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보이스피싱 전화 걸려왔을 때 대처는 이렇게!

입력 2015.07.16 (21:16) 수정 2015.07.16 (21: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떠십니까, 실제 보이스피싱 사기범의 목소리입니다.

도대체 누가 속을까 싶으시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2006년 국세청을 사칭한 세금 환급 사기 사건으로 시작한 보이스피싱은 지난해에도 7천 6백여 건이 발생했고, 올해는 9천 건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연평균 피해액만 738억 원.

사건 당 평균 천 백 60만 원 정도의 피해가 나는 셈인데요.

피해자들은 당황해서, 생각할 겨를도 없이, '마치 뭐에 홀린 것처럼 당했다'고 말합니다.

먼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는 보이스피싱의 다양한 수법들을 최준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진화하는 수법, 결합형 피싱 수법까지 등장▼

<리포트>

<녹취> "선생님 당황하셨어요?"

이런 중국동포 말투는 요즘 보이스피싱에선 들을 수 없습니다.

또박또박 표준말을 쓰는 사람들이 수사기관이나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합니다.

<녹취> 수사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음성 :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서 도용을 당하신 피해자분이신지 그 부분을 조사하기 위해서 연락을 드린 겁니다."

'은행도 공범'이라며 돈을 송금하는 피해자에게 입단속까지 시킵니다.

<녹취> 검사 사칭 보이스피싱 음성 : "'검찰 수사를 받고 있냐', '명의도용 사건에 연루돼 있는 건 아니냐' 이런 식으로 이벤트 성의 질문을 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되면 본인은 그냥 아니라고 하시면 되고."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미리 알아내 거래하는 은행을 사칭하는 맞춤형 범행까지 이뤄집니다.

개인 정보를 고스란히 알고 있다 보니 아무 의심 없이 시키는 대로 따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녹취> 심00(보이스피싱 피해자/음성변조) : "그 홈페이지에 들어갔는데, 사건번호와 제 이름하고 그런 게 진짜로 뜨니까, 조금 무서웠죠, 진짜로."

취업을 시켜주겠다며 범행에 사용할 통장을 얻어내기도 하고..

<녹취> 취업미끼 보이스피싱 음성 : "이력서랑 잔액 다 빼 주신 카드를 같이 동봉해 주시고요. 봉투는 꼭 잘 밀봉을 하셔서 저희 직원분한테 전해주셔야 되세요."

전화를 한 뒤 기관원 인척 찾아가 돈을 빼앗는 등 일반적 사기와 결합된 형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웅혁(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 "단순한 사기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범죄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는…. 사회, 정치, 경제적인 이슈에 따라서 진화, 발전할 수가 있는 것이죠."

대포통장 대신 물품보관함에 돈을 넣도록 하는 등 돈을 습득하는 수법도 다양화하고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전화 걸려왔을때는 이렇게…▼

<기자 멘트>

<녹취> "첨단범죄수사팀인데요, 명의가 도용된 것 같아서.."

수상한 전화가 걸려 왔는데요.

<녹취> "제가 다시 확인해 보고 전화 드릴게요."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면 이렇게 아예 대응하지 않고 끊어버리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 어떤 수사기관이나 금융 기관도 개인의 금융 정보나 송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팀이나 서울지방경찰청, 금융감독원 등이라며 보안카드 번호를 알려달라든지, 계좌 잔액을 묻고 안전한 곳으로 옮겨야 한다거나, 홈페이지 주소를 불러줄테니 금융 정보를 입력하라고 한다면 일단 전화를 끊으십시오.

보이스 피싱입니다.

만약 피해를 봤다면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우선, 112나 금융회사 콜센터를 통해 사기 계좌에 대한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하는데요.

이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골든 타임은 10분입니다.

