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검은색 ‘반타블랙’…활용 가치 무궁무진
입력 2016.04.11 (06:53) 수정 2016.04.11 (07:39)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빛을 거의 완벽하게 흡수해 우주의 블랙홀만큼이나 검게 보이는 '반타블랙'이라는 신물질이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반타 블랙'의 활용을 놓고 과학계는 물론 국방과 예술계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반타블랙을 칠한 조각상입니다.
굴곡이 사라지면서 평면처럼 보입니다.
구겨진 은박지도 질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반타블랙은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까지 흡수합니다.
머리카락 만 분의 1 굵기의 탄소 구조체가 거의 모든 빛을 빨아들이는 겁니다.
<인터뷰> 권영균(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 "튜브와 튜브 사이에 서로 반사 반사 반사하는 과정을 거쳐서 들어온 빛들은 대부분 흡수를 해서 빛이 나가지 못하도록 잡아두는(역할을 합니다.)"
우주에서 가장 검은색인 반타블랙의 용도는 무궁무진합니다.
먼저 이 망원경에 적용되면 우주를 관측하는 획기적인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멀리 떨어진 별을 관측할 때 가장 큰 장애물은 주변 빛의 난반사.
망원경 내부에 검은색을 칠해 불필요한 빛을 흡수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국내 망원경은 빛 반사율이 7%, 미국 나사 망원경은 1% 수준인데, 반타블랙을 쓰면 0.04%로 줄어듭니다.
<인터뷰> 박성준 박사(천문연 우주과학본부) : "난반사에 의한 효과가 거의 제로가 되기 때문에 검출 효율과 카메라의 감도를 많이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적의 눈에 띄지 않는 완벽한 첩보 위성 등 군사 분야 활용도 가능합니다.
최근엔 이 신기한 창작 재료의 예술적 사용 권한을 인도 출신 미술가가 독점하면서 표현의 자유 논란도 일었습니다.
1990년대 개발된 탄소 나노 기술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창출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빛을 거의 완벽하게 흡수해 우주의 블랙홀만큼이나 검게 보이는 '반타블랙'이라는 신물질이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반타 블랙'의 활용을 놓고 과학계는 물론 국방과 예술계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반타블랙을 칠한 조각상입니다.
굴곡이 사라지면서 평면처럼 보입니다.
구겨진 은박지도 질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반타블랙은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까지 흡수합니다.
머리카락 만 분의 1 굵기의 탄소 구조체가 거의 모든 빛을 빨아들이는 겁니다.
<인터뷰> 권영균(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 "튜브와 튜브 사이에 서로 반사 반사 반사하는 과정을 거쳐서 들어온 빛들은 대부분 흡수를 해서 빛이 나가지 못하도록 잡아두는(역할을 합니다.)"
우주에서 가장 검은색인 반타블랙의 용도는 무궁무진합니다.
먼저 이 망원경에 적용되면 우주를 관측하는 획기적인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멀리 떨어진 별을 관측할 때 가장 큰 장애물은 주변 빛의 난반사.
망원경 내부에 검은색을 칠해 불필요한 빛을 흡수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국내 망원경은 빛 반사율이 7%, 미국 나사 망원경은 1% 수준인데, 반타블랙을 쓰면 0.04%로 줄어듭니다.
<인터뷰> 박성준 박사(천문연 우주과학본부) : "난반사에 의한 효과가 거의 제로가 되기 때문에 검출 효율과 카메라의 감도를 많이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적의 눈에 띄지 않는 완벽한 첩보 위성 등 군사 분야 활용도 가능합니다.
최근엔 이 신기한 창작 재료의 예술적 사용 권한을 인도 출신 미술가가 독점하면서 표현의 자유 논란도 일었습니다.
1990년대 개발된 탄소 나노 기술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창출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세상에서 가장 검은색 ‘반타블랙’…활용 가치 무궁무진
-
- 입력 2016-04-11 06:55:36
- 수정2016-04-11 07:39:39

<앵커 멘트>
빛을 거의 완벽하게 흡수해 우주의 블랙홀만큼이나 검게 보이는 '반타블랙'이라는 신물질이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반타 블랙'의 활용을 놓고 과학계는 물론 국방과 예술계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반타블랙을 칠한 조각상입니다.
굴곡이 사라지면서 평면처럼 보입니다.
구겨진 은박지도 질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반타블랙은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까지 흡수합니다.
머리카락 만 분의 1 굵기의 탄소 구조체가 거의 모든 빛을 빨아들이는 겁니다.
<인터뷰> 권영균(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 "튜브와 튜브 사이에 서로 반사 반사 반사하는 과정을 거쳐서 들어온 빛들은 대부분 흡수를 해서 빛이 나가지 못하도록 잡아두는(역할을 합니다.)"
우주에서 가장 검은색인 반타블랙의 용도는 무궁무진합니다.
먼저 이 망원경에 적용되면 우주를 관측하는 획기적인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멀리 떨어진 별을 관측할 때 가장 큰 장애물은 주변 빛의 난반사.
망원경 내부에 검은색을 칠해 불필요한 빛을 흡수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국내 망원경은 빛 반사율이 7%, 미국 나사 망원경은 1% 수준인데, 반타블랙을 쓰면 0.04%로 줄어듭니다.
<인터뷰> 박성준 박사(천문연 우주과학본부) : "난반사에 의한 효과가 거의 제로가 되기 때문에 검출 효율과 카메라의 감도를 많이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적의 눈에 띄지 않는 완벽한 첩보 위성 등 군사 분야 활용도 가능합니다.
최근엔 이 신기한 창작 재료의 예술적 사용 권한을 인도 출신 미술가가 독점하면서 표현의 자유 논란도 일었습니다.
1990년대 개발된 탄소 나노 기술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창출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빛을 거의 완벽하게 흡수해 우주의 블랙홀만큼이나 검게 보이는 '반타블랙'이라는 신물질이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반타 블랙'의 활용을 놓고 과학계는 물론 국방과 예술계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반타블랙을 칠한 조각상입니다.
굴곡이 사라지면서 평면처럼 보입니다.
구겨진 은박지도 질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반타블랙은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까지 흡수합니다.
머리카락 만 분의 1 굵기의 탄소 구조체가 거의 모든 빛을 빨아들이는 겁니다.
<인터뷰> 권영균(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 "튜브와 튜브 사이에 서로 반사 반사 반사하는 과정을 거쳐서 들어온 빛들은 대부분 흡수를 해서 빛이 나가지 못하도록 잡아두는(역할을 합니다.)"
우주에서 가장 검은색인 반타블랙의 용도는 무궁무진합니다.
먼저 이 망원경에 적용되면 우주를 관측하는 획기적인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멀리 떨어진 별을 관측할 때 가장 큰 장애물은 주변 빛의 난반사.
망원경 내부에 검은색을 칠해 불필요한 빛을 흡수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국내 망원경은 빛 반사율이 7%, 미국 나사 망원경은 1% 수준인데, 반타블랙을 쓰면 0.04%로 줄어듭니다.
<인터뷰> 박성준 박사(천문연 우주과학본부) : "난반사에 의한 효과가 거의 제로가 되기 때문에 검출 효율과 카메라의 감도를 많이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적의 눈에 띄지 않는 완벽한 첩보 위성 등 군사 분야 활용도 가능합니다.
최근엔 이 신기한 창작 재료의 예술적 사용 권한을 인도 출신 미술가가 독점하면서 표현의 자유 논란도 일었습니다.
1990년대 개발된 탄소 나노 기술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창출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신방실 기자 weezer@kbs.co.kr
신방실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