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올림픽 메달 프로젝트…‘선택과 집중’

입력 2015.12.23 (21:46) 수정 2015.12.23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김연아가 없는 평창동계올림픽은 이제 유망 종목에 더 집중하는 전략적 선택을 해야만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홈 이점이 가장 큰 썰매의 스켈레톤 대표팀이 오늘 처음 슬라이딩센터 트랙을 방문해 코스 전략 세우기에 돌입했고, 빙속대표팀은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한 초정밀 분석을 시작했습니다.

두 종목의 평창 메달 프로젝트를 이승철, 정현숙기자가 연속 보도합니다.

<리포트>

스켈레톤 대표팀이 직접 평창 슬라이딩 센터 트랙을 밟습니다.

전체 16개 곡선 구간 가운데 7개 구간을 살펴보며 특성을 점검합니다.

<인터뷰> 윤성빈(스켈레톤 국가대표) : "어느 정도의 윤곽이 보이기 때문에 어떤 코스인가는 대충 짐작이 가긴해요."

KBS가 입수한 트랙 분석 자료에 따르면 상단부 5번부터 7번 커브까지 중하단부 9번부터 12번 커브까지가 유의해야할 지점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

여성의 머리핀을 닮아 헤어핀이라고 불리는 상단부 5, 6, 7번 커브는 급격한 곡선주로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고 빠져나오는 게 관건입니다.

중하단부는 직선처럼 보이지만, 돌출부를 이용해 속도를 늦추는 11번 커브가 코스의 트릭입니다.

<인터뷰> 이진희(스켈레톤 대표팀 코치) : "경사가 없거나 평평하거나 오르막 구간에서 부딪히거나 옆으로 미끄러지면 약 2배의 감속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록에 큰 영향을 미치거든요."

썰매가 회전할 때의 원심력이 고개를 못들 정도로 강한 12번 커브 역시 유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강광배(한국체육대학교 교수) : "스켈레톤, 루지 선수 같은 경우는 앞을 볼 수가 없습니다. 반복적인 훈련으로 몸으로 익혀야만 조종이 가능한 겁니다."

동계 스포츠가 가운데 코스 분석과 적응이 중요해 홈 이점도 가장 큰 썰매 종목.

지난 소치 올림픽에서 러시아가 선전한 것처럼 한국 썰매도 평창 슬라이딩 센터를 발판으로 돌풍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리포트>

빈 빙상장에 위치측정을 위한 장비가 들어오고, 곳곳에 초고속 카메라가 설치됩니다.

평창 골드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진행중인 빙상 스포츠 과학 프로그램.

이상화를 비롯한 500미터 스피드 선수들에 대한 현미경 분석이 시작됐습니다.

가장 중요한 초반 100미터 구간, 3차원 영상으로 이동경로는 물론 스케이트 날의 각도까지 세세하게 구현됩니다.

스무번의 스텝을 밟는 동안 어떻게 움직였는지도 한눈에 볼수 있습니다.

마지막 3,4코너도 주요 분석대상입니다.

얼마나 원심력을 잘 이겨내는지 스텝별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권순천(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 코치) : "구체적으로 데이터가 나오니까 선수들이 동기부여도 되고 이해하기 쉽다."

이상화가 세계정상을 지킬 수 있는 원동력도 수치로 확인가능합니다.

출발반응속도가 대학생 남자 선수들과 같은 0.3초만에 이뤄지고, 신체중심은 남자선수들보다 낮습니다.

대표팀은 내년 2월 국내에서 열리는 세계스프린트선수권에서 최정상급 선수들의 스텝을 분석해 최적의 경로를 찾아낼 계획입니다.

<인터뷰> 송주호(한국 스포츠개발원 박사) : "잘못된 동작을 찾아서 개선하고 좋은 동작은 잘 할수 있는 기본 데이터 베이스를 확보하는 것이죠."

