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정부, 치매 고위험군 직접 찾아 예방한다
입력 2015.12.18 (08:16) 수정 2015.12.18 (08:59)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올해 65만명이었던 치매 환자 수가 2050년이면 271만명까지 급증할 전망입니다.
수술·요양비 등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직접 치매 고위험군을 찾아 예방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김덕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곱게 차려 입은 할머니들, 온 신경을 집중해 퍼즐을 맞춥니다.
<녹취> "모양대로 똑같이 올려놔주세요."
판단력이 흐려져 겪을 수 있는 사기 피해 방지 교육도 받습니다.
가벼운 인지 장애가 있거나 홀로 사는 노인 등 치매 고위험군을 위한 기억력 재활 프로그램입니다.
89살 박모 할머니는 교육을 받고부터 삶이 행복해졌습니다.
<녹취> 박모 할머니(경기도 양평군) : "노래 가르쳐 주는 것도 재밌고, 운동하는 것도 좋고, 밥도 규칙적으로 잘 먹고요."
앞으로는 정부가 치매 고위험군 노인을 직접 찾아 예방 교육을 실시합니다.
전화와 우편으로 치매 예방 수칙과 운동법을 알리고, 보건소 간호사가 집을 찾아 치매 상담도 해 줍니다.
장기요양보험 대상 치매 노인 1명에 한해 평균 1023만 원이 드는 등 사회적 비용이 커 예방에 초점을 맞춘 겁니다.
<인터뷰> 박해구(건강보험 서울요양원 원장) : "문제 행동이 나타날 때 대응을 하면 이미 때가 좀 늦어버려요. 사전 예방 활동이 좀 일어나야 되고요."
치매 노인 상담에 드는 건강보험 수가도 새로 마련됩니다.
<녹취> 임인택(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진료를 기피했던 치매 가족 상담을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보험 수가를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치매 환자를 자주 접하는 경찰·은행원·의료인 등을 교육해 치매 노인 실종을 막는 치매 안심마을도 지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올해 65만명이었던 치매 환자 수가 2050년이면 271만명까지 급증할 전망입니다.
수술·요양비 등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직접 치매 고위험군을 찾아 예방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김덕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곱게 차려 입은 할머니들, 온 신경을 집중해 퍼즐을 맞춥니다.
<녹취> "모양대로 똑같이 올려놔주세요."
판단력이 흐려져 겪을 수 있는 사기 피해 방지 교육도 받습니다.
가벼운 인지 장애가 있거나 홀로 사는 노인 등 치매 고위험군을 위한 기억력 재활 프로그램입니다.
89살 박모 할머니는 교육을 받고부터 삶이 행복해졌습니다.
<녹취> 박모 할머니(경기도 양평군) : "노래 가르쳐 주는 것도 재밌고, 운동하는 것도 좋고, 밥도 규칙적으로 잘 먹고요."
앞으로는 정부가 치매 고위험군 노인을 직접 찾아 예방 교육을 실시합니다.
전화와 우편으로 치매 예방 수칙과 운동법을 알리고, 보건소 간호사가 집을 찾아 치매 상담도 해 줍니다.
장기요양보험 대상 치매 노인 1명에 한해 평균 1023만 원이 드는 등 사회적 비용이 커 예방에 초점을 맞춘 겁니다.
<인터뷰> 박해구(건강보험 서울요양원 원장) : "문제 행동이 나타날 때 대응을 하면 이미 때가 좀 늦어버려요. 사전 예방 활동이 좀 일어나야 되고요."
치매 노인 상담에 드는 건강보험 수가도 새로 마련됩니다.
<녹취> 임인택(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진료를 기피했던 치매 가족 상담을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보험 수가를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치매 환자를 자주 접하는 경찰·은행원·의료인 등을 교육해 치매 노인 실종을 막는 치매 안심마을도 지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 정부, 치매 고위험군 직접 찾아 예방한다
-
- 입력 2015-12-18 08:18:10
- 수정2015-12-18 08:59:52

<앵커 멘트>
올해 65만명이었던 치매 환자 수가 2050년이면 271만명까지 급증할 전망입니다.
