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외신 “북 협동농장 공개…썰렁하고 볼 것 없어”
입력 2016.05.06 (07:01)
수정 2016.05.06 (0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 36년만에 개막하는 북한 노동당 전당대회를 취재하기 위해 방북한 외국 언론들이 북한 협동농장을 둘러 봤습니다.
북한으로선 자신들의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도였지만 외신들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워싱턴 이주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평양 외곽의 장천 협동농장.
지난해 6월 이곳을 방문한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 1위원장이 모범 사례로 꼽은 곳입니다.
김일성 훈시에 따라 8개월 여만에 대 강당이 지어졌다며 안내원이 열변을 토합니다.
<녹취> "8. 5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렇게 훌륭하게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평일 오후인데도 협동농장에서 인적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한켠에 마련된 연구실은 아예 텅 비었습니다.
<녹취> "(왜 아무도 일하지 않죠?) 아마도 모임에 간 것 같습니다."
노동당 대회 취재를 위해 북한을 찾은 외신기자들은 백 여명.
북한은 이 가운데 일부 기자들을 백화점과 협동농장으로 데려가 변화된 모습이라며 적극 홍보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워싱턴 포스트와 LA 타임즈 등 주요 언론은 농장에 사람은 없고, 먼지와 흙도 보기 힘들 정도로 깨끗했다며 의아해 했습니다.
평양 한 복판에선 36년만에 열리는 노동당 전당대회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 목격됐습니다.
평양을 찾은 외신기자들은 북한의 보여주기식 행태를 보며 과연 진짜 모습은 무엇인지 끊임없는 의문을 던졌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오늘 36년만에 개막하는 북한 노동당 전당대회를 취재하기 위해 방북한 외국 언론들이 북한 협동농장을 둘러 봤습니다.
북한으로선 자신들의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도였지만 외신들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워싱턴 이주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평양 외곽의 장천 협동농장.
지난해 6월 이곳을 방문한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 1위원장이 모범 사례로 꼽은 곳입니다.
김일성 훈시에 따라 8개월 여만에 대 강당이 지어졌다며 안내원이 열변을 토합니다.
<녹취> "8. 5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렇게 훌륭하게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평일 오후인데도 협동농장에서 인적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한켠에 마련된 연구실은 아예 텅 비었습니다.
<녹취> "(왜 아무도 일하지 않죠?) 아마도 모임에 간 것 같습니다."
노동당 대회 취재를 위해 북한을 찾은 외신기자들은 백 여명.
북한은 이 가운데 일부 기자들을 백화점과 협동농장으로 데려가 변화된 모습이라며 적극 홍보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워싱턴 포스트와 LA 타임즈 등 주요 언론은 농장에 사람은 없고, 먼지와 흙도 보기 힘들 정도로 깨끗했다며 의아해 했습니다.
평양 한 복판에선 36년만에 열리는 노동당 전당대회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 목격됐습니다.
평양을 찾은 외신기자들은 북한의 보여주기식 행태를 보며 과연 진짜 모습은 무엇인지 끊임없는 의문을 던졌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외신 “북 협동농장 공개…썰렁하고 볼 것 없어”
-
- 입력 2016-05-06 07:04:43
- 수정2016-05-06 09:36:41
<앵커 멘트>
오늘 36년만에 개막하는 북한 노동당 전당대회를 취재하기 위해 방북한 외국 언론들이 북한 협동농장을 둘러 봤습니다.
북한으로선 자신들의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도였지만 외신들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워싱턴 이주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평양 외곽의 장천 협동농장.
지난해 6월 이곳을 방문한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 1위원장이 모범 사례로 꼽은 곳입니다.
김일성 훈시에 따라 8개월 여만에 대 강당이 지어졌다며 안내원이 열변을 토합니다.
<녹취> "8. 5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렇게 훌륭하게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평일 오후인데도 협동농장에서 인적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한켠에 마련된 연구실은 아예 텅 비었습니다.
<녹취> "(왜 아무도 일하지 않죠?) 아마도 모임에 간 것 같습니다."
노동당 대회 취재를 위해 북한을 찾은 외신기자들은 백 여명.
북한은 이 가운데 일부 기자들을 백화점과 협동농장으로 데려가 변화된 모습이라며 적극 홍보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워싱턴 포스트와 LA 타임즈 등 주요 언론은 농장에 사람은 없고, 먼지와 흙도 보기 힘들 정도로 깨끗했다며 의아해 했습니다.
평양 한 복판에선 36년만에 열리는 노동당 전당대회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 목격됐습니다.
평양을 찾은 외신기자들은 북한의 보여주기식 행태를 보며 과연 진짜 모습은 무엇인지 끊임없는 의문을 던졌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오늘 36년만에 개막하는 북한 노동당 전당대회를 취재하기 위해 방북한 외국 언론들이 북한 협동농장을 둘러 봤습니다.
북한으로선 자신들의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도였지만 외신들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워싱턴 이주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 평양 외곽의 장천 협동농장.
지난해 6월 이곳을 방문한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 1위원장이 모범 사례로 꼽은 곳입니다.
김일성 훈시에 따라 8개월 여만에 대 강당이 지어졌다며 안내원이 열변을 토합니다.
<녹취> "8. 5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렇게 훌륭하게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평일 오후인데도 협동농장에서 인적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한켠에 마련된 연구실은 아예 텅 비었습니다.
<녹취> "(왜 아무도 일하지 않죠?) 아마도 모임에 간 것 같습니다."
노동당 대회 취재를 위해 북한을 찾은 외신기자들은 백 여명.
북한은 이 가운데 일부 기자들을 백화점과 협동농장으로 데려가 변화된 모습이라며 적극 홍보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워싱턴 포스트와 LA 타임즈 등 주요 언론은 농장에 사람은 없고, 먼지와 흙도 보기 힘들 정도로 깨끗했다며 의아해 했습니다.
평양 한 복판에선 36년만에 열리는 노동당 전당대회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 목격됐습니다.
평양을 찾은 외신기자들은 북한의 보여주기식 행태를 보며 과연 진짜 모습은 무엇인지 끊임없는 의문을 던졌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주한입니다.
-
-
이주한 기자 juhan@kbs.co.kr
이주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