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미 일자리 증가…금리 인상 가능성 커져
입력 2016.03.05 (07:09) 수정 2016.03.05 (08:07) 뉴스광장
<앵커 멘트>
미국이 연초 수출은 저조한 반면 일자리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시장의 활기로 금리 인상의 여지가 생겼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워싱턴 전종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지난달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24만2천 개 늘어났다고 노동부가 발표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보건과 소매 분야에서 각각 5만개 이상씩 늘면서 고용 증가를 견인했고 반면 제조업 분야는 만 개 이상 줄었습니다.
실업률은 4.9%를 유지했고 노동시장 참여율은 62.9%로 1월보다 0.2% 포인트 올랐습니다.
2월 신규 고용 24만여개 증가는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치 19만 여개를 크게 뛰어넘은 것입니다.
연초 고용 시장이 활기를 띄면서 금리 인상의 여지도 커 진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연방준비제도이사회도 올들어 두달 동안 고용시장 여건이 개선됐다는 진단을 내놨습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 "이러한 발전이 계속되기만 한다면, 경제 활동과 노동 시장에 대한 전망에 힘을 실어줄 수 있습니다."
반면 세계 경기 침체와 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미국 무역 수지 적자는 늘었습니다.
미 상무부는 1월 무역수지 적자가 전 달에 비해 2.2%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수출이 넉달 연속 감소하면서 천 765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5년6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칩니다.
나라별로는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가 311억 달러로 가장 컸고 한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는 29억 달러였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전종철입니다.
미국이 연초 수출은 저조한 반면 일자리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시장의 활기로 금리 인상의 여지가 생겼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워싱턴 전종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지난달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24만2천 개 늘어났다고 노동부가 발표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보건과 소매 분야에서 각각 5만개 이상씩 늘면서 고용 증가를 견인했고 반면 제조업 분야는 만 개 이상 줄었습니다.
실업률은 4.9%를 유지했고 노동시장 참여율은 62.9%로 1월보다 0.2% 포인트 올랐습니다.
2월 신규 고용 24만여개 증가는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치 19만 여개를 크게 뛰어넘은 것입니다.
연초 고용 시장이 활기를 띄면서 금리 인상의 여지도 커 진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연방준비제도이사회도 올들어 두달 동안 고용시장 여건이 개선됐다는 진단을 내놨습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 "이러한 발전이 계속되기만 한다면, 경제 활동과 노동 시장에 대한 전망에 힘을 실어줄 수 있습니다."
반면 세계 경기 침체와 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미국 무역 수지 적자는 늘었습니다.
미 상무부는 1월 무역수지 적자가 전 달에 비해 2.2%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수출이 넉달 연속 감소하면서 천 765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5년6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칩니다.
나라별로는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가 311억 달러로 가장 컸고 한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는 29억 달러였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전종철입니다.
- 미 일자리 증가…금리 인상 가능성 커져
-
- 입력 2016-03-05 07:13:32
- 수정2016-03-05 08:07:29

<앵커 멘트>
미국이 연초 수출은 저조한 반면 일자리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시장의 활기로 금리 인상의 여지가 생겼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워싱턴 전종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지난달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24만2천 개 늘어났다고 노동부가 발표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보건과 소매 분야에서 각각 5만개 이상씩 늘면서 고용 증가를 견인했고 반면 제조업 분야는 만 개 이상 줄었습니다.
실업률은 4.9%를 유지했고 노동시장 참여율은 62.9%로 1월보다 0.2% 포인트 올랐습니다.
2월 신규 고용 24만여개 증가는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치 19만 여개를 크게 뛰어넘은 것입니다.
연초 고용 시장이 활기를 띄면서 금리 인상의 여지도 커 진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연방준비제도이사회도 올들어 두달 동안 고용시장 여건이 개선됐다는 진단을 내놨습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 "이러한 발전이 계속되기만 한다면, 경제 활동과 노동 시장에 대한 전망에 힘을 실어줄 수 있습니다."
반면 세계 경기 침체와 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미국 무역 수지 적자는 늘었습니다.
미 상무부는 1월 무역수지 적자가 전 달에 비해 2.2%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수출이 넉달 연속 감소하면서 천 765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5년6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칩니다.
나라별로는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가 311억 달러로 가장 컸고 한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는 29억 달러였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전종철입니다.
미국이 연초 수출은 저조한 반면 일자리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시장의 활기로 금리 인상의 여지가 생겼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워싱턴 전종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지난달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24만2천 개 늘어났다고 노동부가 발표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보건과 소매 분야에서 각각 5만개 이상씩 늘면서 고용 증가를 견인했고 반면 제조업 분야는 만 개 이상 줄었습니다.
실업률은 4.9%를 유지했고 노동시장 참여율은 62.9%로 1월보다 0.2% 포인트 올랐습니다.
2월 신규 고용 24만여개 증가는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치 19만 여개를 크게 뛰어넘은 것입니다.
연초 고용 시장이 활기를 띄면서 금리 인상의 여지도 커 진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연방준비제도이사회도 올들어 두달 동안 고용시장 여건이 개선됐다는 진단을 내놨습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 "이러한 발전이 계속되기만 한다면, 경제 활동과 노동 시장에 대한 전망에 힘을 실어줄 수 있습니다."
반면 세계 경기 침체와 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미국 무역 수지 적자는 늘었습니다.
미 상무부는 1월 무역수지 적자가 전 달에 비해 2.2%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수출이 넉달 연속 감소하면서 천 765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5년6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칩니다.
나라별로는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가 311억 달러로 가장 컸고 한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는 29억 달러였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전종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전종철 기자 jcj@kbs.co.kr
전종철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