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빗나간 '사진 욕심’에 국립공원 훼손
입력 2015.07.31 (23:14) 수정 2015.08.01 (00:25) 뉴스라인
<앵커 멘트>
국립공원의 감춰진 절경은 사진을 찍는 사람들에겐 늘 욕심이 나는 대상입니다.
그런데 이 욕심이 과해 산을 훼손하면서까지 사진을 찍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김현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립공원 사진 공모전의 역대 수상작들입니다.
응모작은 2년 새 3배 늘었고 예술성도 갈수록 높아졌습니다.
아름다운 자연을 사진에 담는 이들이 많아진 겁니다.
하지만 되레, 자연을 훼손하는 사례도 잇따릅니다.
산 정상의 소나무가 싹둑 잘려나갔습니다.
바로 앞 소나무를 찍는데 구도가 방해된다며 베어버린 것입니다.
환경 당국은 벌목한 사람을 추적 중입니다.
산 정상에서 불법 야영 중인 사람들도 적발됐습니다.
텐트를 쳐 놓고 며칠씩 머물렀습니다.
지정된 대피소가 아닌데도 버젓이 밥을 지었습니다.
<인터뷰> 사진 애호가 : "솔직히 말해서 나 어제 왔어. (구름이)조금 나오다 말다...운해가 뜨니까 그림이 별로 안돼 "
지난해 국립공원에서 적발된 불법 행위는 모두 천 6백여 건, 상당수가 사진 촬영 때문에 비롯됐습니다.
<인터뷰>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 : "사진 찍으시는 분들이 무게가 나가는 장비들을 이렇게 구석에다 몰래 매립을 해놓고 나중에 다시와서 쓰려는 거죠."
빗나간 영상 욕심이 무분별하게 자연을 훼손한 겁니다.
<인터뷰> 사진작가 지망생 : "예쁜 꽃을 촬영하면...다른 사람이 또 그걸 똑같이 촬영하면 자기만의 사진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꽃을 꺾어 버린다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국립공원 관리공단은 올해 공모 사진전부터 아예 사진의 자연 훼손 가능성 부터 심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국립공원의 감춰진 절경은 사진을 찍는 사람들에겐 늘 욕심이 나는 대상입니다.
그런데 이 욕심이 과해 산을 훼손하면서까지 사진을 찍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김현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립공원 사진 공모전의 역대 수상작들입니다.
응모작은 2년 새 3배 늘었고 예술성도 갈수록 높아졌습니다.
아름다운 자연을 사진에 담는 이들이 많아진 겁니다.
하지만 되레, 자연을 훼손하는 사례도 잇따릅니다.
산 정상의 소나무가 싹둑 잘려나갔습니다.
바로 앞 소나무를 찍는데 구도가 방해된다며 베어버린 것입니다.
환경 당국은 벌목한 사람을 추적 중입니다.
산 정상에서 불법 야영 중인 사람들도 적발됐습니다.
텐트를 쳐 놓고 며칠씩 머물렀습니다.
지정된 대피소가 아닌데도 버젓이 밥을 지었습니다.
<인터뷰> 사진 애호가 : "솔직히 말해서 나 어제 왔어. (구름이)조금 나오다 말다...운해가 뜨니까 그림이 별로 안돼 "
지난해 국립공원에서 적발된 불법 행위는 모두 천 6백여 건, 상당수가 사진 촬영 때문에 비롯됐습니다.
<인터뷰>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 : "사진 찍으시는 분들이 무게가 나가는 장비들을 이렇게 구석에다 몰래 매립을 해놓고 나중에 다시와서 쓰려는 거죠."
빗나간 영상 욕심이 무분별하게 자연을 훼손한 겁니다.
<인터뷰> 사진작가 지망생 : "예쁜 꽃을 촬영하면...다른 사람이 또 그걸 똑같이 촬영하면 자기만의 사진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꽃을 꺾어 버린다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국립공원 관리공단은 올해 공모 사진전부터 아예 사진의 자연 훼손 가능성 부터 심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 빗나간 '사진 욕심’에 국립공원 훼손
-
- 입력 2015-07-31 23:21:01
- 수정2015-08-01 00:25:56

<앵커 멘트>
국립공원의 감춰진 절경은 사진을 찍는 사람들에겐 늘 욕심이 나는 대상입니다.
