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국산 쌀로 만든다더니…싸라기 ‘쌀한과’
입력 2016.01.28 (07:38) 수정 2016.01.28 (07:55) 뉴스광장(경인)
<앵커 멘트>
다음주면 명절 음식 준비를 시작하셔야 할 텐데요.
국산 쌀로 만들었다고 표기해놓고 실제로는 싸라기, 즉 쌀 부스러기에다 수입 밀가루를 사용한 한과업체를 비롯해 저질 명절 음식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송형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한과 제조업체입니다.
용기 겉면에는 흘러내린 첨가물이 곳곳에 굳어 있는 등 보기에도 비위생적인 상태입니다.
위생뿐 아니라 성분표시도 엉터리.
쌀과자의 성분이 국산 쌀 56%, 국산 현미 30% 등으로 표기했지만 쌀부스러기가 67%나 되고 수입밀가루도 20%나 들어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1kg에 2,000원까지 하는 쌀 대신 kg당 900원짜리 쌀가루를 썼습니다.
<인터뷰> 적발 업체 대표(음성변조) : "(미곡처리장에) 주문했는데 쌀을 썼는지 뭘(싸라기를) 썼는지 몰라요 나는. 문제가 없어요."
지난해 9월부터 이런 쌀가루 50톤을 납품받아 과자를 만들어왔습니다.
<인터뷰> 김경민(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수사팀장) : "국내산인지 수입인지, 제조년도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식품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양시에 있는 한우직판장은 원산지 표기도 없는 고기를 보관해왔습니다.
<인터뷰> 안한승(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용인센터장) : "품종이 뭐고, 원산지가 어딘지 모르고, 유통기한이 언제까지인지도 모르고, 임의로 (라벨을) 부착해서 파는 거죠."
또 중국산 참조기를 국내산이라고 써붙였다가 단속에 걸린 유통업체도 있습니다.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은 설 대비 특별단속을 통해 식품·유통업체 57곳을 형사 입건하고 1곳을 과태료 처분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다음주면 명절 음식 준비를 시작하셔야 할 텐데요.
국산 쌀로 만들었다고 표기해놓고 실제로는 싸라기, 즉 쌀 부스러기에다 수입 밀가루를 사용한 한과업체를 비롯해 저질 명절 음식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송형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한과 제조업체입니다.
용기 겉면에는 흘러내린 첨가물이 곳곳에 굳어 있는 등 보기에도 비위생적인 상태입니다.
위생뿐 아니라 성분표시도 엉터리.
쌀과자의 성분이 국산 쌀 56%, 국산 현미 30% 등으로 표기했지만 쌀부스러기가 67%나 되고 수입밀가루도 20%나 들어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1kg에 2,000원까지 하는 쌀 대신 kg당 900원짜리 쌀가루를 썼습니다.
<인터뷰> 적발 업체 대표(음성변조) : "(미곡처리장에) 주문했는데 쌀을 썼는지 뭘(싸라기를) 썼는지 몰라요 나는. 문제가 없어요."
지난해 9월부터 이런 쌀가루 50톤을 납품받아 과자를 만들어왔습니다.
<인터뷰> 김경민(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수사팀장) : "국내산인지 수입인지, 제조년도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식품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양시에 있는 한우직판장은 원산지 표기도 없는 고기를 보관해왔습니다.
<인터뷰> 안한승(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용인센터장) : "품종이 뭐고, 원산지가 어딘지 모르고, 유통기한이 언제까지인지도 모르고, 임의로 (라벨을) 부착해서 파는 거죠."
또 중국산 참조기를 국내산이라고 써붙였다가 단속에 걸린 유통업체도 있습니다.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은 설 대비 특별단속을 통해 식품·유통업체 57곳을 형사 입건하고 1곳을 과태료 처분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국산 쌀로 만든다더니…싸라기 ‘쌀한과’
-
- 입력 2016-01-28 07:38:34
- 수정2016-01-28 07:55:50

<앵커 멘트>
다음주면 명절 음식 준비를 시작하셔야 할 텐데요.
국산 쌀로 만들었다고 표기해놓고 실제로는 싸라기, 즉 쌀 부스러기에다 수입 밀가루를 사용한 한과업체를 비롯해 저질 명절 음식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송형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한과 제조업체입니다.
용기 겉면에는 흘러내린 첨가물이 곳곳에 굳어 있는 등 보기에도 비위생적인 상태입니다.
위생뿐 아니라 성분표시도 엉터리.
쌀과자의 성분이 국산 쌀 56%, 국산 현미 30% 등으로 표기했지만 쌀부스러기가 67%나 되고 수입밀가루도 20%나 들어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1kg에 2,000원까지 하는 쌀 대신 kg당 900원짜리 쌀가루를 썼습니다.
<인터뷰> 적발 업체 대표(음성변조) : "(미곡처리장에) 주문했는데 쌀을 썼는지 뭘(싸라기를) 썼는지 몰라요 나는. 문제가 없어요."
지난해 9월부터 이런 쌀가루 50톤을 납품받아 과자를 만들어왔습니다.
<인터뷰> 김경민(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수사팀장) : "국내산인지 수입인지, 제조년도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식품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양시에 있는 한우직판장은 원산지 표기도 없는 고기를 보관해왔습니다.
<인터뷰> 안한승(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용인센터장) : "품종이 뭐고, 원산지가 어딘지 모르고, 유통기한이 언제까지인지도 모르고, 임의로 (라벨을) 부착해서 파는 거죠."
또 중국산 참조기를 국내산이라고 써붙였다가 단속에 걸린 유통업체도 있습니다.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은 설 대비 특별단속을 통해 식품·유통업체 57곳을 형사 입건하고 1곳을 과태료 처분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다음주면 명절 음식 준비를 시작하셔야 할 텐데요.
국산 쌀로 만들었다고 표기해놓고 실제로는 싸라기, 즉 쌀 부스러기에다 수입 밀가루를 사용한 한과업체를 비롯해 저질 명절 음식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송형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한과 제조업체입니다.
용기 겉면에는 흘러내린 첨가물이 곳곳에 굳어 있는 등 보기에도 비위생적인 상태입니다.
위생뿐 아니라 성분표시도 엉터리.
쌀과자의 성분이 국산 쌀 56%, 국산 현미 30% 등으로 표기했지만 쌀부스러기가 67%나 되고 수입밀가루도 20%나 들어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1kg에 2,000원까지 하는 쌀 대신 kg당 900원짜리 쌀가루를 썼습니다.
<인터뷰> 적발 업체 대표(음성변조) : "(미곡처리장에) 주문했는데 쌀을 썼는지 뭘(싸라기를) 썼는지 몰라요 나는. 문제가 없어요."
지난해 9월부터 이런 쌀가루 50톤을 납품받아 과자를 만들어왔습니다.
<인터뷰> 김경민(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수사팀장) : "국내산인지 수입인지, 제조년도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식품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양시에 있는 한우직판장은 원산지 표기도 없는 고기를 보관해왔습니다.
<인터뷰> 안한승(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용인센터장) : "품종이 뭐고, 원산지가 어딘지 모르고, 유통기한이 언제까지인지도 모르고, 임의로 (라벨을) 부착해서 파는 거죠."
또 중국산 참조기를 국내산이라고 써붙였다가 단속에 걸린 유통업체도 있습니다.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은 설 대비 특별단속을 통해 식품·유통업체 57곳을 형사 입건하고 1곳을 과태료 처분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