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 건강 톡톡] 눈높이 금연 캠페인 주목
입력 2015.08.04 (08:46)
수정 2015.08.04 (1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매주 화요일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올초 담뱃값도 올랐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흡연율은 다소 줄었다고 하죠.
하지만 정작 청소년들의 흡연율은 줄지 않고 있어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질문>
박 기자, 청소년 흡연율 어떤 상황인가요?
<답변>
네. 성장기 청소년은 성인보다도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는데요.
문제는 청소년흡연율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결과를 보면, 지난 2005년 청소년 흡연율은 11.8%에서 10% 전후 왔다 갔다 하며 10년째 제자리걸음입니다.
특히 고3 남학생만 보면, 4명 중 1명꼴로 흡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게다가 흡연 시작 연령도 점점 낮아져서 지난 2005년 14.1세에서 지난 2013년 13.5세로 낮아졌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된 건 지금까지 청소년 대상 금연캠페인이 큰 효과가 없었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담배의 유해성을 지식으로 단순전달하거나 피우면 안 된다는 식의 훈계성 위주의 캠페인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인데요.
왜 그들이 피울 수밖에 없고, 왜 다시 끊지 못하는지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질문>
색다른 캠페인을 내놨다던데요?
<답변>
이번에 보건복지부가 청소년들 눈높이에 맞는 획기적인 금연캠페인을 속속 선보이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바로 청소년들 사이에 '인기 웹툰'을 활용한 겁니다.
지금 보시는 게 포털 사이트 인기 웹툰 제목이 '본격금연 권장만화'입니다.
친구와 가까워지려고 담배를 시작하는 과정이 솔직히 그려집니다.
좋아하는 이성 친구를 찾은 주인공.
하지만 담배 피우는 사람이 너무 싫다는 그녀의 말 한마디에 금연을 결심합니다.
웹툰을 본 청소년들 반응은 벌써 뜨겁습니다.
공감을 이끌어냈기 때문입니다.
보통 페이지뷰가 백만이 넘으면 대박 났다고 하는데, 첫회만 2백만뷰에 육박합니다.
<질문>
본격 금연 권장 만화라는 제목을 일부러 이렇게 한 건가요?
<답변>
저도 솔직히 놀랬는데요.
대놓고 이렇게 금연을 이야기하면 거부감이 오히려 들지 않을까? 그런데 청소년들이 이렇게 많이 본다는 게 신기했습니다.
일단 청소년들 사이에 '외모지상주의'란 웹툰으로 유명한 작가가 보건복지부와 함께 금연 캠페인에 나선 게 주효했는데요.
그래서 제가 직접 웹툰 작가와 만나봤는데, 한번 그 이유를 직접 들어보시죠.
<인터뷰> 박태준('웹툰 작가) : "이거 나 가르치려는 느낌이 아닐까 생각하는데 아예 대놓고 제목에 본격 금연 권장 만화라고 하면 이거 봐라 하면서 보는 사람들 이미 머릿속에는 이게 금연에 관한 내용이다 라는 걸 알고 보기 때문에 만화만 재미있게 제가 잘 그려낼 수 있다면 애들이 거부감을 가지지 않고 보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서"
뿐만 아니라 이렇게 인기 웹툰이란 형식을 빌린 것 자체가 청소년 대상 금연캠페인에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 청소년들 스마트폰 보유율이 76%가 넘고요.
학교 등하교, 학원 등하원 할 때 웹툰이나 동영상을 보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입니다.
<질문>
청소년들이 직접 제작한 UCC도 있다면서요.
<답변>
네, 어른들이 만든 캠페인이 아닌,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만든 금연 동영상은 아이디어나 소재가 참신했는데요.
올해 여성가족부 주관으로 청소년 흡연·음주예방 UCC 공모전에서 인천 삼산고 학생들이 만든 우수상 작품을 한번 감상해보시죠.
<인터뷰> 박하얀(인천 삼산 고등학교) : "무거운 내용보다 청소년 친구들이 더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재미있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올챙이와 개구리 노래 맞춰서 재미있게 연출을 했어요."
재치가 가득하죠.
저는 "누런 이에 폭풍 구취, 담배 안 돼요" 가사에 웃고 말았는데요.
담배 냄새에 남자친구가 기겁하고 도망가는 장면도 인상적입니다.
담배 피우면 폐암에 걸리고, 뇌출혈을 일으킨다는 무겁고 진지한 공익광고 대신 청소년들 사이에 쉽게 공감이 가는 내용을 구성한 겁니다.