스포츠 과학이라는 날개를 단 스피드스케이팅이 평창에서 또한번의 신화를 다짐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현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평창 올림픽 메달 프로젝트…‘선택과 집중’
    • 입력 2015-12-23 21:51:28
    • 수정2015-12-23 22:14:35
    뉴스 9
<앵커 멘트>

김연아가 없는 평창동계올림픽은 이제 유망 종목에 더 집중하는 전략적 선택을 해야만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홈 이점이 가장 큰 썰매의 스켈레톤 대표팀이 오늘 처음 슬라이딩센터 트랙을 방문해 코스 전략 세우기에 돌입했고, 빙속대표팀은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한 초정밀 분석을 시작했습니다.

두 종목의 평창 메달 프로젝트를 이승철, 정현숙기자가 연속 보도합니다.

<리포트>

스켈레톤 대표팀이 직접 평창 슬라이딩 센터 트랙을 밟습니다.

전체 16개 곡선 구간 가운데 7개 구간을 살펴보며 특성을 점검합니다.

<인터뷰> 윤성빈(스켈레톤 국가대표) : "어느 정도의 윤곽이 보이기 때문에 어떤 코스인가는 대충 짐작이 가긴해요."

KBS가 입수한 트랙 분석 자료에 따르면 상단부 5번부터 7번 커브까지 중하단부 9번부터 12번 커브까지가 유의해야할 지점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

여성의 머리핀을 닮아 헤어핀이라고 불리는 상단부 5, 6, 7번 커브는 급격한 곡선주로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고 빠져나오는 게 관건입니다.

중하단부는 직선처럼 보이지만, 돌출부를 이용해 속도를 늦추는 11번 커브가 코스의 트릭입니다.

<인터뷰> 이진희(스켈레톤 대표팀 코치) : "경사가 없거나 평평하거나 오르막 구간에서 부딪히거나 옆으로 미끄러지면 약 2배의 감속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록에 큰 영향을 미치거든요."

썰매가 회전할 때의 원심력이 고개를 못들 정도로 강한 12번 커브 역시 유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강광배(한국체육대학교 교수) : "스켈레톤, 루지 선수 같은 경우는 앞을 볼 수가 없습니다. 반복적인 훈련으로 몸으로 익혀야만 조종이 가능한 겁니다."

동계 스포츠가 가운데 코스 분석과 적응이 중요해 홈 이점도 가장 큰 썰매 종목.

지난 소치 올림픽에서 러시아가 선전한 것처럼 한국 썰매도 평창 슬라이딩 센터를 발판으로 돌풍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리포트>

빈 빙상장에 위치측정을 위한 장비가 들어오고, 곳곳에 초고속 카메라가 설치됩니다.

평창 골드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진행중인 빙상 스포츠 과학 프로그램.

이상화를 비롯한 500미터 스피드 선수들에 대한 현미경 분석이 시작됐습니다.

가장 중요한 초반 100미터 구간, 3차원 영상으로 이동경로는 물론 스케이트 날의 각도까지 세세하게 구현됩니다.

스무번의 스텝을 밟는 동안 어떻게 움직였는지도 한눈에 볼수 있습니다.

마지막 3,4코너도 주요 분석대상입니다.

얼마나 원심력을 잘 이겨내는지 스텝별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권순천(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 코치) : "구체적으로 데이터가 나오니까 선수들이 동기부여도 되고 이해하기 쉽다."

이상화가 세계정상을 지킬 수 있는 원동력도 수치로 확인가능합니다.

출발반응속도가 대학생 남자 선수들과 같은 0.3초만에 이뤄지고, 신체중심은 남자선수들보다 낮습니다.

대표팀은 내년 2월 국내에서 열리는 세계스프린트선수권에서 최정상급 선수들의 스텝을 분석해 최적의 경로를 찾아낼 계획입니다.

<인터뷰> 송주호(한국 스포츠개발원 박사) : "잘못된 동작을 찾아서 개선하고 좋은 동작은 잘 할수 있는 기본 데이터 베이스를 확보하는 것이죠."

스포츠 과학이라는 날개를 단 스피드스케이팅이 평창에서 또한번의 신화를 다짐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현숙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