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미군 “‘사이버 소총’으로 드론 격추 성공”
입력 2016.03.31 (17:42) 국제
실제로 총을 쏘지 않고도 드론(무인기)을 격추할 수 있는, 이른바 '사이버 소총'의 실전 배치가 눈앞에 다가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언론들은 미 육군사관학교 부설 육군 사이버연구소(ACI)가 지난 23일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이 참관한 가운데 드론 격추용 사이버 소총(CCR)의 시연회를 가졌다고 보도했다.
이 사이버 소총에는 안테나와 와이파이 장비, 값싼 라즈베리 파이 컴퓨터 장치만이 달려 있었지만, 단 한 번의 공격으로 드론이 엔진 작동을 멈추도록 지시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가을 미 육군 박람회에서 첫선을 보인 이 소총은 제작비가 150달러(약 17만원)에 불과한 데다 10시간 정도면 충분히 소총을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실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총성이나 화염 탓에 위치가 노출될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해당 사이버 소총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관계자들은 빠른 시일 안에 소총이 실전 배치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이번에 선보인 사이버 소총이 상업용 드론보다 값이 싼 데다 여타의 드론 격추 무기에 비해 조작이 쉬워 실전 배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언론들은 미 육군사관학교 부설 육군 사이버연구소(ACI)가 지난 23일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이 참관한 가운데 드론 격추용 사이버 소총(CCR)의 시연회를 가졌다고 보도했다.
이 사이버 소총에는 안테나와 와이파이 장비, 값싼 라즈베리 파이 컴퓨터 장치만이 달려 있었지만, 단 한 번의 공격으로 드론이 엔진 작동을 멈추도록 지시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가을 미 육군 박람회에서 첫선을 보인 이 소총은 제작비가 150달러(약 17만원)에 불과한 데다 10시간 정도면 충분히 소총을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실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총성이나 화염 탓에 위치가 노출될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해당 사이버 소총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관계자들은 빠른 시일 안에 소총이 실전 배치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이번에 선보인 사이버 소총이 상업용 드론보다 값이 싼 데다 여타의 드론 격추 무기에 비해 조작이 쉬워 실전 배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 미군 “‘사이버 소총’으로 드론 격추 성공”
-
- 입력 2016-03-31 17:42:53
실제로 총을 쏘지 않고도 드론(무인기)을 격추할 수 있는, 이른바 '사이버 소총'의 실전 배치가 눈앞에 다가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언론들은 미 육군사관학교 부설 육군 사이버연구소(ACI)가 지난 23일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이 참관한 가운데 드론 격추용 사이버 소총(CCR)의 시연회를 가졌다고 보도했다.
이 사이버 소총에는 안테나와 와이파이 장비, 값싼 라즈베리 파이 컴퓨터 장치만이 달려 있었지만, 단 한 번의 공격으로 드론이 엔진 작동을 멈추도록 지시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가을 미 육군 박람회에서 첫선을 보인 이 소총은 제작비가 150달러(약 17만원)에 불과한 데다 10시간 정도면 충분히 소총을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실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총성이나 화염 탓에 위치가 노출될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해당 사이버 소총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관계자들은 빠른 시일 안에 소총이 실전 배치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이번에 선보인 사이버 소총이 상업용 드론보다 값이 싼 데다 여타의 드론 격추 무기에 비해 조작이 쉬워 실전 배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언론들은 미 육군사관학교 부설 육군 사이버연구소(ACI)가 지난 23일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이 참관한 가운데 드론 격추용 사이버 소총(CCR)의 시연회를 가졌다고 보도했다.
이 사이버 소총에는 안테나와 와이파이 장비, 값싼 라즈베리 파이 컴퓨터 장치만이 달려 있었지만, 단 한 번의 공격으로 드론이 엔진 작동을 멈추도록 지시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가을 미 육군 박람회에서 첫선을 보인 이 소총은 제작비가 150달러(약 17만원)에 불과한 데다 10시간 정도면 충분히 소총을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실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총성이나 화염 탓에 위치가 노출될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해당 사이버 소총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관계자들은 빠른 시일 안에 소총이 실전 배치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이번에 선보인 사이버 소총이 상업용 드론보다 값이 싼 데다 여타의 드론 격추 무기에 비해 조작이 쉬워 실전 배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 기자 정보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