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최대 6.5 가능”

입력 2016.04.18 (17:27) 수정 2016.04.18 (18: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3월 14일과 16일 한반도와 가까운 일본 규슈 구마모토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지진 공포'가 한반도에도 확산되고 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3월 14일부터 16일 119와 지방자치단체에 접수된 지진 관련 신고는 총 3908건에 이른다. 이 가운데 3400여건은 규모가 더 컸던 2차 지진 발생 후 집중됐다. 일부 지역에선 119 신고전화가 폭주해 마비됐다.



신고 전화는 주로 부산과 경남, 울산에 집중됐다.“언제든 집밖으로 뛰쳐나가야 하는 것 아닌지 가족들끼리 불안해했다”는 신고 전화도 있었다. 한 시민은 "폭설 등이 예상될 때도 왔던 국민안전처 안내 문자가 지진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때도 오지 않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온라인 상에서도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술기운 때문에 어지러운 것이 아닌지 의심될 정도로 진동을 느꼈고, 이 때문에 부모님과 함께 아파트를 나가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한바탕 난리를 치렀다"며“정부의 허술한 지진 발생 대비를 보니 불안감이 더 커졌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고리ㆍ월성 등 일본과 가까운 부산ㆍ경남권에 집중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에 대해서도 걱정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번 규슈 지진이 그동안의 법칙을 깬 '예외 지진'이었다는 점에서 더 그렇다.

이번 지진은 지난 100년간 규모 5.0이 넘는 지진이 거의 일어난 적이 없던 규슈 지역에서 발생한 강진이다. 강진 후엔 대부분 강도가 낮은 여진이 발생한다는 법칙을 깨고 첫 지진(진도 6.5) 발생 이틀 뒤에 16배가 강한 지진(진도 7.3)이 일어난 '예외 지진'이다.

"2016년 한반도 지진..1월 4건, 2월 4건, 3월 8건"

올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은 17건이다. 1월과 2월에는 4건씩 발생했지만 3월에는 두 배인 8건이 집중됐다. 한반도 지진이 1년에 평균 48차례, 1달에 4번 꼴임을 감안하면 지난 달은 이례적으로 많았던 셈이다.

2016년 2월 11일 충남 금산군 북쪽 12km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해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진동이 감지됐다.2016년 2월 11일 충남 금산군 북쪽 12km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해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진동이 감지됐다.


1978년 지진 관측이후 한반도 지진은 1212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를 분석해보면 10건 중 7건은 규모 3에 못 미치는 비교적 약한 지진이었다. 규모 5 이상은 6차례, 규모 4~5 지진은 37건 관측됐다. 외부 지각 활동의 영향으로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2013년 한반도 지진은 93건으로, 평균치의 두 배에 육박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한반도 내부 단층대에도 지진 에너지가 쌓인 탓이다.

지진전문가 "힘 축적되면 한반도 지진 최대 6.5 가능"

한반도의 지진은 곳곳에 산재하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옥천대와 양산단층,그리고 서해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라시아판 내부의 작은 판인 아무르판의 경계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판 내부에서도 힘이 축적되면 최대 규모 6.5의 강진이 가능하다는 것이 과거 기록을 통한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 지각에 변형이 생긴데다, 현재 필리핀 판이 한반도가 속한 유라시판을 밀어내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 단층에 상당한 에너지가 축적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역사적으로도 한반도에선 이미 강진이 여러차례 발생했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규모 7 정도의 지진이 15차례 안팎 발생했다는 분석이 있다.

일본에서 4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구마모토성이 이번 지진으로 지붕이 허물어지고 벽도 무너졌다.일본에서 4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구마모토성이 이번 지진으로 지붕이 허물어지고 벽도 무너졌다.


한반도와 달리 일본은 서로 다른 4개의 지각판이 맞물려 있다. 그러다 보니 지각판끼리 잦은 충돌로 큰 지진이 많다. 한반도는 유라시아판이라는 거대한 대륙판 내부에 위치해 가까운 일본의 간접 영향을 받고 있다.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 때 GPS로 정밀 측정한 땅의 움직임을 보면 도쿄는 동쪽으로 2.4m 움직였고, 한반도도 1~5cm 정도 끌려갔다. 최대 규모 7.3인 이번 구마모토 지진도 규슈 중심부를 1m 정도 움직였다. 그러나 영향 범위는 일본 규슈에 그쳐 한반도까지 움직이지는 못했다. 동일본 대지진을 일으킨 에너지가 이번 구마모토 지진과 비교해 362배나 더 컸기 때문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최대 6.5 가능”
    • 입력 2016-04-18 17:27:04
    • 수정2016-04-18 18:44:21
    취재K
3월 14일과 16일 한반도와 가까운 일본 규슈 구마모토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지진 공포'가 한반도에도 확산되고 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3월 14일부터 16일 119와 지방자치단체에 접수된 지진 관련 신고는 총 3908건에 이른다. 이 가운데 3400여건은 규모가 더 컸던 2차 지진 발생 후 집중됐다. 일부 지역에선 119 신고전화가 폭주해 마비됐다.



