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사무장 병원 5년새 36배↑…건보재정 8천억 원 증발
입력 2016.03.05 (07:19) 수정 2016.03.05 (08:07) 뉴스광장
<앵커 멘트>
무자격자가 돈을 주고 의사 명의를 빌려 운영하는 병원을 사무장 병원이라고 합니다.
사무장 병원이 늘면서 이들이 7년 간 불법으로 타간 건강보험 진료비만 8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엉터리 환자를 입원시키거나 환자 수를 부풀려 진료비를 챙기다 적발된 사무장 병원입니다.
병원 대표와 한의사 등은 2천 여 명이 진료를 받은 것처럼 꾸며 29억 여원을 챙겼습니다.
의료생활협동조합 제도를 악용해 사무장병원을 운영하다가 적발된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 병원은 가족과 지인들의 이름을 도용해 가짜 조합원 명단으로 의료생활협동조합 병원을 세운 뒤 3억 2천 만원의 부당수익을 올렸습니다.
불법으로 운영하다가 적발된 사무장병원이 2014년 216곳으로 5년 새 36배 급증했습니다.
경영난을 겪는 병의원이 늘면서 사무장병원 유혹에 빠지는 의사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사무장병원은 영리만 추구하기 때문에 과잉진료를 하거나 건강보험에 허위, 부당청구를 일삼습니다.
지난 7년 간 사무장병원이 각종 불법 행위로 타낸 건강보험 진료비만 8천 백억 여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백남복(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기관관리지원단) : "전담조직을 통한 적발을 강화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분기별로 기획조사를 강화해서 사무장 병원이 퇴출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복지부와 경찰은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는 사무장병원을 뿌리 뽑기 위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무자격자가 돈을 주고 의사 명의를 빌려 운영하는 병원을 사무장 병원이라고 합니다.
사무장 병원이 늘면서 이들이 7년 간 불법으로 타간 건강보험 진료비만 8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엉터리 환자를 입원시키거나 환자 수를 부풀려 진료비를 챙기다 적발된 사무장 병원입니다.
병원 대표와 한의사 등은 2천 여 명이 진료를 받은 것처럼 꾸며 29억 여원을 챙겼습니다.
의료생활협동조합 제도를 악용해 사무장병원을 운영하다가 적발된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 병원은 가족과 지인들의 이름을 도용해 가짜 조합원 명단으로 의료생활협동조합 병원을 세운 뒤 3억 2천 만원의 부당수익을 올렸습니다.
불법으로 운영하다가 적발된 사무장병원이 2014년 216곳으로 5년 새 36배 급증했습니다.
경영난을 겪는 병의원이 늘면서 사무장병원 유혹에 빠지는 의사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사무장병원은 영리만 추구하기 때문에 과잉진료를 하거나 건강보험에 허위, 부당청구를 일삼습니다.
지난 7년 간 사무장병원이 각종 불법 행위로 타낸 건강보험 진료비만 8천 백억 여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백남복(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기관관리지원단) : "전담조직을 통한 적발을 강화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분기별로 기획조사를 강화해서 사무장 병원이 퇴출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복지부와 경찰은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는 사무장병원을 뿌리 뽑기 위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사무장 병원 5년새 36배↑…건보재정 8천억 원 증발
-
- 입력 2016-03-05 07:26:07
- 수정2016-03-05 08:07:32

<앵커 멘트>
무자격자가 돈을 주고 의사 명의를 빌려 운영하는 병원을 사무장 병원이라고 합니다.
사무장 병원이 늘면서 이들이 7년 간 불법으로 타간 건강보험 진료비만 8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엉터리 환자를 입원시키거나 환자 수를 부풀려 진료비를 챙기다 적발된 사무장 병원입니다.
병원 대표와 한의사 등은 2천 여 명이 진료를 받은 것처럼 꾸며 29억 여원을 챙겼습니다.
의료생활협동조합 제도를 악용해 사무장병원을 운영하다가 적발된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 병원은 가족과 지인들의 이름을 도용해 가짜 조합원 명단으로 의료생활협동조합 병원을 세운 뒤 3억 2천 만원의 부당수익을 올렸습니다.
불법으로 운영하다가 적발된 사무장병원이 2014년 216곳으로 5년 새 36배 급증했습니다.
경영난을 겪는 병의원이 늘면서 사무장병원 유혹에 빠지는 의사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사무장병원은 영리만 추구하기 때문에 과잉진료를 하거나 건강보험에 허위, 부당청구를 일삼습니다.
지난 7년 간 사무장병원이 각종 불법 행위로 타낸 건강보험 진료비만 8천 백억 여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백남복(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기관관리지원단) : "전담조직을 통한 적발을 강화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분기별로 기획조사를 강화해서 사무장 병원이 퇴출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복지부와 경찰은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는 사무장병원을 뿌리 뽑기 위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무자격자가 돈을 주고 의사 명의를 빌려 운영하는 병원을 사무장 병원이라고 합니다.
사무장 병원이 늘면서 이들이 7년 간 불법으로 타간 건강보험 진료비만 8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엉터리 환자를 입원시키거나 환자 수를 부풀려 진료비를 챙기다 적발된 사무장 병원입니다.
병원 대표와 한의사 등은 2천 여 명이 진료를 받은 것처럼 꾸며 29억 여원을 챙겼습니다.
의료생활협동조합 제도를 악용해 사무장병원을 운영하다가 적발된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 병원은 가족과 지인들의 이름을 도용해 가짜 조합원 명단으로 의료생활협동조합 병원을 세운 뒤 3억 2천 만원의 부당수익을 올렸습니다.
불법으로 운영하다가 적발된 사무장병원이 2014년 216곳으로 5년 새 36배 급증했습니다.
경영난을 겪는 병의원이 늘면서 사무장병원 유혹에 빠지는 의사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사무장병원은 영리만 추구하기 때문에 과잉진료를 하거나 건강보험에 허위, 부당청구를 일삼습니다.
지난 7년 간 사무장병원이 각종 불법 행위로 타낸 건강보험 진료비만 8천 백억 여원에 이릅니다.
<인터뷰> 백남복(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기관관리지원단) : "전담조직을 통한 적발을 강화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분기별로 기획조사를 강화해서 사무장 병원이 퇴출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복지부와 경찰은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는 사무장병원을 뿌리 뽑기 위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