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퍼] “미세먼지 얼마나 심한지 몰라요” 측정소 없는 기초단체 69곳

입력 2015.06.23 (15:23) 수정 2015.08.17 (14: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화가 심해지고 중국발 오염물질까지 날아오면서 미세먼지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전국의 기초단체 가운데 3분의 1 정도는 대기오염 측정소가 1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데이터 저널리즘팀이 정보공개청구 등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 태백시와 충북 보은군, 충남 계룡시, 전남 나주시, 경북 문경시 등 전국 69개 기초단체에는 대기오염 측정소가 1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 대기오염 측정소가 없는 기초단체는 지역 내 미세먼지 농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광역 평균치를 쓰거나 대기오염 측정소가 있는 이웃 자치단체 측정값을 빌려 쓸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URL : http://dj.kbs.co.kr/resources/2015-06-23/

대기오염측정소가 없는 충남 논산시의 관계자는 지역 주민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면에서 지역 내에 대기오염 측정소가 있으면 좋겠지만, 예산과 인력 문제 등으로 측정소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논산시 관계자는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자체 대기오염 측정소 설치에 1억 3천만 원 정도가 들고 또 측정소를 설치하면 해마다 2천만 원이나 3천만 원 정도의 관리, 운영 비용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부연 설명했습니다.

논산시 관계자는 자체 측정소가 없기 때문에 1년에 한 두 차례 정도 충남보건환경연구원에 요청해 이동식 대기오염 측정 차량으로 시의 미세먼지 농도 등을 알아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동식 대기오염 측정 차량은 시가 요청한다고 해서 바로 오는 것도 아니기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고 털어놓았습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논산시를 포함해 경남 통영시와, 경북 상주시 등 인구 10만 명이 넘는데도 대기오염 측정소가 없는 기초단체가 6곳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행 대기오염측정망 설치 운영 지침에 의하면 도시대기측정소는 인구 10만 명 이상의 도시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 인구 10만 명이 안 되는 도시라도 공업시설 등으로 인해 대기질 악화가 우려되는 경우는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구 10만 명이 넘는 6곳의 도시를 포함해 전국 69곳의 기초단체에 대기오염측정소가 설치돼 있지 않은 반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는 전국에 걸쳐 분포돼 있기 때문에 69곳의 시군구 학생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구체적인 미세먼지 농도를 알 수 있는 길이 제한돼 있는 셈입니다.



또 이번 조사 결과, 더 작고 그래서 몸에 더 해롭다는 초미세먼지인 PM2.5를 측정할 수 없는 지역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 저널리즘팀 조사 결과, 관련 장비가 부족해 초미세먼지인 PM2.5를 측정할 수 없는 지역은 전체 226개 기초단체 가운데 112곳으로 절반에 이르렀습니다.



이처럼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지역이 대도시나 도시 중심으로 집중 설치돼 있지만, 광역단체별 미세먼지 평균 농도를 보면 서울이나 울산 등 대도시라고 해서 미세먼지 농도가 특별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습니다.

2013년 광역단체별 대기오염을 보면,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광역단체 가운데 인구밀도가 높고 차량이 많은 서울시는 미세먼지 농도가 10번째로 상대적으로 순위가 낮았습니다.

서울보다도 미세먼지가 더 심한 광역단체가 9곳이나 된다는 얘기입니다.

미세먼지가 가장 심한 지역은 상대적으로 오염 발생원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충청북도로 나타났습니다.

이어서 경기도와 전라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순으로 미세먼지가 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기나 울산 등과 비교해 공업지대가 많지 않은 충북이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설악산을 비롯해 국립공원이 많고 인구밀도도 낮은 편인 강원도가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4번째로 높은 것으로 드러난 셈입니다.

하지만 충청북도 음성군의 한 주민은 ‘공기가 좋다고 서울에서 충북으로 내려와 사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데, 충북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다는 얘기는 처음 듣는 얘기’라면서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충북이나 강원 지역의 대기오염 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충청북도의 11개 기초단체 가운데 대기오염측정소가 없는 곳은 절반을 넘는 6곳이나 됐습니다.

강원도 또한 사정은 비슷합니다.

강원도 18개 기초단체 가운데 대기오염측정소가 없는 곳이 절반인 9곳에 이르렀습니다.

대기오염측정소 설치 문제와 관련해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인력과 예산 문제 등으로 인해 지금까지는 인구가 많은 도시 지역에 우선적으로 측정소를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중국발 미세먼지가 전국 곳곳에 영향을 주는 등 미세먼지 등의 영향이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고 있기때문에 앞으로는 농촌을 비롯해서 더 많은 지역에 미세먼지 측정소를 설치하는 안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또 충북이나 강원 영서 지역 등은 지역 내 발생한 오염 물질은 적어도 기류를 타고 중국이나 수도권 등에서 넘어오는 오염 물질이 많다면서, 과거 대도시 위주로 대기오염을 측정했지만 이제는 측정 방식을 시대 변화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기오염측정망 운영계획은 5년마다 새로 나오는데 2020년까지의 운영계획안은 올해 말 확정될 예정입니다.