피해금이 남아 있다면 모두 환급을 받을 수 있는데 금융감독원 분석 결과, 10분 이내에 신고하면 확률상 피해금의 76%를 돌려받을 수 있었지만, 2시간이 경과하면 평균 23%에 그쳤습니다.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3백만 원 이상 이체할 경우 '지연 인출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한도 안에서 이른바 '쪼개기 인출'을 하는 경우도 있어 무조건 빨리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또 유출된 금융거래정보는 즉시 해지하거나 폐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개인이 조심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겠죠.

경찰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신고 보상금이 오르면서 시민들의 신고와 검거 기여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김수연 기자입니다.

▼시민·경차 협력으로 피해 줄인다▼

<리포트>

은행 창구에서 한 남성이 경찰에 연행됩니다.

돈을 수시로 찾기 위해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으러 온 보이스피싱 인출책입니다.

기본적인 신원 확인에도 부자연스럽게 행동하는 남성을 직원이 이상하게 여겨 신고했습니다.

<인터뷰> 이성규(○○은행 보안부장) :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요청하는 고객이 평소에 교육받았던 보이스피싱 행동과 유사해서 (신고했습니다.)"

이 은행에서도 직원의 기지로 보이스피싱 피해금을 빼내려던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인터뷰> 안기성(○○은행 직원) : "현금으로 반드시 인출을 해야 된다고 하는 점에서 확인이 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고요. 현금을 좀 천천히 세는 방법으로 시간을 많이 지연시켰습니다."

시민들의 신고가 교묘해지는 보이스피싱 적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자, 경찰은 보상금을 크게 늘리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박찬우(경찰청 수사국) : "초기 단계에 대포 계좌 제공을 의뢰받았을 경우에 제보를 해주시면 최고 신고 보상금 1억 원까지 지급해드립니다."

동시에 처벌과 단속도 강화합니다.

사기죄만 적용하던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범죄 단체 조직죄까지 적용하기로 해 최대 무기징역까지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단순히 범죄 수익금을 인출해 주기만 해도 구속수사하는 등 강력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경찰은 또, 환전소를 통한 범죄 수익금의 해외 송금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전소 영업 단속을 대폭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보이스피싱 전화 걸려왔을 때 대처는 이렇게!
    • 입력 2015-07-16 21:22:05
    • 수정2015-07-16 21:46:59
    뉴스 9
<앵커 멘트>

어떠십니까, 실제 보이스피싱 사기범의 목소리입니다.

도대체 누가 속을까 싶으시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2006년 국세청을 사칭한 세금 환급 사기 사건으로 시작한 보이스피싱은 지난해에도 7천 6백여 건이 발생했고, 올해는 9천 건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연평균 피해액만 738억 원.

사건 당 평균 천 백 60만 원 정도의 피해가 나는 셈인데요.

피해자들은 당황해서, 생각할 겨를도 없이, '마치 뭐에 홀린 것처럼 당했다'고 말합니다.

먼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는 보이스피싱의 다양한 수법들을 최준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진화하는 수법, 결합형 피싱 수법까지 등장▼

<리포트>

<녹취> "선생님 당황하셨어요?"

이런 중국동포 말투는 요즘 보이스피싱에선 들을 수 없습니다.

또박또박 표준말을 쓰는 사람들이 수사기관이나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합니다.

<녹취> 수사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음성 :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서 도용을 당하신 피해자분이신지 그 부분을 조사하기 위해서 연락을 드린 겁니다."

'은행도 공범'이라며 돈을 송금하는 피해자에게 입단속까지 시킵니다.

<녹취> 검사 사칭 보이스피싱 음성 : "'검찰 수사를 받고 있냐', '명의도용 사건에 연루돼 있는 건 아니냐' 이런 식으로 이벤트 성의 질문을 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되면 본인은 그냥 아니라고 하시면 되고."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미리 알아내 거래하는 은행을 사칭하는 맞춤형 범행까지 이뤄집니다.

개인 정보를 고스란히 알고 있다 보니 아무 의심 없이 시키는 대로 따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녹취> 심00(보이스피싱 피해자/음성변조) : "그 홈페이지에 들어갔는데, 사건번호와 제 이름하고 그런 게 진짜로 뜨니까, 조금 무서웠죠, 진짜로."

