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비하기 위한 고도의 요격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강도 높은 성명에 이어 북한 대사까지 불러 들이며 설득에 나섰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을 실은 일본 해상자위대 수송함이 출항합니다.
해상배치형 요격미사일 SM-3를 탑재한 이지스함 3척에 이어, 대기권 밖 1차 요격에 실패할 경우에 대비해 패트리엇 미사일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일본은 북한의 예고 기간 전날인 7일까지 요격 태세를 마무리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나카타니 겐(일본 방위성 장관) : "(부대를)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와 미야코지마 등에 오는 7일까지 배치를 끝내려고 합니다."
북한의 위성 발사 계획 발표 직후 강도 높은 성명을 통해 우려를 나타냈던 러시아도 하루 만에 북한 대사까지 불러들이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습니다.
러시아 외무부는 김형준 북한 대사에게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과, 한반도 핵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회담으로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뷰> 자하로바(외무부 대변인) : "우리는 모든 관련국들과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각국의 의견과 설득 방안 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이례적 조치에도, 북한이 끝내 미사일 발사를 감행할 경우 러시아도 대북 강경 제재에 동참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비하기 위한 고도의 요격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강도 높은 성명에 이어 북한 대사까지 불러 들이며 설득에 나섰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을 실은 일본 해상자위대 수송함이 출항합니다.
해상배치형 요격미사일 SM-3를 탑재한 이지스함 3척에 이어, 대기권 밖 1차 요격에 실패할 경우에 대비해 패트리엇 미사일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일본은 북한의 예고 기간 전날인 7일까지 요격 태세를 마무리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나카타니 겐(일본 방위성 장관) : "(부대를)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와 미야코지마 등에 오는 7일까지 배치를 끝내려고 합니다."
북한의 위성 발사 계획 발표 직후 강도 높은 성명을 통해 우려를 나타냈던 러시아도 하루 만에 북한 대사까지 불러들이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습니다.
러시아 외무부는 김형준 북한 대사에게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과, 한반도 핵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회담으로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뷰> 자하로바(외무부 대변인) : "우리는 모든 관련국들과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각국의 의견과 설득 방안 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이례적 조치에도, 북한이 끝내 미사일 발사를 감행할 경우 러시아도 대북 강경 제재에 동참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日 요격 이지스함 급파…러, 북 대사 초치
-
- 입력 2016-02-05 21:14:07
- 수정2016-02-05 21:23:43

<앵커 멘트>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비하기 위한 고도의 요격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강도 높은 성명에 이어 북한 대사까지 불러 들이며 설득에 나섰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을 실은 일본 해상자위대 수송함이 출항합니다.
해상배치형 요격미사일 SM-3를 탑재한 이지스함 3척에 이어, 대기권 밖 1차 요격에 실패할 경우에 대비해 패트리엇 미사일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일본은 북한의 예고 기간 전날인 7일까지 요격 태세를 마무리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나카타니 겐(일본 방위성 장관) : "(부대를)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와 미야코지마 등에 오는 7일까지 배치를 끝내려고 합니다."
북한의 위성 발사 계획 발표 직후 강도 높은 성명을 통해 우려를 나타냈던 러시아도 하루 만에 북한 대사까지 불러들이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습니다.
러시아 외무부는 김형준 북한 대사에게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과, 한반도 핵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회담으로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뷰> 자하로바(외무부 대변인) : "우리는 모든 관련국들과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각국의 의견과 설득 방안 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이례적 조치에도, 북한이 끝내 미사일 발사를 감행할 경우 러시아도 대북 강경 제재에 동참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비하기 위한 고도의 요격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강도 높은 성명에 이어 북한 대사까지 불러 들이며 설득에 나섰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을 실은 일본 해상자위대 수송함이 출항합니다.
해상배치형 요격미사일 SM-3를 탑재한 이지스함 3척에 이어, 대기권 밖 1차 요격에 실패할 경우에 대비해 패트리엇 미사일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일본은 북한의 예고 기간 전날인 7일까지 요격 태세를 마무리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나카타니 겐(일본 방위성 장관) : "(부대를)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와 미야코지마 등에 오는 7일까지 배치를 끝내려고 합니다."
북한의 위성 발사 계획 발표 직후 강도 높은 성명을 통해 우려를 나타냈던 러시아도 하루 만에 북한 대사까지 불러들이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습니다.
러시아 외무부는 김형준 북한 대사에게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과, 한반도 핵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회담으로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뷰> 자하로바(외무부 대변인) : "우리는 모든 관련국들과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각국의 의견과 설득 방안 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이례적 조치에도, 북한이 끝내 미사일 발사를 감행할 경우 러시아도 대북 강경 제재에 동참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허솔지 기자 solji26@kbs.co.kr
허솔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