수술·요양비 등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직접 치매 고위험군을 찾아 예방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김덕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곱게 차려 입은 할머니들, 온 신경을 집중해 퍼즐을 맞춥니다.
<녹취> "모양대로 똑같이 올려놔주세요."
판단력이 흐려져 겪을 수 있는 사기 피해 방지 교육도 받습니다.
가벼운 인지 장애가 있거나 홀로 사는 노인 등 치매 고위험군을 위한 기억력 재활 프로그램입니다.
89살 박모 할머니는 교육을 받고부터 삶이 행복해졌습니다.
<녹취> 박모 할머니(경기도 양평군) : "노래 가르쳐 주는 것도 재밌고, 운동하는 것도 좋고, 밥도 규칙적으로 잘 먹고요."
앞으로는 정부가 치매 고위험군 노인을 직접 찾아 예방 교육을 실시합니다.
전화와 우편으로 치매 예방 수칙과 운동법을 알리고, 보건소 간호사가 집을 찾아 치매 상담도 해 줍니다.
장기요양보험 대상 치매 노인 1명에 한해 평균 1023만 원이 드는 등 사회적 비용이 커 예방에 초점을 맞춘 겁니다.
<인터뷰> 박해구(건강보험 서울요양원 원장) : "문제 행동이 나타날 때 대응을 하면 이미 때가 좀 늦어버려요. 사전 예방 활동이 좀 일어나야 되고요."
치매 노인 상담에 드는 건강보험 수가도 새로 마련됩니다.
<녹취> 임인택(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진료를 기피했던 치매 가족 상담을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보험 수가를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치매 환자를 자주 접하는 경찰·은행원·의료인 등을 교육해 치매 노인 실종을 막는 치매 안심마을도 지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올해 65만명이었던 치매 환자 수가 2050년이면 271만명까지 급증할 전망입니다.
수술·요양비 등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직접 치매 고위험군을 찾아 예방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김덕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곱게 차려 입은 할머니들, 온 신경을 집중해 퍼즐을 맞춥니다.
<녹취> "모양대로 똑같이 올려놔주세요."
판단력이 흐려져 겪을 수 있는 사기 피해 방지 교육도 받습니다.
가벼운 인지 장애가 있거나 홀로 사는 노인 등 치매 고위험군을 위한 기억력 재활 프로그램입니다.
89살 박모 할머니는 교육을 받고부터 삶이 행복해졌습니다.
<녹취> 박모 할머니(경기도 양평군) : "노래 가르쳐 주는 것도 재밌고, 운동하는 것도 좋고, 밥도 규칙적으로 잘 먹고요."
앞으로는 정부가 치매 고위험군 노인을 직접 찾아 예방 교육을 실시합니다.
전화와 우편으로 치매 예방 수칙과 운동법을 알리고, 보건소 간호사가 집을 찾아 치매 상담도 해 줍니다.
장기요양보험 대상 치매 노인 1명에 한해 평균 1023만 원이 드는 등 사회적 비용이 커 예방에 초점을 맞춘 겁니다.
<인터뷰> 박해구(건강보험 서울요양원 원장) : "문제 행동이 나타날 때 대응을 하면 이미 때가 좀 늦어버려요. 사전 예방 활동이 좀 일어나야 되고요."
치매 노인 상담에 드는 건강보험 수가도 새로 마련됩니다.
<녹취> 임인택(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진료를 기피했던 치매 가족 상담을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보험 수가를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치매 환자를 자주 접하는 경찰·은행원·의료인 등을 교육해 치매 노인 실종을 막는 치매 안심마을도 지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아침뉴스타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덕훈 기자 standby@kbs.co.kr
김덕훈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