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땅에서…北, SNS로 체제 선전 강화
입력 2015.12.09 (19:15)
수정 2015.12.09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헬리콥터에 이어 이번엔 관광객들이 경비행기를 타고 평양 상공을 비행하는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외국인이 촬영한 대동강변 주말 풍경도 SNS를 통해 소개됐는데요,
북한이 외국인들의 영상을 통해 체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항공권을 손에 쥐고 탑승교에 오른 외국인 관광객들.
활주로엔 경비행기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녹취> "이거 작은데...(귀여워)"
비행기가 날아오르자 눈 덮인 평양 시내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평양의 대표 상징물들이 차례차례 시선에 들어오고, 주체사상탑 꼭대기 횃불은 손에 잡힐 듯 가깝습니다.
과학기술전당과 대동강변은 화려함이 돋보입니다.
반면에 구 시가지는 낮고 단조로운 건물로 채워지는 등 하늘에서 본 평양은 과거와 현재가 뚜렷이 대비됩니다.
35분짜리 경비행기 관광 비용은 우리 돈 76만 원.
맞은편에선 또 다른 관광 헬기가 날아 다닐 정도로 항공관광은 이미 낯설지 않습니다.
주말, 대동강변에선 바둑알을 이용한 내기 게임이 한창이고,
<녹취> "요거, 요거 하나만 나오면 5천원! 기분 좋지?"
우리나라에선 수십년 전 놀이공원에 있었던 낡은 장난감총 게임장도 운영됩니다.
강가에 낚시대를 드리우거나, 거리 공연을 하는 악사 등 평양 시민들의 일상은 평범해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SNS를 통해 공개하는 영상의 배경에는 외화벌이와 체제홍보라는 북한의 대외 전략이 숨어있다고 분석합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헬리콥터에 이어 이번엔 관광객들이 경비행기를 타고 평양 상공을 비행하는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외국인이 촬영한 대동강변 주말 풍경도 SNS를 통해 소개됐는데요,
북한이 외국인들의 영상을 통해 체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항공권을 손에 쥐고 탑승교에 오른 외국인 관광객들.
활주로엔 경비행기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녹취> "이거 작은데...(귀여워)"
비행기가 날아오르자 눈 덮인 평양 시내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평양의 대표 상징물들이 차례차례 시선에 들어오고, 주체사상탑 꼭대기 횃불은 손에 잡힐 듯 가깝습니다.
과학기술전당과 대동강변은 화려함이 돋보입니다.
반면에 구 시가지는 낮고 단조로운 건물로 채워지는 등 하늘에서 본 평양은 과거와 현재가 뚜렷이 대비됩니다.
35분짜리 경비행기 관광 비용은 우리 돈 76만 원.
맞은편에선 또 다른 관광 헬기가 날아 다닐 정도로 항공관광은 이미 낯설지 않습니다.
주말, 대동강변에선 바둑알을 이용한 내기 게임이 한창이고,
<녹취> "요거, 요거 하나만 나오면 5천원! 기분 좋지?"
우리나라에선 수십년 전 놀이공원에 있었던 낡은 장난감총 게임장도 운영됩니다.
강가에 낚시대를 드리우거나, 거리 공연을 하는 악사 등 평양 시민들의 일상은 평범해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SNS를 통해 공개하는 영상의 배경에는 외화벌이와 체제홍보라는 북한의 대외 전략이 숨어있다고 분석합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늘에서 땅에서…北, SNS로 체제 선전 강화
-
- 입력 2015-12-09 19:17:28
- 수정2015-12-09 22:06:31

<앵커 멘트>
헬리콥터에 이어 이번엔 관광객들이 경비행기를 타고 평양 상공을 비행하는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외국인이 촬영한 대동강변 주말 풍경도 SNS를 통해 소개됐는데요,
북한이 외국인들의 영상을 통해 체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항공권을 손에 쥐고 탑승교에 오른 외국인 관광객들.
활주로엔 경비행기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녹취> "이거 작은데...(귀여워)"
비행기가 날아오르자 눈 덮인 평양 시내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평양의 대표 상징물들이 차례차례 시선에 들어오고, 주체사상탑 꼭대기 횃불은 손에 잡힐 듯 가깝습니다.
과학기술전당과 대동강변은 화려함이 돋보입니다.
반면에 구 시가지는 낮고 단조로운 건물로 채워지는 등 하늘에서 본 평양은 과거와 현재가 뚜렷이 대비됩니다.
35분짜리 경비행기 관광 비용은 우리 돈 76만 원.
맞은편에선 또 다른 관광 헬기가 날아 다닐 정도로 항공관광은 이미 낯설지 않습니다.
주말, 대동강변에선 바둑알을 이용한 내기 게임이 한창이고,
<녹취> "요거, 요거 하나만 나오면 5천원! 기분 좋지?"
우리나라에선 수십년 전 놀이공원에 있었던 낡은 장난감총 게임장도 운영됩니다.
강가에 낚시대를 드리우거나, 거리 공연을 하는 악사 등 평양 시민들의 일상은 평범해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SNS를 통해 공개하는 영상의 배경에는 외화벌이와 체제홍보라는 북한의 대외 전략이 숨어있다고 분석합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헬리콥터에 이어 이번엔 관광객들이 경비행기를 타고 평양 상공을 비행하는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외국인이 촬영한 대동강변 주말 풍경도 SNS를 통해 소개됐는데요,
북한이 외국인들의 영상을 통해 체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항공권을 손에 쥐고 탑승교에 오른 외국인 관광객들.
활주로엔 경비행기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녹취> "이거 작은데...(귀여워)"
비행기가 날아오르자 눈 덮인 평양 시내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평양의 대표 상징물들이 차례차례 시선에 들어오고, 주체사상탑 꼭대기 횃불은 손에 잡힐 듯 가깝습니다.
과학기술전당과 대동강변은 화려함이 돋보입니다.
반면에 구 시가지는 낮고 단조로운 건물로 채워지는 등 하늘에서 본 평양은 과거와 현재가 뚜렷이 대비됩니다.
35분짜리 경비행기 관광 비용은 우리 돈 76만 원.
맞은편에선 또 다른 관광 헬기가 날아 다닐 정도로 항공관광은 이미 낯설지 않습니다.
주말, 대동강변에선 바둑알을 이용한 내기 게임이 한창이고,
<녹취> "요거, 요거 하나만 나오면 5천원! 기분 좋지?"
우리나라에선 수십년 전 놀이공원에 있었던 낡은 장난감총 게임장도 운영됩니다.
강가에 낚시대를 드리우거나, 거리 공연을 하는 악사 등 평양 시민들의 일상은 평범해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SNS를 통해 공개하는 영상의 배경에는 외화벌이와 체제홍보라는 북한의 대외 전략이 숨어있다고 분석합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