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서운 한파, 기관지 건강 위협

입력 2016.01.20 (12:42) 수정 2016.01.20 (13: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처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특히 기관지 보호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데요.

겨울철 한파가 올 때 천식 악화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급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천식이 악화돼 응급실 통해 입원한 70대 남성, 기침을 멈추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박광시(천식 환자) : "숨이 차고 그래서 걸어 다니질 못해요. 밖에 나가서 찬 공기 마셔서 그랬나 봐요."

서울대 보건대학 연구팀이 4년간 천식으로 응급실을 찾은 만 6천여 명을 분석한 결과, 전날과 비교해 평균 기온이 1도 떨어질 때마다 천식 악화로 인한 환자가 3.5%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룻밤 새 10도 떨어지면 35% 많아진다는 얘깁니다.

평소 기관지가 좋지 않은 데다, 몸이 추위에 적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갑자기 찬 공기를 들이마신 탓입니다.

<인터뷰> 심재정(고려대구로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면, 일단 기관지가 수축하고 기관지 점막이 손상을 받습니다. 그럴 때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급성악화가 많이 옵니다."

특히 노인의 경우 이렇게 천식 악화로 한번 중환자실 치료를 받으면, 60%가 1년 안에 숨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한파로 인한 천식 악화가 무서운 이윱니다.

<인터뷰> 김호(서울대 보건대학원 보건통계학 교수) : "갑자기 온도가 변하는 경우 특히 취약한 분들을 대상으로 좀 더 엄격한 경보시스템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매서운 추위에 부득이 외출해야 한다면 기관지를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마스크와 목도리로 찬 공기를 막아줘야 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매서운 한파, 기관지 건강 위협
    • 입력 2016-01-20 12:48:24
    • 수정2016-01-20 13:07:17
    뉴스 12
<앵커 멘트>

요즘처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특히 기관지 보호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데요.

겨울철 한파가 올 때 천식 악화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급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천식이 악화돼 응급실 통해 입원한 70대 남성, 기침을 멈추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박광시(천식 환자) : "숨이 차고 그래서 걸어 다니질 못해요. 밖에 나가서 찬 공기 마셔서 그랬나 봐요."

서울대 보건대학 연구팀이 4년간 천식으로 응급실을 찾은 만 6천여 명을 분석한 결과, 전날과 비교해 평균 기온이 1도 떨어질 때마다 천식 악화로 인한 환자가 3.5%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룻밤 새 10도 떨어지면 35% 많아진다는 얘깁니다.

평소 기관지가 좋지 않은 데다, 몸이 추위에 적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갑자기 찬 공기를 들이마신 탓입니다.

<인터뷰> 심재정(고려대구로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면, 일단 기관지가 수축하고 기관지 점막이 손상을 받습니다. 그럴 때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급성악화가 많이 옵니다."

특히 노인의 경우 이렇게 천식 악화로 한번 중환자실 치료를 받으면, 60%가 1년 안에 숨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한파로 인한 천식 악화가 무서운 이윱니다.

<인터뷰> 김호(서울대 보건대학원 보건통계학 교수) : "갑자기 온도가 변하는 경우 특히 취약한 분들을 대상으로 좀 더 엄격한 경보시스템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매서운 추위에 부득이 외출해야 한다면 기관지를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마스크와 목도리로 찬 공기를 막아줘야 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