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미 국방부 사이버안보 위협 ‘북한’ 거론
입력 2015.09.30 (04:24) 국제
미국 국방부가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는 존재로 가장 먼저 북한을 거론했습니다.
로버트 워크 美 국방부 부장관은 어제 美 상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한 서한에서,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을 '사이버위협'의 첫 사례로 지목했습니다.
이 회의에 참석한 제임스 클래퍼 美 국가정보국장도 주요 위협 행위자로 러시아와 중국, 이란 다음으로 북한을 꼽았습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은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로버트 워크 美 국방부 부장관은 어제 美 상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한 서한에서,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을 '사이버위협'의 첫 사례로 지목했습니다.
이 회의에 참석한 제임스 클래퍼 美 국가정보국장도 주요 위협 행위자로 러시아와 중국, 이란 다음으로 북한을 꼽았습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은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 미 국방부 사이버안보 위협 ‘북한’ 거론
-
- 입력 2015-09-30 04:24:49
미국 국방부가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는 존재로 가장 먼저 북한을 거론했습니다.
로버트 워크 美 국방부 부장관은 어제 美 상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한 서한에서,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을 '사이버위협'의 첫 사례로 지목했습니다.
이 회의에 참석한 제임스 클래퍼 美 국가정보국장도 주요 위협 행위자로 러시아와 중국, 이란 다음으로 북한을 꼽았습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은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로버트 워크 美 국방부 부장관은 어제 美 상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한 서한에서,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을 '사이버위협'의 첫 사례로 지목했습니다.
이 회의에 참석한 제임스 클래퍼 美 국가정보국장도 주요 위협 행위자로 러시아와 중국, 이란 다음으로 북한을 꼽았습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은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 기자 정보
-
-
엄진아 기자 aza@kbs.co.kr
엄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