취업을 시켜주겠다며 범행에 사용할 통장을 얻어내기도 하고..

<녹취> 취업미끼 보이스피싱 음성 : "이력서랑 잔액 다 빼 주신 카드를 같이 동봉해 주시고요. 봉투는 꼭 잘 밀봉을 하셔서 저희 직원분한테 전해주셔야 되세요."

전화를 한 뒤 기관원 인척 찾아가 돈을 빼앗는 등 일반적 사기와 결합된 형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웅혁(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 "단순한 사기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범죄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는…. 사회, 정치, 경제적인 이슈에 따라서 진화, 발전할 수가 있는 것이죠."

대포통장 대신 물품보관함에 돈을 넣도록 하는 등 돈을 습득하는 수법도 다양화하고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전화 걸려왔을때는 이렇게…▼

<기자 멘트>

<녹취> "첨단범죄수사팀인데요, 명의가 도용된 것 같아서.."

수상한 전화가 걸려 왔는데요.

<녹취> "제가 다시 확인해 보고 전화 드릴게요."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면 이렇게 아예 대응하지 않고 끊어버리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 어떤 수사기관이나 금융 기관도 개인의 금융 정보나 송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팀이나 서울지방경찰청, 금융감독원 등이라며 보안카드 번호를 알려달라든지, 계좌 잔액을 묻고 안전한 곳으로 옮겨야 한다거나, 홈페이지 주소를 불러줄테니 금융 정보를 입력하라고 한다면 일단 전화를 끊으십시오.

보이스 피싱입니다.

만약 피해를 봤다면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우선, 112나 금융회사 콜센터를 통해 사기 계좌에 대한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하는데요.

이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골든 타임은 10분입니다.

피해금이 남아 있다면 모두 환급을 받을 수 있는데 금융감독원 분석 결과, 10분 이내에 신고하면 확률상 피해금의 76%를 돌려받을 수 있었지만, 2시간이 경과하면 평균 23%에 그쳤습니다.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3백만 원 이상 이체할 경우 '지연 인출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한도 안에서 이른바 '쪼개기 인출'을 하는 경우도 있어 무조건 빨리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또 유출된 금융거래정보는 즉시 해지하거나 폐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개인이 조심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겠죠.

경찰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신고 보상금이 오르면서 시민들의 신고와 검거 기여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김수연 기자입니다.

▼시민·경차 협력으로 피해 줄인다▼

<리포트>

은행 창구에서 한 남성이 경찰에 연행됩니다.

돈을 수시로 찾기 위해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으러 온 보이스피싱 인출책입니다.

기본적인 신원 확인에도 부자연스럽게 행동하는 남성을 직원이 이상하게 여겨 신고했습니다.

<인터뷰> 이성규(○○은행 보안부장) :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요청하는 고객이 평소에 교육받았던 보이스피싱 행동과 유사해서 (신고했습니다.)"

이 은행에서도 직원의 기지로 보이스피싱 피해금을 빼내려던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인터뷰> 안기성(○○은행 직원) : "현금으로 반드시 인출을 해야 된다고 하는 점에서 확인이 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고요. 현금을 좀 천천히 세는 방법으로 시간을 많이 지연시켰습니다."

시민들의 신고가 교묘해지는 보이스피싱 적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자, 경찰은 보상금을 크게 늘리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박찬우(경찰청 수사국) : "초기 단계에 대포 계좌 제공을 의뢰받았을 경우에 제보를 해주시면 최고 신고 보상금 1억 원까지 지급해드립니다."

동시에 처벌과 단속도 강화합니다.

사기죄만 적용하던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범죄 단체 조직죄까지 적용하기로 해 최대 무기징역까지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단순히 범죄 수익금을 인출해 주기만 해도 구속수사하는 등 강력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경찰은 또, 환전소를 통한 범죄 수익금의 해외 송금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전소 영업 단속을 대폭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