청소년 10명 중 1명이 흡연을 하는 상황.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유머와 감성 코드를 활용한 흡연 예방 메시지가 자연스러운 금연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매주 화요일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올초 담뱃값도 올랐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흡연율은 다소 줄었다고 하죠.
하지만 정작 청소년들의 흡연율은 줄지 않고 있어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질문>
박 기자, 청소년 흡연율 어떤 상황인가요?
<답변>
네. 성장기 청소년은 성인보다도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는데요.
문제는 청소년흡연율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결과를 보면, 지난 2005년 청소년 흡연율은 11.8%에서 10% 전후 왔다 갔다 하며 10년째 제자리걸음입니다.
특히 고3 남학생만 보면, 4명 중 1명꼴로 흡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게다가 흡연 시작 연령도 점점 낮아져서 지난 2005년 14.1세에서 지난 2013년 13.5세로 낮아졌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된 건 지금까지 청소년 대상 금연캠페인이 큰 효과가 없었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담배의 유해성을 지식으로 단순전달하거나 피우면 안 된다는 식의 훈계성 위주의 캠페인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인데요.
왜 그들이 피울 수밖에 없고, 왜 다시 끊지 못하는지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질문>
색다른 캠페인을 내놨다던데요?
<답변>
이번에 보건복지부가 청소년들 눈높이에 맞는 획기적인 금연캠페인을 속속 선보이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바로 청소년들 사이에 '인기 웹툰'을 활용한 겁니다.
지금 보시는 게 포털 사이트 인기 웹툰 제목이 '본격금연 권장만화'입니다.
친구와 가까워지려고 담배를 시작하는 과정이 솔직히 그려집니다.
좋아하는 이성 친구를 찾은 주인공.
하지만 담배 피우는 사람이 너무 싫다는 그녀의 말 한마디에 금연을 결심합니다.
웹툰을 본 청소년들 반응은 벌써 뜨겁습니다.
공감을 이끌어냈기 때문입니다.
보통 페이지뷰가 백만이 넘으면 대박 났다고 하는데, 첫회만 2백만뷰에 육박합니다.
<질문>
본격 금연 권장 만화라는 제목을 일부러 이렇게 한 건가요?
<답변>
저도 솔직히 놀랬는데요.
대놓고 이렇게 금연을 이야기하면 거부감이 오히려 들지 않을까? 그런데 청소년들이 이렇게 많이 본다는 게 신기했습니다.
일단 청소년들 사이에 '외모지상주의'란 웹툰으로 유명한 작가가 보건복지부와 함께 금연 캠페인에 나선 게 주효했는데요.
그래서 제가 직접 웹툰 작가와 만나봤는데, 한번 그 이유를 직접 들어보시죠.
<인터뷰> 박태준('웹툰 작가) : "이거 나 가르치려는 느낌이 아닐까 생각하는데 아예 대놓고 제목에 본격 금연 권장 만화라고 하면 이거 봐라 하면서 보는 사람들 이미 머릿속에는 이게 금연에 관한 내용이다 라는 걸 알고 보기 때문에 만화만 재미있게 제가 잘 그려낼 수 있다면 애들이 거부감을 가지지 않고 보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서"
뿐만 아니라 이렇게 인기 웹툰이란 형식을 빌린 것 자체가 청소년 대상 금연캠페인에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 청소년들 스마트폰 보유율이 76%가 넘고요.
학교 등하교, 학원 등하원 할 때 웹툰이나 동영상을 보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입니다.
<질문>
청소년들이 직접 제작한 UCC도 있다면서요.
<답변>
네, 어른들이 만든 캠페인이 아닌,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만든 금연 동영상은 아이디어나 소재가 참신했는데요.
올해 여성가족부 주관으로 청소년 흡연·음주예방 UCC 공모전에서 인천 삼산고 학생들이 만든 우수상 작품을 한번 감상해보시죠.
<인터뷰> 박하얀(인천 삼산 고등학교) : "무거운 내용보다 청소년 친구들이 더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재미있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올챙이와 개구리 노래 맞춰서 재미있게 연출을 했어요."
재치가 가득하죠.
저는 "누런 이에 폭풍 구취, 담배 안 돼요" 가사에 웃고 말았는데요.
담배 냄새에 남자친구가 기겁하고 도망가는 장면도 인상적입니다.
담배 피우면 폐암에 걸리고, 뇌출혈을 일으킨다는 무겁고 진지한 공익광고 대신 청소년들 사이에 쉽게 공감이 가는 내용을 구성한 겁니다.
