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국내 유턴 ↓…국내외 양쪽서 발목

입력 2016.03.21 (06:20) 수정 2016.03.21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자리가 세계 각국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해외 생산 공장을 자국으로 불러들이는 기업 유턴 흐름이 뚜렷합니다.

우리 정부도 해외 공장의 국내 복귀를 추진하고 있는데 결과는 그리 좋지 않습니다.

지형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과 중국에서 신발을 생산하는 이 기업은 지난해부터 국내 생산량을 크게 늘렸습니다.

올해는 국내에서 90만 켤레 중국에서 80만 켤레를 만들어 국내생산량이 더 많아집니다.

중국 인건비가 많이 오른 데다 우리 노동력이 더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두홍(트렉스타 경영기획팀장) : "납기나 품질면을 볼 때도 한국에서 생산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

중국 물량을 국내로 돌리면서 신규로 직접 고용한 인력만 250명이 넘습니다.

이런 고용 창출 효과 때문에 정부도 기업 유턴 지원책을 잇따라 내놨습니다.

그러나 국내로 이전하는 기업은 오히려,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노동력 확보가 쉬운 수도권으로 돌아오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추광호(전경련 산업본부장) : "수도권으로 유턴하는 경우에도 유턴 기업 지원을 그대로 해주게 된다면 보다 많은 유능한 인재들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철수하기도 어렵습니다.

중국의 경우 그동안 받은 혜택을 내놓으라거나 정리 절차를 지연시키며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녹취> 중국 공장 운영 기업 직원(음성변조) : "중국 측에서는 (자국 생산) 물량의 이동 부분을 굉장히 부정적으로 생각해가지고 정책적으로 막고 있는 부분이..."

이런 문제는 개별 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워 정부가 나설 필요가 있습니다.

해외로 나간 기업이 되돌아오면 자연스럽게 일자리가 늘기 때문에 정책의 우선순위에 놔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업 국내 유턴 ↓…국내외 양쪽서 발목
    • 입력 2016-03-21 06:21:42
    • 수정2016-03-21 08:04:58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일자리가 세계 각국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해외 생산 공장을 자국으로 불러들이는 기업 유턴 흐름이 뚜렷합니다.

우리 정부도 해외 공장의 국내 복귀를 추진하고 있는데 결과는 그리 좋지 않습니다.

지형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과 중국에서 신발을 생산하는 이 기업은 지난해부터 국내 생산량을 크게 늘렸습니다.

올해는 국내에서 90만 켤레 중국에서 80만 켤레를 만들어 국내생산량이 더 많아집니다.

중국 인건비가 많이 오른 데다 우리 노동력이 더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두홍(트렉스타 경영기획팀장) : "납기나 품질면을 볼 때도 한국에서 생산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판단에서."

중국 물량을 국내로 돌리면서 신규로 직접 고용한 인력만 250명이 넘습니다.

이런 고용 창출 효과 때문에 정부도 기업 유턴 지원책을 잇따라 내놨습니다.

그러나 국내로 이전하는 기업은 오히려, 갈수록 줄고 있습니다.

노동력 확보가 쉬운 수도권으로 돌아오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추광호(전경련 산업본부장) : "수도권으로 유턴하는 경우에도 유턴 기업 지원을 그대로 해주게 된다면 보다 많은 유능한 인재들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철수하기도 어렵습니다.

중국의 경우 그동안 받은 혜택을 내놓으라거나 정리 절차를 지연시키며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녹취> 중국 공장 운영 기업 직원(음성변조) : "중국 측에서는 (자국 생산) 물량의 이동 부분을 굉장히 부정적으로 생각해가지고 정책적으로 막고 있는 부분이..."

이런 문제는 개별 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워 정부가 나설 필요가 있습니다.

해외로 나간 기업이 되돌아오면 자연스럽게 일자리가 늘기 때문에 정책의 우선순위에 놔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