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연구팀, 알츠하이머 쥐의 기억 되살려…치매 치료 가능성

입력 2016.03.17 (14:54) 수정 2016.03.17 (15: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도네가와 스스무 박사가 이끄는 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의 뇌에서 특정 기억을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연구팀은 또 알츠하이머에 의한 기억력 감퇴가 기억 자체를 잃어버렸기 때문이 아니라 기억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며, 뇌의 특정 부분을 자극하면 기억을 다시 끄집어낼 수 있다는 사실이 쥐 실험 결과로 확인되면서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우선 정상 쥐와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를 사육 상자에 넣고 각각 다리에 전류를 흘려보낸 뒤 이때 받은 충격을 기억하는지를 비교했다.

정상 쥐와 알츠하이머 쥐 모두 전류를 흘리면 고통스러워 하며 몸을 움츠렸으나, 24시간 뒤 다시 상자에 집어넣었을 때는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기억이 정상인 쥐는 고통스러운 경험을 떠올리며 다시 몸을 움츠렸지만, 알츠하이머병 초기 상태와 비슷하게 뇌 상태를 변화시킨 쥐는 전기 충격의 경험을 기억하지 못하고 평소와 같이 움직였다.

연구팀은 또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에게 전기를 흘려보낼 때 뇌에서 활동하는 신경세포군이 빛을 비췄을 때만 활성화되도록 유전자 조작을 한 다음 상태를 살펴봤다.

그 결과 쥐들은 고통스러운 경험을 한 지 하루가 지나도 빛을 비추면 몸을 움츠리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억이 없어진 게 아니라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신경세포군의 연결부위에 있는 돌기 모양 구조가 감소하면 세포군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며, 따라서 이 돌기 모양 구조의 감소가 기억을 끄집어내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도네가와 박사는 "인간과 쥐는 기억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공통된 원리로 움직인다"며 "이 때문에 이번 발견은 적어도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의 경우 뇌에 기억이 남아있으며 이를 되살려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의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에 발표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 연구팀, 알츠하이머 쥐의 기억 되살려…치매 치료 가능성
    • 입력 2016-03-17 14:54:26
    • 수정2016-03-17 15:14:40
    국제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도네가와 스스무 박사가 이끄는 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의 뇌에서 특정 기억을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연구팀은 또 알츠하이머에 의한 기억력 감퇴가 기억 자체를 잃어버렸기 때문이 아니라 기억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며, 뇌의 특정 부분을 자극하면 기억을 다시 끄집어낼 수 있다는 사실이 쥐 실험 결과로 확인되면서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우선 정상 쥐와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를 사육 상자에 넣고 각각 다리에 전류를 흘려보낸 뒤 이때 받은 충격을 기억하는지를 비교했다.

정상 쥐와 알츠하이머 쥐 모두 전류를 흘리면 고통스러워 하며 몸을 움츠렸으나, 24시간 뒤 다시 상자에 집어넣었을 때는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기억이 정상인 쥐는 고통스러운 경험을 떠올리며 다시 몸을 움츠렸지만, 알츠하이머병 초기 상태와 비슷하게 뇌 상태를 변화시킨 쥐는 전기 충격의 경험을 기억하지 못하고 평소와 같이 움직였다.

연구팀은 또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에게 전기를 흘려보낼 때 뇌에서 활동하는 신경세포군이 빛을 비췄을 때만 활성화되도록 유전자 조작을 한 다음 상태를 살펴봤다.

그 결과 쥐들은 고통스러운 경험을 한 지 하루가 지나도 빛을 비추면 몸을 움츠리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억이 없어진 게 아니라 남아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신경세포군의 연결부위에 있는 돌기 모양 구조가 감소하면 세포군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며, 따라서 이 돌기 모양 구조의 감소가 기억을 끄집어내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도네가와 박사는 "인간과 쥐는 기억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공통된 원리로 움직인다"며 "이 때문에 이번 발견은 적어도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의 경우 뇌에 기억이 남아있으며 이를 되살려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의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에 발표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