청소년 10명 중 1명이 흡연을 하는 상황.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유머와 감성 코드를 활용한 흡연 예방 메시지가 자연스러운 금연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분 건강 톡톡] 눈높이 금연 캠페인 주목
-
- 입력 2015-08-04 08:50:19
- 수정2015-08-04 10:14:59
![](/data/news/2015/08/04/3124127_170.jpg)
<앵커 멘트>
매주 화요일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올초 담뱃값도 올랐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흡연율은 다소 줄었다고 하죠.
하지만 정작 청소년들의 흡연율은 줄지 않고 있어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질문>
박 기자, 청소년 흡연율 어떤 상황인가요?
<답변>
네. 성장기 청소년은 성인보다도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는데요.
문제는 청소년흡연율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결과를 보면, 지난 2005년 청소년 흡연율은 11.8%에서 10% 전후 왔다 갔다 하며 10년째 제자리걸음입니다.
특히 고3 남학생만 보면, 4명 중 1명꼴로 흡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게다가 흡연 시작 연령도 점점 낮아져서 지난 2005년 14.1세에서 지난 2013년 13.5세로 낮아졌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된 건 지금까지 청소년 대상 금연캠페인이 큰 효과가 없었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담배의 유해성을 지식으로 단순전달하거나 피우면 안 된다는 식의 훈계성 위주의 캠페인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인데요.
왜 그들이 피울 수밖에 없고, 왜 다시 끊지 못하는지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질문>
색다른 캠페인을 내놨다던데요?
<답변>
이번에 보건복지부가 청소년들 눈높이에 맞는 획기적인 금연캠페인을 속속 선보이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바로 청소년들 사이에 '인기 웹툰'을 활용한 겁니다.
지금 보시는 게 포털 사이트 인기 웹툰 제목이 '본격금연 권장만화'입니다.
친구와 가까워지려고 담배를 시작하는 과정이 솔직히 그려집니다.
좋아하는 이성 친구를 찾은 주인공.
하지만 담배 피우는 사람이 너무 싫다는 그녀의 말 한마디에 금연을 결심합니다.
웹툰을 본 청소년들 반응은 벌써 뜨겁습니다.
공감을 이끌어냈기 때문입니다.
보통 페이지뷰가 백만이 넘으면 대박 났다고 하는데, 첫회만 2백만뷰에 육박합니다.
<질문>
본격 금연 권장 만화라는 제목을 일부러 이렇게 한 건가요?
<답변>
저도 솔직히 놀랬는데요.
대놓고 이렇게 금연을 이야기하면 거부감이 오히려 들지 않을까? 그런데 청소년들이 이렇게 많이 본다는 게 신기했습니다.
일단 청소년들 사이에 '외모지상주의'란 웹툰으로 유명한 작가가 보건복지부와 함께 금연 캠페인에 나선 게 주효했는데요.
그래서 제가 직접 웹툰 작가와 만나봤는데, 한번 그 이유를 직접 들어보시죠.
<인터뷰> 박태준('웹툰 작가) : "이거 나 가르치려는 느낌이 아닐까 생각하는데 아예 대놓고 제목에 본격 금연 권장 만화라고 하면 이거 봐라 하면서 보는 사람들 이미 머릿속에는 이게 금연에 관한 내용이다 라는 걸 알고 보기 때문에 만화만 재미있게 제가 잘 그려낼 수 있다면 애들이 거부감을 가지지 않고 보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서"
뿐만 아니라 이렇게 인기 웹툰이란 형식을 빌린 것 자체가 청소년 대상 금연캠페인에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 청소년들 스마트폰 보유율이 76%가 넘고요.
학교 등하교, 학원 등하원 할 때 웹툰이나 동영상을 보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입니다.
<질문>
청소년들이 직접 제작한 UCC도 있다면서요.
<답변>
네, 어른들이 만든 캠페인이 아닌,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만든 금연 동영상은 아이디어나 소재가 참신했는데요.
올해 여성가족부 주관으로 청소년 흡연·음주예방 UCC 공모전에서 인천 삼산고 학생들이 만든 우수상 작품을 한번 감상해보시죠.
<인터뷰> 박하얀(인천 삼산 고등학교) : "무거운 내용보다 청소년 친구들이 더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재미있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올챙이와 개구리 노래 맞춰서 재미있게 연출을 했어요."
재치가 가득하죠.
저는 "누런 이에 폭풍 구취, 담배 안 돼요" 가사에 웃고 말았는데요.
담배 냄새에 남자친구가 기겁하고 도망가는 장면도 인상적입니다.
담배 피우면 폐암에 걸리고, 뇌출혈을 일으킨다는 무겁고 진지한 공익광고 대신 청소년들 사이에 쉽게 공감이 가는 내용을 구성한 겁니다.
