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국회의장 압박, 긴급재정경제명령까지…야당 반발
입력 2015.12.16 (23:04)
수정 2015.12.17 (00: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정의화 국회의장의 완고한 입장에 새누리당은 직권 상정 결의문까지 채택했습니다.
의장 해임 결의안, 대통령의 긴급 재정 경제 명령 발동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야당의 반발은 강했습니다.
계속해서 이승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소속 의원 전원 찬성으로 직권상정 결의문을 채택했습니다.
이어 결의문을 전달하기 위해 국회의장실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정의화 국회의장은 선진화법상 안되는 걸 알지 않느냐며 자리를
<녹취> 정의화(국회의장) : "나는 이야기 다 했는데 무슨 이야기를 더해."
<인터뷰> 김정훈(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선진화법 이게 문제가 있으니까. (정 의장이) 그때 왜 찬성해 놓고 (그러느냐고)"
새누리당에서는 친박계를 중심으로 정 의장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고, 의장 해임 결의안 제출 얘기까지 나왔습니다.
<인터뷰> 윤상현(의원) : "국회의장만 살고 국회는 죽어야 합니까?"
대통령이 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동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인터뷰> 이인제(새누리당 최고위원) : "그 다음 기다리고 있는 것은 대통령의 긴급권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그 법을 다시 검토해보겠습니다. (긴급재정명령권도?) 검토해보겠습니다."
긴급재정·경제명령은 중대한 재정 경제상의 위기가 있을 때 대통령의 명령만으로 법적 효력을 갖는데, 국회의 사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1993년 금융실명제가 가장 최근 발동 사례입니다.
야당은 청와대와 여당의 입법권 훼손이 도를 넘었다며 반발했습니다.
<인터뷰> 김성수(새정치연합 대변인) :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비상식적인 요구는 국회 파행을 조장하는 것입니다."
경제활성화법안 처리를 놓고, 국회의장과 여당 지도부가 갈등을 빚으면서 연말 정국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정의화 국회의장의 완고한 입장에 새누리당은 직권 상정 결의문까지 채택했습니다.
의장 해임 결의안, 대통령의 긴급 재정 경제 명령 발동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야당의 반발은 강했습니다.
계속해서 이승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소속 의원 전원 찬성으로 직권상정 결의문을 채택했습니다.
이어 결의문을 전달하기 위해 국회의장실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정의화 국회의장은 선진화법상 안되는 걸 알지 않느냐며 자리를
<녹취> 정의화(국회의장) : "나는 이야기 다 했는데 무슨 이야기를 더해."
<인터뷰> 김정훈(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선진화법 이게 문제가 있으니까. (정 의장이) 그때 왜 찬성해 놓고 (그러느냐고)"
새누리당에서는 친박계를 중심으로 정 의장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고, 의장 해임 결의안 제출 얘기까지 나왔습니다.
<인터뷰> 윤상현(의원) : "국회의장만 살고 국회는 죽어야 합니까?"
대통령이 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동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인터뷰> 이인제(새누리당 최고위원) : "그 다음 기다리고 있는 것은 대통령의 긴급권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그 법을 다시 검토해보겠습니다. (긴급재정명령권도?) 검토해보겠습니다."
긴급재정·경제명령은 중대한 재정 경제상의 위기가 있을 때 대통령의 명령만으로 법적 효력을 갖는데, 국회의 사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1993년 금융실명제가 가장 최근 발동 사례입니다.
야당은 청와대와 여당의 입법권 훼손이 도를 넘었다며 반발했습니다.
<인터뷰> 김성수(새정치연합 대변인) :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비상식적인 요구는 국회 파행을 조장하는 것입니다."
경제활성화법안 처리를 놓고, 국회의장과 여당 지도부가 갈등을 빚으면서 연말 정국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누리 국회의장 압박, 긴급재정경제명령까지…야당 반발
-
- 입력 2015-12-16 23:05:29
- 수정2015-12-17 00:23:24

<앵커 멘트>
정의화 국회의장의 완고한 입장에 새누리당은 직권 상정 결의문까지 채택했습니다.
의장 해임 결의안, 대통령의 긴급 재정 경제 명령 발동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야당의 반발은 강했습니다.
계속해서 이승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소속 의원 전원 찬성으로 직권상정 결의문을 채택했습니다.
이어 결의문을 전달하기 위해 국회의장실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정의화 국회의장은 선진화법상 안되는 걸 알지 않느냐며 자리를
<녹취> 정의화(국회의장) : "나는 이야기 다 했는데 무슨 이야기를 더해."
<인터뷰> 김정훈(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선진화법 이게 문제가 있으니까. (정 의장이) 그때 왜 찬성해 놓고 (그러느냐고)"
새누리당에서는 친박계를 중심으로 정 의장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고, 의장 해임 결의안 제출 얘기까지 나왔습니다.
<인터뷰> 윤상현(의원) : "국회의장만 살고 국회는 죽어야 합니까?"
대통령이 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동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인터뷰> 이인제(새누리당 최고위원) : "그 다음 기다리고 있는 것은 대통령의 긴급권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그 법을 다시 검토해보겠습니다. (긴급재정명령권도?) 검토해보겠습니다."
긴급재정·경제명령은 중대한 재정 경제상의 위기가 있을 때 대통령의 명령만으로 법적 효력을 갖는데, 국회의 사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1993년 금융실명제가 가장 최근 발동 사례입니다.
야당은 청와대와 여당의 입법권 훼손이 도를 넘었다며 반발했습니다.
<인터뷰> 김성수(새정치연합 대변인) :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비상식적인 요구는 국회 파행을 조장하는 것입니다."
경제활성화법안 처리를 놓고, 국회의장과 여당 지도부가 갈등을 빚으면서 연말 정국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정의화 국회의장의 완고한 입장에 새누리당은 직권 상정 결의문까지 채택했습니다.
의장 해임 결의안, 대통령의 긴급 재정 경제 명령 발동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야당의 반발은 강했습니다.
계속해서 이승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소속 의원 전원 찬성으로 직권상정 결의문을 채택했습니다.
이어 결의문을 전달하기 위해 국회의장실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정의화 국회의장은 선진화법상 안되는 걸 알지 않느냐며 자리를
<녹취> 정의화(국회의장) : "나는 이야기 다 했는데 무슨 이야기를 더해."
<인터뷰> 김정훈(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선진화법 이게 문제가 있으니까. (정 의장이) 그때 왜 찬성해 놓고 (그러느냐고)"
새누리당에서는 친박계를 중심으로 정 의장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고, 의장 해임 결의안 제출 얘기까지 나왔습니다.
<인터뷰> 윤상현(의원) : "국회의장만 살고 국회는 죽어야 합니까?"
대통령이 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동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인터뷰> 이인제(새누리당 최고위원) : "그 다음 기다리고 있는 것은 대통령의 긴급권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그 법을 다시 검토해보겠습니다. (긴급재정명령권도?) 검토해보겠습니다."
긴급재정·경제명령은 중대한 재정 경제상의 위기가 있을 때 대통령의 명령만으로 법적 효력을 갖는데, 국회의 사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1993년 금융실명제가 가장 최근 발동 사례입니다.
야당은 청와대와 여당의 입법권 훼손이 도를 넘었다며 반발했습니다.
<인터뷰> 김성수(새정치연합 대변인) :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비상식적인 요구는 국회 파행을 조장하는 것입니다."
경제활성화법안 처리를 놓고, 국회의장과 여당 지도부가 갈등을 빚으면서 연말 정국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
이승철 기자 neost@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