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서울 외국인 46만 명…첫 주민대표자 회의 출범
입력 2015.12.18 (21:24) 수정 2015.12.18 (21:37) 뉴스 9
<앵커 멘트>
오늘(18일)은 세계 이주민의 날입니다.
국내의 외국인은 이미 140만 명을 넘었는데요.
이들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해 외국인 주민 대표자 회의가 처음으로 운영됩니다.
취재에 홍성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부의 연을 맺고 한국에 살고 있는 원금옥 씨,
처음엔 말이 안 통해 애 먹었지만, 이젠 통역과 번역 일을 하며 베트남 이주민 모임을 운영합니다.
<녹취> "(요즘 걱정거리 있어?) 가게를 해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알아봐야 할지 모르겠어."
정착의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 보다 편견입니다.
<인터뷰> 원금옥(외국인 주민 대표자) : "편견이라는 건 이주 여성에 대해서 잘 몰라서 그런 거 같은데요. 우리도 아주 한국사회에 정착하느라 엄청 힘들어서.."
외국인 주민 대표자 회의가 처음으로 서울에서 상설 자문 기구로 출범했습니다.
일상의 고충을 정책으로 반영하자는 취지입니다.
<녹취> 토미엔(베트남 유학생) : "공부 과정이 길어질 수 있는데 한국정부가 외국인에게 딱 기간을 정하고 있고 절차도 복잡해서"
<녹취> 산제이(네팔 유학생) : "남편이 어떻게 돈 벌고 있는지 공장에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와서 보고 같이 있는 비자가 있으면."
대표자들은 모두 38명으로 유럽과 아시아, 미국 등 23개 나라 출신입니다.
<녹취> 박원순(서울시장) : "외국인 주민과 서울시민이 함께 행복하고 또 함께 중심이 되는 그런 서울을 꿈꾸고 있습니다."
지난해 외국인의 서울살이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97로 주거와 안전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경제 환경과 의사 소통에선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오늘(18일)은 세계 이주민의 날입니다.
국내의 외국인은 이미 140만 명을 넘었는데요.
이들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해 외국인 주민 대표자 회의가 처음으로 운영됩니다.
취재에 홍성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부의 연을 맺고 한국에 살고 있는 원금옥 씨,
처음엔 말이 안 통해 애 먹었지만, 이젠 통역과 번역 일을 하며 베트남 이주민 모임을 운영합니다.
<녹취> "(요즘 걱정거리 있어?) 가게를 해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알아봐야 할지 모르겠어."
정착의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 보다 편견입니다.
<인터뷰> 원금옥(외국인 주민 대표자) : "편견이라는 건 이주 여성에 대해서 잘 몰라서 그런 거 같은데요. 우리도 아주 한국사회에 정착하느라 엄청 힘들어서.."
외국인 주민 대표자 회의가 처음으로 서울에서 상설 자문 기구로 출범했습니다.
일상의 고충을 정책으로 반영하자는 취지입니다.
<녹취> 토미엔(베트남 유학생) : "공부 과정이 길어질 수 있는데 한국정부가 외국인에게 딱 기간을 정하고 있고 절차도 복잡해서"
<녹취> 산제이(네팔 유학생) : "남편이 어떻게 돈 벌고 있는지 공장에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와서 보고 같이 있는 비자가 있으면."
대표자들은 모두 38명으로 유럽과 아시아, 미국 등 23개 나라 출신입니다.
<녹취> 박원순(서울시장) : "외국인 주민과 서울시민이 함께 행복하고 또 함께 중심이 되는 그런 서울을 꿈꾸고 있습니다."
지난해 외국인의 서울살이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97로 주거와 안전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경제 환경과 의사 소통에선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서울 외국인 46만 명…첫 주민대표자 회의 출범
-
- 입력 2015-12-18 21:25:41
- 수정2015-12-18 21:37:15

<앵커 멘트>
오늘(18일)은 세계 이주민의 날입니다.
국내의 외국인은 이미 140만 명을 넘었는데요.
이들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해 외국인 주민 대표자 회의가 처음으로 운영됩니다.
취재에 홍성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부의 연을 맺고 한국에 살고 있는 원금옥 씨,
처음엔 말이 안 통해 애 먹었지만, 이젠 통역과 번역 일을 하며 베트남 이주민 모임을 운영합니다.
<녹취> "(요즘 걱정거리 있어?) 가게를 해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알아봐야 할지 모르겠어."
정착의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 보다 편견입니다.
<인터뷰> 원금옥(외국인 주민 대표자) : "편견이라는 건 이주 여성에 대해서 잘 몰라서 그런 거 같은데요. 우리도 아주 한국사회에 정착하느라 엄청 힘들어서.."
외국인 주민 대표자 회의가 처음으로 서울에서 상설 자문 기구로 출범했습니다.
일상의 고충을 정책으로 반영하자는 취지입니다.
<녹취> 토미엔(베트남 유학생) : "공부 과정이 길어질 수 있는데 한국정부가 외국인에게 딱 기간을 정하고 있고 절차도 복잡해서"
<녹취> 산제이(네팔 유학생) : "남편이 어떻게 돈 벌고 있는지 공장에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와서 보고 같이 있는 비자가 있으면."
대표자들은 모두 38명으로 유럽과 아시아, 미국 등 23개 나라 출신입니다.
<녹취> 박원순(서울시장) : "외국인 주민과 서울시민이 함께 행복하고 또 함께 중심이 되는 그런 서울을 꿈꾸고 있습니다."
지난해 외국인의 서울살이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97로 주거와 안전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경제 환경과 의사 소통에선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오늘(18일)은 세계 이주민의 날입니다.
국내의 외국인은 이미 140만 명을 넘었는데요.
이들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해 외국인 주민 대표자 회의가 처음으로 운영됩니다.
취재에 홍성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부의 연을 맺고 한국에 살고 있는 원금옥 씨,
처음엔 말이 안 통해 애 먹었지만, 이젠 통역과 번역 일을 하며 베트남 이주민 모임을 운영합니다.
<녹취> "(요즘 걱정거리 있어?) 가게를 해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알아봐야 할지 모르겠어."
정착의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 보다 편견입니다.
<인터뷰> 원금옥(외국인 주민 대표자) : "편견이라는 건 이주 여성에 대해서 잘 몰라서 그런 거 같은데요. 우리도 아주 한국사회에 정착하느라 엄청 힘들어서.."
외국인 주민 대표자 회의가 처음으로 서울에서 상설 자문 기구로 출범했습니다.
일상의 고충을 정책으로 반영하자는 취지입니다.
<녹취> 토미엔(베트남 유학생) : "공부 과정이 길어질 수 있는데 한국정부가 외국인에게 딱 기간을 정하고 있고 절차도 복잡해서"
<녹취> 산제이(네팔 유학생) : "남편이 어떻게 돈 벌고 있는지 공장에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와서 보고 같이 있는 비자가 있으면."
대표자들은 모두 38명으로 유럽과 아시아, 미국 등 23개 나라 출신입니다.
<녹취> 박원순(서울시장) : "외국인 주민과 서울시민이 함께 행복하고 또 함께 중심이 되는 그런 서울을 꿈꾸고 있습니다."
지난해 외국인의 서울살이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97로 주거와 안전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경제 환경과 의사 소통에선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