[연관기사]

☞ [뉴스9] [집중진단] ① 초미세 먼지의 위협…지하철역 ‘빨간불’

☞ [뉴스9] [집중진단] ② 지방이 더 심각…대기오염 측정소도 없어

☞ [디·퍼/인포그래픽] 땅에서 숨 쉬는데 미세먼지 측정소 절반이 10m 넘어

※ 디·퍼(디지털 퍼스트)는 KBS가 깊이있게 분석한 기사를 인터넷을 통해 더 빨리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디지털 공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디·퍼] “미세먼지 얼마나 심한지 몰라요” 측정소 없는 기초단체 69곳
    • 입력 2015-06-23 15:23:18
    • 수정2015-08-17 14:05:16
    디지털퍼스트
도시화가 심해지고 중국발 오염물질까지 날아오면서 미세먼지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전국의 기초단체 가운데 3분의 1 정도는 대기오염 측정소가 1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데이터 저널리즘팀이 정보공개청구 등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 태백시와 충북 보은군, 충남 계룡시, 전남 나주시, 경북 문경시 등 전국 69개 기초단체에는 대기오염 측정소가 1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 대기오염 측정소가 없는 기초단체는 지역 내 미세먼지 농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광역 평균치를 쓰거나 대기오염 측정소가 있는 이웃 자치단체 측정값을 빌려 쓸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URL : http://dj.kbs.co.kr/resources/2015-06-23/ 대기오염측정소가 없는 충남 논산시의 관계자는 지역 주민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면에서 지역 내에 대기오염 측정소가 있으면 좋겠지만, 예산과 인력 문제 등으로 측정소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논산시 관계자는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자체 대기오염 측정소 설치에 1억 3천만 원 정도가 들고 또 측정소를 설치하면 해마다 2천만 원이나 3천만 원 정도의 관리, 운영 비용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부연 설명했습니다. 논산시 관계자는 자체 측정소가 없기 때문에 1년에 한 두 차례 정도 충남보건환경연구원에 요청해 이동식 대기오염 측정 차량으로 시의 미세먼지 농도 등을 알아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동식 대기오염 측정 차량은 시가 요청한다고 해서 바로 오는 것도 아니기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고 털어놓았습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논산시를 포함해 경남 통영시와, 경북 상주시 등 인구 10만 명이 넘는데도 대기오염 측정소가 없는 기초단체가 6곳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행 대기오염측정망 설치 운영 지침에 의하면 도시대기측정소는 인구 10만 명 이상의 도시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 인구 10만 명이 안 되는 도시라도 공업시설 등으로 인해 대기질 악화가 우려되는 경우는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구 10만 명이 넘는 6곳의 도시를 포함해 전국 69곳의 기초단체에 대기오염측정소가 설치돼 있지 않은 반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는 전국에 걸쳐 분포돼 있기 때문에 69곳의 시군구 학생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구체적인 미세먼지 농도를 알 수 있는 길이 제한돼 있는 셈입니다. 또 이번 조사 결과, 더 작고 그래서 몸에 더 해롭다는 초미세먼지인 PM2.5를 측정할 수 없는 지역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 저널리즘팀 조사 결과, 관련 장비가 부족해 초미세먼지인 PM2.5를 측정할 수 없는 지역은 전체 226개 기초단체 가운데 112곳으로 절반에 이르렀습니다. 이처럼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지역이 대도시나 도시 중심으로 집중 설치돼 있지만, 광역단체별 미세먼지 평균 농도를 보면 서울이나 울산 등 대도시라고 해서 미세먼지 농도가 특별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습니다. 2013년 광역단체별 대기오염을 보면,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광역단체 가운데 인구밀도가 높고 차량이 많은 서울시는 미세먼지 농도가 10번째로 상대적으로 순위가 낮았습니다. 서울보다도 미세먼지가 더 심한 광역단체가 9곳이나 된다는 얘기입니다. 미세먼지가 가장 심한 지역은 상대적으로 오염 발생원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충청북도로 나타났습니다. 이어서 경기도와 전라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순으로 미세먼지가 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기나 울산 등과 비교해 공업지대가 많지 않은 충북이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설악산을 비롯해 국립공원이 많고 인구밀도도 낮은 편인 강원도가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4번째로 높은 것으로 드러난 셈입니다. 하지만 충청북도 음성군의 한 주민은 ‘공기가 좋다고 서울에서 충북으로 내려와 사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데, 충북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다는 얘기는 처음 듣는 얘기’라면서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충북이나 강원 지역의 대기오염 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충청북도의 11개 기초단체 가운데 대기오염측정소가 없는 곳은 절반을 넘는 6곳이나 됐습니다. 강원도 또한 사정은 비슷합니다. 강원도 18개 기초단체 가운데 대기오염측정소가 없는 곳이 절반인 9곳에 이르렀습니다. 대기오염측정소 설치 문제와 관련해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인력과 예산 문제 등으로 인해 지금까지는 인구가 많은 도시 지역에 우선적으로 측정소를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중국발 미세먼지가 전국 곳곳에 영향을 주는 등 미세먼지 등의 영향이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고 있기때문에 앞으로는 농촌을 비롯해서 더 많은 지역에 미세먼지 측정소를 설치하는 안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또 충북이나 강원 영서 지역 등은 지역 내 발생한 오염 물질은 적어도 기류를 타고 중국이나 수도권 등에서 넘어오는 오염 물질이 많다면서, 과거 대도시 위주로 대기오염을 측정했지만 이제는 측정 방식을 시대 변화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기오염측정망 운영계획은 5년마다 새로 나오는데 2020년까지의 운영계획안은 올해 말 확정될 예정입니다. [연관기사] ☞ [뉴스9] [집중진단] ① 초미세 먼지의 위협…지하철역 ‘빨간불’ ☞ [뉴스9] [집중진단] ② 지방이 더 심각…대기오염 측정소도 없어 ☞ [디·퍼/인포그래픽] 땅에서 숨 쉬는데 미세먼지 측정소 절반이 10m 넘어 ※ 디·퍼(디지털 퍼스트)는 KBS가 깊이있게 분석한 기사를 인터넷을 통해 더 빨리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디지털 공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