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호 전투’ 국군 전사자 66년 만에 귀향

입력 2016.04.21 (22: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950년 12월, 인해전술로 밀어붙이는 중공군을 피해 피란민 10만여 명이 기적적으로 탈출했습니다.

흥남철수 작전이 성공할 수 있었던 건 개마고원 부근 장진호에서 중공군의 남하를 저지하며 버티던 유엔군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미군 2천 5백여 명이 중공군 매복에 걸려 한꺼번에 전사하는 등 많은 미군 병사들이 이 전투에서 숨졌습니다.

<인터뷰> 참전미군 : "많은 (아군)낙하산들이 중공군 영역에 떨어졌습니다. 아직도 그 친구들을 잊지 못합니다."

스무살의 나이로 미 7사단 카투사병으로 입대했던 고 임병근 일병도 이 때 숨졌습니다.

지난 2000년 미군이 북한 장진호에서 유해를 발굴하며 찾아낸 12구의 아시아계 시신 가운데 한 구가 임 일병인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북한 장진호에서 바다 건너 미국으로, 또 서울을 지나 고향 부산에 돌아오기까지 66년이 걸렸습니다.

<인터뷰> 임현식(故 임병근 일병 조카) : "북한에서 찾은 유골이 미국까지 갔다가 이렇게 찾아주니 더 반가울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아직도 휴전선 비무장지대에는 4만여 구의 국군 유해가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진호 전투’ 국군 전사자 66년 만에 귀향
    • 입력 2016-04-21 22:23:13
    사회
   1950년 12월, 인해전술로 밀어붙이는 중공군을 피해 피란민 10만여 명이 기적적으로 탈출했습니다.

흥남철수 작전이 성공할 수 있었던 건 개마고원 부근 장진호에서 중공군의 남하를 저지하며 버티던 유엔군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미군 2천 5백여 명이 중공군 매복에 걸려 한꺼번에 전사하는 등 많은 미군 병사들이 이 전투에서 숨졌습니다.

<인터뷰> 참전미군 : "많은 (아군)낙하산들이 중공군 영역에 떨어졌습니다. 아직도 그 친구들을 잊지 못합니다."

스무살의 나이로 미 7사단 카투사병으로 입대했던 고 임병근 일병도 이 때 숨졌습니다.

지난 2000년 미군이 북한 장진호에서 유해를 발굴하며 찾아낸 12구의 아시아계 시신 가운데 한 구가 임 일병인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북한 장진호에서 바다 건너 미국으로, 또 서울을 지나 고향 부산에 돌아오기까지 66년이 걸렸습니다.

<인터뷰> 임현식(故 임병근 일병 조카) : "북한에서 찾은 유골이 미국까지 갔다가 이렇게 찾아주니 더 반가울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아직도 휴전선 비무장지대에는 4만여 구의 국군 유해가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