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미리보기] 국정원 해킹 논란…언론 ‘시각차’
입력 2015.07.30 (21:59) 수정 2015.07.31 (18:11) 미리보기
@ <출연> 국정원 해킹 논란…언론 ‘시각차’ (박현진 기자)
국정원의 해킹 프로그램을 통한 민간인 감청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국가 정보 기관에 대한 보도 방향과 수위를 놓고 언론들이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정원 해킹 논란을 둘러싼 언론 보도 내용을 짚어봅니다.
@ <제작> 한·중 FTA, 미디어산업 기회? 위기? (김진희 기자)
우리나라와 중국의 자유무역협정 타결로 방송과 영화산업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한·중 FTA가 우리나라 미디어 업계에 기회가 될지, 위기가 될지 살펴봅니다.
국정원의 해킹 프로그램을 통한 민간인 감청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국가 정보 기관에 대한 보도 방향과 수위를 놓고 언론들이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정원 해킹 논란을 둘러싼 언론 보도 내용을 짚어봅니다.
@ <제작> 한·중 FTA, 미디어산업 기회? 위기? (김진희 기자)
우리나라와 중국의 자유무역협정 타결로 방송과 영화산업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한·중 FTA가 우리나라 미디어 업계에 기회가 될지, 위기가 될지 살펴봅니다.
- [미리보기] 국정원 해킹 논란…언론 ‘시각차’
-
- 입력 2015-07-30 21:59:33
- 수정2015-07-31 18:11:05

@ <출연> 국정원 해킹 논란…언론 ‘시각차’ (박현진 기자)
국정원의 해킹 프로그램을 통한 민간인 감청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국가 정보 기관에 대한 보도 방향과 수위를 놓고 언론들이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정원 해킹 논란을 둘러싼 언론 보도 내용을 짚어봅니다.
@ <제작> 한·중 FTA, 미디어산업 기회? 위기? (김진희 기자)
우리나라와 중국의 자유무역협정 타결로 방송과 영화산업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한·중 FTA가 우리나라 미디어 업계에 기회가 될지, 위기가 될지 살펴봅니다.
국정원의 해킹 프로그램을 통한 민간인 감청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국가 정보 기관에 대한 보도 방향과 수위를 놓고 언론들이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정원 해킹 논란을 둘러싼 언론 보도 내용을 짚어봅니다.
@ <제작> 한·중 FTA, 미디어산업 기회? 위기? (김진희 기자)
우리나라와 중국의 자유무역협정 타결로 방송과 영화산업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한·중 FTA가 우리나라 미디어 업계에 기회가 될지, 위기가 될지 살펴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박현진 기자 laseule@kbs.co.kr
박현진 기자의 기사 모음 -
김진희 기자 hydrogen@kbs.co.kr
김진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