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버리는 낙엽으로 농가와 취약계층에 온정 전해요
입력 2015.12.18 (19:19) 수정 2015.12.18 (19:42) 뉴스 7
<앵커 멘트>
공원 청소나 숲 가꾸기 사업을 하고 나면, 남는 낙엽과 잔가지가 적지 않습니다.
버리기에도 곤란한 이 쓰레기들을 농가나 취약계층에 전달해 온정을 전하는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원 바닥에 수북이 쌓인 낙엽을 빠짐없이 자루에 담습니다.
트럭 가득 낙엽 자루를 싣고 향한 곳은 한 화훼농가입니다.
고양시가 도심 공원과 가로수에서 거둔 낙엽 180여 톤을 버리지 않고 퇴비 등으로 쓸 수 있게 농가에 나눠주는 겁니다.
시는 폐기물 처리 비용을 아끼고, 농가는 공짜로 퇴비를 얻습니다.
<인터뷰> 김희곤(화훼농장주) : "(낙엽을)깨끗이 해서 주니까 손볼 것도 없습니다. 쓰레기가 하나도 없잖아요. 금상첨화입니다."
숲 가꾸기를 하면서 쳐낸 나무.
그 가운데 재활용할 수 없는 잔가지들이 땔감으로 변신합니다.
연천군이 올해 숲 가꾸기를 통해 얻은 나무 360여 톤을 취약계층 70여 가구에 땔감으로 제공했습니다.
겨울을 나기엔 부족해도 한 달은 충분히 따뜻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장진규(경기 연천군) : "(경제적으로)도움이 되고 방도 따뜻하고... 매년 주시니까 고맙죠."
버리는 낙엽과 나무를 농가나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면서, 환경을 개선하고 이웃도 돕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연주입니다.
공원 청소나 숲 가꾸기 사업을 하고 나면, 남는 낙엽과 잔가지가 적지 않습니다.
버리기에도 곤란한 이 쓰레기들을 농가나 취약계층에 전달해 온정을 전하는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원 바닥에 수북이 쌓인 낙엽을 빠짐없이 자루에 담습니다.
트럭 가득 낙엽 자루를 싣고 향한 곳은 한 화훼농가입니다.
고양시가 도심 공원과 가로수에서 거둔 낙엽 180여 톤을 버리지 않고 퇴비 등으로 쓸 수 있게 농가에 나눠주는 겁니다.
시는 폐기물 처리 비용을 아끼고, 농가는 공짜로 퇴비를 얻습니다.
<인터뷰> 김희곤(화훼농장주) : "(낙엽을)깨끗이 해서 주니까 손볼 것도 없습니다. 쓰레기가 하나도 없잖아요. 금상첨화입니다."
숲 가꾸기를 하면서 쳐낸 나무.
그 가운데 재활용할 수 없는 잔가지들이 땔감으로 변신합니다.
연천군이 올해 숲 가꾸기를 통해 얻은 나무 360여 톤을 취약계층 70여 가구에 땔감으로 제공했습니다.
겨울을 나기엔 부족해도 한 달은 충분히 따뜻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장진규(경기 연천군) : "(경제적으로)도움이 되고 방도 따뜻하고... 매년 주시니까 고맙죠."
버리는 낙엽과 나무를 농가나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면서, 환경을 개선하고 이웃도 돕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연주입니다.
- 버리는 낙엽으로 농가와 취약계층에 온정 전해요
-
- 입력 2015-12-18 19:20:34
- 수정2015-12-18 19:42:26

<앵커 멘트>
공원 청소나 숲 가꾸기 사업을 하고 나면, 남는 낙엽과 잔가지가 적지 않습니다.
버리기에도 곤란한 이 쓰레기들을 농가나 취약계층에 전달해 온정을 전하는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원 바닥에 수북이 쌓인 낙엽을 빠짐없이 자루에 담습니다.
트럭 가득 낙엽 자루를 싣고 향한 곳은 한 화훼농가입니다.
고양시가 도심 공원과 가로수에서 거둔 낙엽 180여 톤을 버리지 않고 퇴비 등으로 쓸 수 있게 농가에 나눠주는 겁니다.
시는 폐기물 처리 비용을 아끼고, 농가는 공짜로 퇴비를 얻습니다.
<인터뷰> 김희곤(화훼농장주) : "(낙엽을)깨끗이 해서 주니까 손볼 것도 없습니다. 쓰레기가 하나도 없잖아요. 금상첨화입니다."
숲 가꾸기를 하면서 쳐낸 나무.
그 가운데 재활용할 수 없는 잔가지들이 땔감으로 변신합니다.
연천군이 올해 숲 가꾸기를 통해 얻은 나무 360여 톤을 취약계층 70여 가구에 땔감으로 제공했습니다.
겨울을 나기엔 부족해도 한 달은 충분히 따뜻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장진규(경기 연천군) : "(경제적으로)도움이 되고 방도 따뜻하고... 매년 주시니까 고맙죠."
버리는 낙엽과 나무를 농가나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면서, 환경을 개선하고 이웃도 돕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연주입니다.
공원 청소나 숲 가꾸기 사업을 하고 나면, 남는 낙엽과 잔가지가 적지 않습니다.
버리기에도 곤란한 이 쓰레기들을 농가나 취약계층에 전달해 온정을 전하는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연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원 바닥에 수북이 쌓인 낙엽을 빠짐없이 자루에 담습니다.
트럭 가득 낙엽 자루를 싣고 향한 곳은 한 화훼농가입니다.
고양시가 도심 공원과 가로수에서 거둔 낙엽 180여 톤을 버리지 않고 퇴비 등으로 쓸 수 있게 농가에 나눠주는 겁니다.
시는 폐기물 처리 비용을 아끼고, 농가는 공짜로 퇴비를 얻습니다.
<인터뷰> 김희곤(화훼농장주) : "(낙엽을)깨끗이 해서 주니까 손볼 것도 없습니다. 쓰레기가 하나도 없잖아요. 금상첨화입니다."
숲 가꾸기를 하면서 쳐낸 나무.
그 가운데 재활용할 수 없는 잔가지들이 땔감으로 변신합니다.
연천군이 올해 숲 가꾸기를 통해 얻은 나무 360여 톤을 취약계층 70여 가구에 땔감으로 제공했습니다.
겨울을 나기엔 부족해도 한 달은 충분히 따뜻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장진규(경기 연천군) : "(경제적으로)도움이 되고 방도 따뜻하고... 매년 주시니까 고맙죠."
버리는 낙엽과 나무를 농가나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면서, 환경을 개선하고 이웃도 돕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연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연주 기자 mint@kbs.co.kr
김연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