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제재 中 은행 ‘타격’…“北 대안 찾을 듯”
입력 2016.06.04 (21:04)
수정 2016.06.04 (22: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국이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해, 국제 금융거래 차단에 나섰는데 이 때문에 중국의 소형 은행들이 타격을 받을 거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북한이 대안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은행들을 찾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워싱턴 박유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단둥과 훈춘, 북한과 중국의 무역이 이뤄지는 국경도시입니다.
북한은 이곳의 소형 은행들에 계좌를 두고 국제 금융거래의 통로로 쓰고 있습니다.
3년 전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형은행들은 대부분 북한과의 거래를 끊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북한이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된 이후 중국의 이 소형 은행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녹취> 진창이(중국 연변대 국제정치연구소장) : "자금세탁국 지정으로 북한과 거래하던 중국의 많은 은행들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북한이 이들 은행에 맡긴 돈은 수십억 달러, 우리 돈 수조 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이걸 지키려고 미국의 제재를 감수하기 보다는 북한과의 거래를 끊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북한은 결국 비정상적인 대안을 찾을 것이고,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의 은행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또 중국의 은행들이 북과의 거래를 어떻게든 은폐할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결국 관건은 중국 정부의 의지입니다.
미국은 모레(6일)부터 열리는 미중 전략대화에서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을 더 강도 높게 압박할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박유한입니다.
미국이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해, 국제 금융거래 차단에 나섰는데 이 때문에 중국의 소형 은행들이 타격을 받을 거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북한이 대안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은행들을 찾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워싱턴 박유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단둥과 훈춘, 북한과 중국의 무역이 이뤄지는 국경도시입니다.
북한은 이곳의 소형 은행들에 계좌를 두고 국제 금융거래의 통로로 쓰고 있습니다.
3년 전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형은행들은 대부분 북한과의 거래를 끊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북한이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된 이후 중국의 이 소형 은행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녹취> 진창이(중국 연변대 국제정치연구소장) : "자금세탁국 지정으로 북한과 거래하던 중국의 많은 은행들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북한이 이들 은행에 맡긴 돈은 수십억 달러, 우리 돈 수조 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이걸 지키려고 미국의 제재를 감수하기 보다는 북한과의 거래를 끊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북한은 결국 비정상적인 대안을 찾을 것이고,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의 은행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또 중국의 은행들이 북과의 거래를 어떻게든 은폐할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결국 관건은 중국 정부의 의지입니다.
미국은 모레(6일)부터 열리는 미중 전략대화에서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을 더 강도 높게 압박할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박유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북 제재 中 은행 ‘타격’…“北 대안 찾을 듯”
-
- 입력 2016-06-04 21:05:24
- 수정2016-06-04 22:55:21

<앵커 멘트>
미국이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해, 국제 금융거래 차단에 나섰는데 이 때문에 중국의 소형 은행들이 타격을 받을 거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북한이 대안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은행들을 찾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워싱턴 박유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단둥과 훈춘, 북한과 중국의 무역이 이뤄지는 국경도시입니다.
북한은 이곳의 소형 은행들에 계좌를 두고 국제 금융거래의 통로로 쓰고 있습니다.
3년 전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형은행들은 대부분 북한과의 거래를 끊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북한이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된 이후 중국의 이 소형 은행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녹취> 진창이(중국 연변대 국제정치연구소장) : "자금세탁국 지정으로 북한과 거래하던 중국의 많은 은행들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북한이 이들 은행에 맡긴 돈은 수십억 달러, 우리 돈 수조 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이걸 지키려고 미국의 제재를 감수하기 보다는 북한과의 거래를 끊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북한은 결국 비정상적인 대안을 찾을 것이고,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의 은행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또 중국의 은행들이 북과의 거래를 어떻게든 은폐할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결국 관건은 중국 정부의 의지입니다.
미국은 모레(6일)부터 열리는 미중 전략대화에서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을 더 강도 높게 압박할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박유한입니다.
미국이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해, 국제 금융거래 차단에 나섰는데 이 때문에 중국의 소형 은행들이 타격을 받을 거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북한이 대안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은행들을 찾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워싱턴 박유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단둥과 훈춘, 북한과 중국의 무역이 이뤄지는 국경도시입니다.
북한은 이곳의 소형 은행들에 계좌를 두고 국제 금융거래의 통로로 쓰고 있습니다.
3년 전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형은행들은 대부분 북한과의 거래를 끊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북한이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된 이후 중국의 이 소형 은행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녹취> 진창이(중국 연변대 국제정치연구소장) : "자금세탁국 지정으로 북한과 거래하던 중국의 많은 은행들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북한이 이들 은행에 맡긴 돈은 수십억 달러, 우리 돈 수조 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이걸 지키려고 미국의 제재를 감수하기 보다는 북한과의 거래를 끊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북한은 결국 비정상적인 대안을 찾을 것이고,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의 은행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또 중국의 은행들이 북과의 거래를 어떻게든 은폐할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결국 관건은 중국 정부의 의지입니다.
미국은 모레(6일)부터 열리는 미중 전략대화에서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을 더 강도 높게 압박할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박유한입니다.
-
-
박유한 기자 hanee@kbs.co.kr
박유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