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음·얼차려 대신 ‘대학생활 맛보기’

입력 2016.02.22 (09:54) 수정 2016.02.22 (10: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신입생을 맞는 대학가의 모습이 바뀌고 있습니다.

폭음을 강요하고 기합을 주던 관행에서 벗어나 대학 탐방이나 자기 계발 등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이 늘고 있습니다.

박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입학을 앞둔 새내기들이 교정을 찾았습니다.

호기심 어린 표정으로 자신이 공부할 도서관을 둘러봅니다.

처음엔 낯설었지만 일일 멘토인 선배의 설명에 이내 친숙해집니다.

대학 생활에 필요한 정보도 얻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조아희(전북대학교 신입생) : "제가 모르는 수강 신청이나 통학 버스 신청 같은 걸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매우 도움이.."

신입생들을 위한 이른바 '프리 스쿨'이 열렸습니다.

닷새 동안 기숙사에서 생활하면서 기초 과목과 컴퓨터 활용법 등을 배웁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터뷰> 최현재(군산대학교 프리스쿨 책임 교수) : "기초 학력을 증진하고 졸업 이후에도 자신의 인생 설계를 미리 앞당겨서 계획하고 실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후배에게 술을 강요하고 얼차려를 주던 모습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정우민(군산대학교 학생회장) : "제 과거 경험에 비춰 보자면 그 때는 친목 위주였습니다. 예전보다는 월등히 발전된 좋은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교외 수련 활동 대신 신입생들의 내실을 다지는 대학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음·얼차려 대신 ‘대학생활 맛보기’
    • 입력 2016-02-22 09:56:53
    • 수정2016-02-22 10:13:47
    930뉴스
<앵커 멘트>

신입생을 맞는 대학가의 모습이 바뀌고 있습니다.

폭음을 강요하고 기합을 주던 관행에서 벗어나 대학 탐방이나 자기 계발 등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이 늘고 있습니다.

박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입학을 앞둔 새내기들이 교정을 찾았습니다.

호기심 어린 표정으로 자신이 공부할 도서관을 둘러봅니다.

처음엔 낯설었지만 일일 멘토인 선배의 설명에 이내 친숙해집니다.

대학 생활에 필요한 정보도 얻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조아희(전북대학교 신입생) : "제가 모르는 수강 신청이나 통학 버스 신청 같은 걸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매우 도움이.."

신입생들을 위한 이른바 '프리 스쿨'이 열렸습니다.

닷새 동안 기숙사에서 생활하면서 기초 과목과 컴퓨터 활용법 등을 배웁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터뷰> 최현재(군산대학교 프리스쿨 책임 교수) : "기초 학력을 증진하고 졸업 이후에도 자신의 인생 설계를 미리 앞당겨서 계획하고 실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후배에게 술을 강요하고 얼차려를 주던 모습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정우민(군산대학교 학생회장) : "제 과거 경험에 비춰 보자면 그 때는 친목 위주였습니다. 예전보다는 월등히 발전된 좋은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교외 수련 활동 대신 신입생들의 내실을 다지는 대학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