청소년 10명 중 1명이 흡연을 하는 상황.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유머와 감성 코드를 활용한 흡연 예방 메시지가 자연스러운 금연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매주 화요일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올초 담뱃값도 올랐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흡연율은 다소 줄었다고 하죠.
하지만 정작 청소년들의 흡연율은 줄지 않고 있어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질문>
박 기자, 청소년 흡연율 어떤 상황인가요?
<답변>
네. 성장기 청소년은 성인보다도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는데요.
문제는 청소년흡연율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결과를 보면, 지난 2005년 청소년 흡연율은 11.8%에서 10% 전후 왔다 갔다 하며 10년째 제자리걸음입니다.
특히 고3 남학생만 보면, 4명 중 1명꼴로 흡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게다가 흡연 시작 연령도 점점 낮아져서 지난 2005년 14.1세에서 지난 2013년 13.5세로 낮아졌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된 건 지금까지 청소년 대상 금연캠페인이 큰 효과가 없었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담배의 유해성을 지식으로 단순전달하거나 피우면 안 된다는 식의 훈계성 위주의 캠페인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인데요.
왜 그들이 피울 수밖에 없고, 왜 다시 끊지 못하는지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질문>
색다른 캠페인을 내놨다던데요?
<답변>
이번에 보건복지부가 청소년들 눈높이에 맞는 획기적인 금연캠페인을 속속 선보이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바로 청소년들 사이에 '인기 웹툰'을 활용한 겁니다.
지금 보시는 게 포털 사이트 인기 웹툰 제목이 '본격금연 권장만화'입니다.
친구와 가까워지려고 담배를 시작하는 과정이 솔직히 그려집니다.
좋아하는 이성 친구를 찾은 주인공.
하지만 담배 피우는 사람이 너무 싫다는 그녀의 말 한마디에 금연을 결심합니다.
웹툰을 본 청소년들 반응은 벌써 뜨겁습니다.
공감을 이끌어냈기 때문입니다.
보통 페이지뷰가 백만이 넘으면 대박 났다고 하는데, 첫회만 2백만뷰에 육박합니다.
<질문>
본격 금연 권장 만화라는 제목을 일부러 이렇게 한 건가요?
<답변>
저도 솔직히 놀랬는데요.
대놓고 이렇게 금연을 이야기하면 거부감이 오히려 들지 않을까? 그런데 청소년들이 이렇게 많이 본다는 게 신기했습니다.
일단 청소년들 사이에 '외모지상주의'란 웹툰으로 유명한 작가가 보건복지부와 함께 금연 캠페인에 나선 게 주효했는데요.
그래서 제가 직접 웹툰 작가와 만나봤는데, 한번 그 이유를 직접 들어보시죠.
<인터뷰> 박태준('웹툰 작가) : "이거 나 가르치려는 느낌이 아닐까 생각하는데 아예 대놓고 제목에 본격 금연 권장 만화라고 하면 이거 봐라 하면서 보는 사람들 이미 머릿속에는 이게 금연에 관한 내용이다 라는 걸 알고 보기 때문에 만화만 재미있게 제가 잘 그려낼 수 있다면 애들이 거부감을 가지지 않고 보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서"
뿐만 아니라 이렇게 인기 웹툰이란 형식을 빌린 것 자체가 청소년 대상 금연캠페인에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 청소년들 스마트폰 보유율이 76%가 넘고요.
학교 등하교, 학원 등하원 할 때 웹툰이나 동영상을 보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입니다.
<질문>
청소년들이 직접 제작한 UCC도 있다면서요.
<답변>
네, 어른들이 만든 캠페인이 아닌,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만든 금연 동영상은 아이디어나 소재가 참신했는데요.
올해 여성가족부 주관으로 청소년 흡연·음주예방 UCC 공모전에서 인천 삼산고 학생들이 만든 우수상 작품을 한번 감상해보시죠.
<인터뷰> 박하얀(인천 삼산 고등학교) : "무거운 내용보다 청소년 친구들이 더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재미있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올챙이와 개구리 노래 맞춰서 재미있게 연출을 했어요."
재치가 가득하죠.
저는 "누런 이에 폭풍 구취, 담배 안 돼요" 가사에 웃고 말았는데요.
담배 냄새에 남자친구가 기겁하고 도망가는 장면도 인상적입니다.
담배 피우면 폐암에 걸리고, 뇌출혈을 일으킨다는 무겁고 진지한 공익광고 대신 청소년들 사이에 쉽게 공감이 가는 내용을 구성한 겁니다.
청소년 10명 중 1명이 흡연을 하는 상황.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유머와 감성 코드를 활용한 흡연 예방 메시지가 자연스러운 금연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
-
박광식 기자 doctor@kbs.co.kr
박광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