그런데 이 욕심이 과해 산을 훼손하면서까지 사진을 찍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김현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립공원 사진 공모전의 역대 수상작들입니다.
응모작은 2년 새 3배 늘었고 예술성도 갈수록 높아졌습니다.
아름다운 자연을 사진에 담는 이들이 많아진 겁니다.
하지만 되레, 자연을 훼손하는 사례도 잇따릅니다.
산 정상의 소나무가 싹둑 잘려나갔습니다.
바로 앞 소나무를 찍는데 구도가 방해된다며 베어버린 것입니다.
환경 당국은 벌목한 사람을 추적 중입니다.
산 정상에서 불법 야영 중인 사람들도 적발됐습니다.
텐트를 쳐 놓고 며칠씩 머물렀습니다.
지정된 대피소가 아닌데도 버젓이 밥을 지었습니다.
<인터뷰> 사진 애호가 : "솔직히 말해서 나 어제 왔어. (구름이)조금 나오다 말다...운해가 뜨니까 그림이 별로 안돼 "
지난해 국립공원에서 적발된 불법 행위는 모두 천 6백여 건, 상당수가 사진 촬영 때문에 비롯됐습니다.
<인터뷰>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 : "사진 찍으시는 분들이 무게가 나가는 장비들을 이렇게 구석에다 몰래 매립을 해놓고 나중에 다시와서 쓰려는 거죠."
빗나간 영상 욕심이 무분별하게 자연을 훼손한 겁니다.
<인터뷰> 사진작가 지망생 : "예쁜 꽃을 촬영하면...다른 사람이 또 그걸 똑같이 촬영하면 자기만의 사진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꽃을 꺾어 버린다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국립공원 관리공단은 올해 공모 사진전부터 아예 사진의 자연 훼손 가능성 부터 심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국립공원의 감춰진 절경은 사진을 찍는 사람들에겐 늘 욕심이 나는 대상입니다.
그런데 이 욕심이 과해 산을 훼손하면서까지 사진을 찍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김현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립공원 사진 공모전의 역대 수상작들입니다.
응모작은 2년 새 3배 늘었고 예술성도 갈수록 높아졌습니다.
아름다운 자연을 사진에 담는 이들이 많아진 겁니다.
하지만 되레, 자연을 훼손하는 사례도 잇따릅니다.
산 정상의 소나무가 싹둑 잘려나갔습니다.
바로 앞 소나무를 찍는데 구도가 방해된다며 베어버린 것입니다.
환경 당국은 벌목한 사람을 추적 중입니다.
산 정상에서 불법 야영 중인 사람들도 적발됐습니다.
텐트를 쳐 놓고 며칠씩 머물렀습니다.
지정된 대피소가 아닌데도 버젓이 밥을 지었습니다.
<인터뷰> 사진 애호가 : "솔직히 말해서 나 어제 왔어. (구름이)조금 나오다 말다...운해가 뜨니까 그림이 별로 안돼 "
지난해 국립공원에서 적발된 불법 행위는 모두 천 6백여 건, 상당수가 사진 촬영 때문에 비롯됐습니다.
<인터뷰>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 : "사진 찍으시는 분들이 무게가 나가는 장비들을 이렇게 구석에다 몰래 매립을 해놓고 나중에 다시와서 쓰려는 거죠."
빗나간 영상 욕심이 무분별하게 자연을 훼손한 겁니다.
<인터뷰> 사진작가 지망생 : "예쁜 꽃을 촬영하면...다른 사람이 또 그걸 똑같이 촬영하면 자기만의 사진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꽃을 꺾어 버린다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국립공원 관리공단은 올해 공모 사진전부터 아예 사진의 자연 훼손 가능성 부터 심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라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현경 기자 hkkim@kbs.co.kr
김현경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