 보여 격리 중이고 의료진 역시 격리됐습니다.
메르스, 즉 중동호흡기증후군은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전염병입니다. 2003년 유행했던 사스처럼 코로나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38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 설사가 동반될 수도 있고 만성 질환이 있거나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급성 신부전이나 폐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천 백여 명이 감염돼 460여 명이 숨졌습니다. 치사율이 40%정도로 사스의 3배나 됩니다. 감염경로가 아직 분명하진 않지만 중동에 살거나 머물렀던 사람들에게만 발병하는 풍토병으로 보입니다. 중동에서 낙타나 박쥐 등을 접촉하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메르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도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메르스가 우리나라에서 확진된 과정에서 병원 측의 진료는 문제였습니다. 메르스 확진을 받기까지 병원 3군데를 다녀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접촉한 의료진이 서른 명 가까이 됩니다. 미국에서도 의료진이 감염된 경우가 있습니다. 같은 병실에 있던 70대 환자역시 어제 메르스로 확진 되었습니다. 메르스가 긴밀하게 접촉하지 않는 한 인플루엔자나 감기처럼 쉽게 감염되지는 않으나 호흡기 질환 예방 수칙을 잘 지켜야 합니다.
당국은 중동으로부터 입국하는 우리 국민이나 외국인에 대한 일차 방역체계를 강화하고, 또 환자와의 접촉으로 인한 이차 전파를 철저히 감시하고 차단해야 할 것입니다. 지구촌 시대, 외국의 질병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방역체계를 더 한층 강화해야 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번엔 중동호흡기 증후군이 문젭니다. 중동 지역에서 유행하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이른바 ‘메르스’라는 호흡기 감염병에 걸린 환자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환자와 같은 병실을 사용했던 사람도 비슷한 증세를 보여 격리 중이고 의료진 역시 격리됐습니다.
메르스, 즉 중동호흡기증후군은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전염병입니다. 2003년 유행했던 사스처럼 코로나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38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 설사가 동반될 수도 있고 만성 질환이 있거나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급성 신부전이나 폐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천 백여 명이 감염돼 460여 명이 숨졌습니다. 치사율이 40%정도로 사스의 3배나 됩니다. 감염경로가 아직 분명하진 않지만 중동에 살거나 머물렀던 사람들에게만 발병하는 풍토병으로 보입니다. 중동에서 낙타나 박쥐 등을 접촉하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메르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도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메르스가 우리나라에서 확진된 과정에서 병원 측의 진료는 문제였습니다. 메르스 확진을 받기까지 병원 3군데를 다녀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접촉한 의료진이 서른 명 가까이 됩니다. 미국에서도 의료진이 감염된 경우가 있습니다. 같은 병실에 있던 70대 환자역시 어제 메르스로 확진 되었습니다. 메르스가 긴밀하게 접촉하지 않는 한 인플루엔자나 감기처럼 쉽게 감염되지는 않으나 호흡기 질환 예방 수칙을 잘 지켜야 합니다.
당국은 중동으로부터 입국하는 우리 국민이나 외국인에 대한 일차 방역체계를 강화하고, 또 환자와의 접촉으로 인한 이차 전파를 철저히 감시하고 차단해야 할 것입니다. 지구촌 시대, 외국의 질병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방역체계를 더 한층 강화해야 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국내에서도 메르스 환자 발생
-
- 입력 2015-05-22 07:39:58
- 수정2015-05-23 08:09:24

[엄중식 객원 해설위원]
이번엔 중동호흡기 증후군이 문젭니다. 중동 지역에서 유행하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이른바 ‘메르스’라는 호흡기 감염병에 걸린 환자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환자와 같은 병실을 사용했던 사람도 비슷한 증세를 보여 격리 중이고 의료진 역시 격리됐습니다.
메르스, 즉 중동호흡기증후군은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전염병입니다. 2003년 유행했던 사스처럼 코로나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38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 설사가 동반될 수도 있고 만성 질환이 있거나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급성 신부전이나 폐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천 백여 명이 감염돼 460여 명이 숨졌습니다. 치사율이 40%정도로 사스의 3배나 됩니다. 감염경로가 아직 분명하진 않지만 중동에 살거나 머물렀던 사람들에게만 발병하는 풍토병으로 보입니다. 중동에서 낙타나 박쥐 등을 접촉하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메르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도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메르스가 우리나라에서 확진된 과정에서 병원 측의 진료는 문제였습니다. 메르스 확진을 받기까지 병원 3군데를 다녀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접촉한 의료진이 서른 명 가까이 됩니다. 미국에서도 의료진이 감염된 경우가 있습니다. 같은 병실에 있던 70대 환자역시 어제 메르스로 확진 되었습니다. 메르스가 긴밀하게 접촉하지 않는 한 인플루엔자나 감기처럼 쉽게 감염되지는 않으나 호흡기 질환 예방 수칙을 잘 지켜야 합니다.
당국은 중동으로부터 입국하는 우리 국민이나 외국인에 대한 일차 방역체계를 강화하고, 또 환자와의 접촉으로 인한 이차 전파를 철저히 감시하고 차단해야 할 것입니다. 지구촌 시대, 외국의 질병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방역체계를 더 한층 강화해야 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번엔 중동호흡기 증후군이 문젭니다. 중동 지역에서 유행하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이른바 ‘메르스’라는 호흡기 감염병에 걸린 환자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환자와 같은 병실을 사용했던 사람도 비슷한 증세를 보여 격리 중이고 의료진 역시 격리됐습니다.
메르스, 즉 중동호흡기증후군은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전염병입니다. 2003년 유행했던 사스처럼 코로나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38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 설사가 동반될 수도 있고 만성 질환이 있거나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급성 신부전이나 폐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천 백여 명이 감염돼 460여 명이 숨졌습니다. 치사율이 40%정도로 사스의 3배나 됩니다. 감염경로가 아직 분명하진 않지만 중동에 살거나 머물렀던 사람들에게만 발병하는 풍토병으로 보입니다. 중동에서 낙타나 박쥐 등을 접촉하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메르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도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메르스가 우리나라에서 확진된 과정에서 병원 측의 진료는 문제였습니다. 메르스 확진을 받기까지 병원 3군데를 다녀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접촉한 의료진이 서른 명 가까이 됩니다. 미국에서도 의료진이 감염된 경우가 있습니다. 같은 병실에 있던 70대 환자역시 어제 메르스로 확진 되었습니다. 메르스가 긴밀하게 접촉하지 않는 한 인플루엔자나 감기처럼 쉽게 감염되지는 않으나 호흡기 질환 예방 수칙을 잘 지켜야 합니다.
당국은 중동으로부터 입국하는 우리 국민이나 외국인에 대한 일차 방역체계를 강화하고, 또 환자와의 접촉으로 인한 이차 전파를 철저히 감시하고 차단해야 할 것입니다. 지구촌 시대, 외국의 질병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방역체계를 더 한층 강화해야 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