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최근 5년 사이 등산 중 안전사고가 1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2010~2014년 사이 총 2만 8,287건의 등산사고가 발생해 568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특히 2010년 3,088건이던 등산사고가 2011년 4,243건, 2012년 6,020건을 넘어 2014년에는 7,442건을 기록했다. 이는 5년 사이 140% 증가한 수치이다.
월별로는 봄철인 4~5월과 가을 단풍철인 9~10월에 사고가 집중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는 2014년을 기준으로 할때 실족·추락사고가 33%로 가장 많았고 조난 16%, 개인질환 13%, 안전수칙 불이행 8% 순이었다.
국민안전처는 절벽 등에서 풍경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려다 실족하는 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며 정해진 등산로로만 다니고 위험한 장소에서 사진을 찍는 것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했다.
월별로는 봄철인 4~5월과 가을 단풍철인 9~10월에 사고가 집중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는 2014년을 기준으로 할때 실족·추락사고가 33%로 가장 많았고 조난 16%, 개인질환 13%, 안전수칙 불이행 8% 순이었다.
국민안전처는 절벽 등에서 풍경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려다 실족하는 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며 정해진 등산로로만 다니고 위험한 장소에서 사진을 찍는 것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근 5년간 등산사고 2만8천여건…140% 증가
-
- 입력 2016-04-21 12:01:07

등산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최근 5년 사이 등산 중 안전사고가 1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2010~2014년 사이 총 2만 8,287건의 등산사고가 발생해 568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특히 2010년 3,088건이던 등산사고가 2011년 4,243건, 2012년 6,020건을 넘어 2014년에는 7,442건을 기록했다. 이는 5년 사이 140% 증가한 수치이다.
월별로는 봄철인 4~5월과 가을 단풍철인 9~10월에 사고가 집중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는 2014년을 기준으로 할때 실족·추락사고가 33%로 가장 많았고 조난 16%, 개인질환 13%, 안전수칙 불이행 8% 순이었다.
국민안전처는 절벽 등에서 풍경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려다 실족하는 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며 정해진 등산로로만 다니고 위험한 장소에서 사진을 찍는 것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했다.
월별로는 봄철인 4~5월과 가을 단풍철인 9~10월에 사고가 집중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원인별로는 2014년을 기준으로 할때 실족·추락사고가 33%로 가장 많았고 조난 16%, 개인질환 13%, 안전수칙 불이행 8% 순이었다.
국민안전처는 절벽 등에서 풍경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려다 실족하는 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며 정해진 등산로로만 다니고 위험한 장소에서 사진을 찍는 것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했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