신고 전화는 주로 부산과 경남, 울산에 집중됐다.“언제든 집밖으로 뛰쳐나가야 하는 것 아닌지 가족들끼리 불안해했다”는 신고 전화도 있었다. 한 시민은 "폭설 등이 예상될 때도 왔던 국민안전처 안내 문자가 지진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때도 오지 않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온라인 상에서도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술기운 때문에 어지러운 것이 아닌지 의심될 정도로 진동을 느꼈고, 이 때문에 부모님과 함께 아파트를 나가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한바탕 난리를 치렀다"며“정부의 허술한 지진 발생 대비를 보니 불안감이 더 커졌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고리ㆍ월성 등 일본과 가까운 부산ㆍ경남권에 집중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에 대해서도 걱정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번 규슈 지진이 그동안의 법칙을 깬 '예외 지진'이었다는 점에서 더 그렇다.

이번 지진은 지난 100년간 규모 5.0이 넘는 지진이 거의 일어난 적이 없던 규슈 지역에서 발생한 강진이다. 강진 후엔 대부분 강도가 낮은 여진이 발생한다는 법칙을 깨고 첫 지진(진도 6.5) 발생 이틀 뒤에 16배가 강한 지진(진도 7.3)이 일어난 '예외 지진'이다.

"2016년 한반도 지진..1월 4건, 2월 4건, 3월 8건"

올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은 17건이다. 1월과 2월에는 4건씩 발생했지만 3월에는 두 배인 8건이 집중됐다. 한반도 지진이 1년에 평균 48차례, 1달에 4번 꼴임을 감안하면 지난 달은 이례적으로 많았던 셈이다.

2016년 2월 11일 충남 금산군 북쪽 12km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해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진동이 감지됐다.

1978년 지진 관측이후 한반도 지진은 1212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를 분석해보면 10건 중 7건은 규모 3에 못 미치는 비교적 약한 지진이었다. 규모 5 이상은 6차례, 규모 4~5 지진은 37건 관측됐다. 외부 지각 활동의 영향으로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2013년 한반도 지진은 93건으로, 평균치의 두 배에 육박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한반도 내부 단층대에도 지진 에너지가 쌓인 탓이다.

지진전문가 "힘 축적되면 한반도 지진 최대 6.5 가능"

한반도의 지진은 곳곳에 산재하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옥천대와 양산단층,그리고 서해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라시아판 내부의 작은 판인 아무르판의 경계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판 내부에서도 힘이 축적되면 최대 규모 6.5의 강진이 가능하다는 것이 과거 기록을 통한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 지각에 변형이 생긴데다, 현재 필리핀 판이 한반도가 속한 유라시판을 밀어내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 단층에 상당한 에너지가 축적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역사적으로도 한반도에선 이미 강진이 여러차례 발생했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규모 7 정도의 지진이 15차례 안팎 발생했다는 분석이 있다.

일본에서 4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구마모토성이 이번 지진으로 지붕이 허물어지고 벽도 무너졌다.

한반도와 달리 일본은 서로 다른 4개의 지각판이 맞물려 있다. 그러다 보니 지각판끼리 잦은 충돌로 큰 지진이 많다. 한반도는 유라시아판이라는 거대한 대륙판 내부에 위치해 가까운 일본의 간접 영향을 받고 있다.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 때 GPS로 정밀 측정한 땅의 움직임을 보면 도쿄는 동쪽으로 2.4m 움직였고, 한반도도 1~5cm 정도 끌려갔다. 최대 규모 7.3인 이번 구마모토 지진도 규슈 중심부를 1m 정도 움직였다. 그러나 영향 범위는 일본 규슈에 그쳐 한반도까지 움직이지는 못했다. 동일본 대지진을 일으킨 에너지가 이번 구마모토 지진과 비교해 362배나 더 컸기 때문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