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구제역’ 화상병, 안성·천안 8개 농가로 확산
입력 2016.06.07 (18:44)
수정 2016.06.07 (21: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과·배 등 과일나무에 치명적인 화상병이 지난달 중순 경기 안성의 사과 과수원에서 처음 발병이 확인된 데 이어 안성과 충남 천안의 8개 농가로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관계기관 합동으로 전국적 예찰을 실시해 12개 시·군, 21개 농가에서 화상병 감염 의심 나무를 발견,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난해 발생지 인근에 위치한 안성의 과수원 6곳과 천안의 2곳 등 총 8개 농가(6.51ha)에서 발병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감염의심 나무는 발견 즉시 뿌리째 뽑아 땅에 매몰하고, 발병이 확인된 과수원 전체와 반경 100m 이내 사과, 배, 모과, 복숭아, 자두 등 기주식물을 파묻는 등 강도높은 방제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 감염된 과일나무가 발견된 지점으로부터 반경 2km 이내는 약제 살포, 반경 5km 이내는 주기적 예찰 등의 조치를 병행하고 있다.
과수 화상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배·사과 등의 식물을 말라죽게 하는 세균성 병으로, 치료약이 없어 피해가 크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처음으로 안성과 천안, 충북 제천 지역 42개 농가에서 발생했고, 올해는 지난달 11일 안성의 한 사과농가에서 화상병 의심증상이 신고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관계기관 합동으로 전국적 예찰을 실시해 12개 시·군, 21개 농가에서 화상병 감염 의심 나무를 발견,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난해 발생지 인근에 위치한 안성의 과수원 6곳과 천안의 2곳 등 총 8개 농가(6.51ha)에서 발병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감염의심 나무는 발견 즉시 뿌리째 뽑아 땅에 매몰하고, 발병이 확인된 과수원 전체와 반경 100m 이내 사과, 배, 모과, 복숭아, 자두 등 기주식물을 파묻는 등 강도높은 방제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 감염된 과일나무가 발견된 지점으로부터 반경 2km 이내는 약제 살포, 반경 5km 이내는 주기적 예찰 등의 조치를 병행하고 있다.
과수 화상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배·사과 등의 식물을 말라죽게 하는 세균성 병으로, 치료약이 없어 피해가 크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처음으로 안성과 천안, 충북 제천 지역 42개 농가에서 발생했고, 올해는 지난달 11일 안성의 한 사과농가에서 화상병 의심증상이 신고돼 확진 판정을 받았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과 구제역’ 화상병, 안성·천안 8개 농가로 확산
-
- 입력 2016-06-07 18:44:25
- 수정2016-06-07 21:04:22

사과·배 등 과일나무에 치명적인 화상병이 지난달 중순 경기 안성의 사과 과수원에서 처음 발병이 확인된 데 이어 안성과 충남 천안의 8개 농가로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관계기관 합동으로 전국적 예찰을 실시해 12개 시·군, 21개 농가에서 화상병 감염 의심 나무를 발견,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난해 발생지 인근에 위치한 안성의 과수원 6곳과 천안의 2곳 등 총 8개 농가(6.51ha)에서 발병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감염의심 나무는 발견 즉시 뿌리째 뽑아 땅에 매몰하고, 발병이 확인된 과수원 전체와 반경 100m 이내 사과, 배, 모과, 복숭아, 자두 등 기주식물을 파묻는 등 강도높은 방제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 감염된 과일나무가 발견된 지점으로부터 반경 2km 이내는 약제 살포, 반경 5km 이내는 주기적 예찰 등의 조치를 병행하고 있다.
과수 화상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배·사과 등의 식물을 말라죽게 하는 세균성 병으로, 치료약이 없어 피해가 크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처음으로 안성과 천안, 충북 제천 지역 42개 농가에서 발생했고, 올해는 지난달 11일 안성의 한 사과농가에서 화상병 의심증상이 신고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관계기관 합동으로 전국적 예찰을 실시해 12개 시·군, 21개 농가에서 화상병 감염 의심 나무를 발견,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난해 발생지 인근에 위치한 안성의 과수원 6곳과 천안의 2곳 등 총 8개 농가(6.51ha)에서 발병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감염의심 나무는 발견 즉시 뿌리째 뽑아 땅에 매몰하고, 발병이 확인된 과수원 전체와 반경 100m 이내 사과, 배, 모과, 복숭아, 자두 등 기주식물을 파묻는 등 강도높은 방제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 감염된 과일나무가 발견된 지점으로부터 반경 2km 이내는 약제 살포, 반경 5km 이내는 주기적 예찰 등의 조치를 병행하고 있다.
과수 화상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배·사과 등의 식물을 말라죽게 하는 세균성 병으로, 치료약이 없어 피해가 크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처음으로 안성과 천안, 충북 제천 지역 42개 농가에서 발생했고, 올해는 지난달 11일 안성의 한 사과농가에서 화상병 의심증상이 신고돼 확진 판정을 받았다.
-
-
김영인 기자 heemang@kbs.co.kr
김영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