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설계 기술 부족이 근본 원인

입력 2016.05.13 (06:43) 수정 2016.05.13 (0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 조선업계가 불황의 늪에 빠진 건, 해양플랜트 분야가 돈이 된다며 앞다퉈 뛰어들었기 때문인데요.

특히 기본 설계 능력 없이 수주 경쟁만 벌인 것이 엄청난 부실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정윤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다 위 정유공장'이라고 불린 대우조선해양의 해양플랜트, 수주액이 2조 5천억 원에 달했지만, 1조 원 가량은 핵심 설계를 맡은 해외 업체에 돌아갔습니다.

<녹취> 조선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해양플랜트의 톱사이드(선박 위 핵심 시설) 관련된 설계 기술은 해외 엔지니어링 업체에 의존합니다."

TGA유전 형태와 시추 방법에 따라 기본 설계가 달라지는데, 우리 업체들은 경험 부족으로 설계 능력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설계와 건조를 한꺼번에 수주하는 '턴키 방식'으로 뛰어들면서 부실을 키웠습니다.

특히 선주사들이 설계변경을 요구하면 속수무책이었습니다.

<녹취> 조선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생산 설계가 바뀌든 다 바뀌게 되는 거죠. 장비도 새로 받아들여야 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공정 자체가 많이 늦어지는 거죠."

1조 원의 부실을 낳은 '송가 시추선' 사태도 선주사의 잦은 설계 변경 때문이었습니다.

<인터뷰> 양종서(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실패와 손해를 통해서 얻은 교훈들, 계약의 검토라든지 기술의 발전이라든지, 기술 자산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시장을 대비해나가는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해양플랜트 불황이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TGA 선주사들이 해양플랜트 발주를 줄이기 시작한 유가는 배럴당 70달러 선, 현재 40달러 선인 유가가 단기간에 70달러 이상으로 오를 것 같지 않아서, 조선업계를 덮친 한파도 쉽게 가시지 않을 거란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양플랜트 설계 기술 부족이 근본 원인
    • 입력 2016-05-13 06:45:06
    • 수정2016-05-13 07:36:11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우리 조선업계가 불황의 늪에 빠진 건, 해양플랜트 분야가 돈이 된다며 앞다퉈 뛰어들었기 때문인데요.

특히 기본 설계 능력 없이 수주 경쟁만 벌인 것이 엄청난 부실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정윤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바다 위 정유공장'이라고 불린 대우조선해양의 해양플랜트, 수주액이 2조 5천억 원에 달했지만, 1조 원 가량은 핵심 설계를 맡은 해외 업체에 돌아갔습니다.

<녹취> 조선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해양플랜트의 톱사이드(선박 위 핵심 시설) 관련된 설계 기술은 해외 엔지니어링 업체에 의존합니다."

TGA유전 형태와 시추 방법에 따라 기본 설계가 달라지는데, 우리 업체들은 경험 부족으로 설계 능력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설계와 건조를 한꺼번에 수주하는 '턴키 방식'으로 뛰어들면서 부실을 키웠습니다.

특히 선주사들이 설계변경을 요구하면 속수무책이었습니다.

<녹취> 조선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생산 설계가 바뀌든 다 바뀌게 되는 거죠. 장비도 새로 받아들여야 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공정 자체가 많이 늦어지는 거죠."

1조 원의 부실을 낳은 '송가 시추선' 사태도 선주사의 잦은 설계 변경 때문이었습니다.

<인터뷰> 양종서(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실패와 손해를 통해서 얻은 교훈들, 계약의 검토라든지 기술의 발전이라든지, 기술 자산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시장을 대비해나가는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해양플랜트 불황이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TGA 선주사들이 해양플랜트 발주를 줄이기 시작한 유가는 배럴당 70달러 선, 현재 40달러 선인 유가가 단기간에 70달러 이상으로 오를 것 같지 않아서, 조선업계를 덮친 한파도 쉽게 가시지 않을 거란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