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섬마을 관사’ 방범 취약…“밤마다 불안”
입력 2016.06.07 (23:08) 수정 2016.06.08 (01:01) 뉴스라인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이번 사건으로 학교 관사의 방범 실태가 얼마나 허술했는지 여실히 드러났는데요, 다른 섬마을도 확인해보니 방범이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어서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의 한 섬마을 초등학교 관사입니다.
벽에 큼직한 창문이 여러개 나있고, 출입문은 유리 미닫이입니다.
그런데도 잠금 장치는 녹슨 자물쇠 뿐입니다.
<녹취> A 여교사(섬 근무 경력/음성변조) : "잠금장치 자체도 오래돼서 외부에서 마음만 먹고 힘을 가하면 그냥 뚫릴 정도…."
또 다른 관사도 낮은 철제 울타리가 고작입니다.
<녹취> 관사 거주 교사 : "(CCTV나 이런 것은 설치 안 되어 있나요?) 네 관사 주변에는 없죠."
특히 일부 관사는 학교에서 수킬로미터나 떨어져 있어서 근무 교사들은 밤길 나서기가 두려웠다고 말합니다.
<녹취> 섬 근무 여교사 : "가로등이 없어서 밤에 깜깜할 때 야간자율학습 애들 수업 끝내고 가면 밤에는 안 나가요."
교육당국에서 이런 관사를 연립 주택 형태로 바꾸고는 있지만 학생 수가 많은 곳이 우선이어서 사건이 난 학교 관사도 보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러다보니 전남의 경우 매년 100여 명의 여교사가 다른 곳으로 떠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이번 사건으로 학교 관사의 방범 실태가 얼마나 허술했는지 여실히 드러났는데요, 다른 섬마을도 확인해보니 방범이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어서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의 한 섬마을 초등학교 관사입니다.
벽에 큼직한 창문이 여러개 나있고, 출입문은 유리 미닫이입니다.
그런데도 잠금 장치는 녹슨 자물쇠 뿐입니다.
<녹취> A 여교사(섬 근무 경력/음성변조) : "잠금장치 자체도 오래돼서 외부에서 마음만 먹고 힘을 가하면 그냥 뚫릴 정도…."
또 다른 관사도 낮은 철제 울타리가 고작입니다.
<녹취> 관사 거주 교사 : "(CCTV나 이런 것은 설치 안 되어 있나요?) 네 관사 주변에는 없죠."
특히 일부 관사는 학교에서 수킬로미터나 떨어져 있어서 근무 교사들은 밤길 나서기가 두려웠다고 말합니다.
<녹취> 섬 근무 여교사 : "가로등이 없어서 밤에 깜깜할 때 야간자율학습 애들 수업 끝내고 가면 밤에는 안 나가요."
교육당국에서 이런 관사를 연립 주택 형태로 바꾸고는 있지만 학생 수가 많은 곳이 우선이어서 사건이 난 학교 관사도 보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러다보니 전남의 경우 매년 100여 명의 여교사가 다른 곳으로 떠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 ‘섬마을 관사’ 방범 취약…“밤마다 불안”
-
- 입력 2016-06-07 23:12:18
- 수정2016-06-08 01:01:09

<앵커 멘트>
이번 사건으로 학교 관사의 방범 실태가 얼마나 허술했는지 여실히 드러났는데요, 다른 섬마을도 확인해보니 방범이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어서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의 한 섬마을 초등학교 관사입니다.
벽에 큼직한 창문이 여러개 나있고, 출입문은 유리 미닫이입니다.
그런데도 잠금 장치는 녹슨 자물쇠 뿐입니다.
<녹취> A 여교사(섬 근무 경력/음성변조) : "잠금장치 자체도 오래돼서 외부에서 마음만 먹고 힘을 가하면 그냥 뚫릴 정도…."
또 다른 관사도 낮은 철제 울타리가 고작입니다.
<녹취> 관사 거주 교사 : "(CCTV나 이런 것은 설치 안 되어 있나요?) 네 관사 주변에는 없죠."
특히 일부 관사는 학교에서 수킬로미터나 떨어져 있어서 근무 교사들은 밤길 나서기가 두려웠다고 말합니다.
<녹취> 섬 근무 여교사 : "가로등이 없어서 밤에 깜깜할 때 야간자율학습 애들 수업 끝내고 가면 밤에는 안 나가요."
교육당국에서 이런 관사를 연립 주택 형태로 바꾸고는 있지만 학생 수가 많은 곳이 우선이어서 사건이 난 학교 관사도 보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러다보니 전남의 경우 매년 100여 명의 여교사가 다른 곳으로 떠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이번 사건으로 학교 관사의 방범 실태가 얼마나 허술했는지 여실히 드러났는데요, 다른 섬마을도 확인해보니 방범이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어서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의 한 섬마을 초등학교 관사입니다.
벽에 큼직한 창문이 여러개 나있고, 출입문은 유리 미닫이입니다.
그런데도 잠금 장치는 녹슨 자물쇠 뿐입니다.
<녹취> A 여교사(섬 근무 경력/음성변조) : "잠금장치 자체도 오래돼서 외부에서 마음만 먹고 힘을 가하면 그냥 뚫릴 정도…."
또 다른 관사도 낮은 철제 울타리가 고작입니다.
<녹취> 관사 거주 교사 : "(CCTV나 이런 것은 설치 안 되어 있나요?) 네 관사 주변에는 없죠."
특히 일부 관사는 학교에서 수킬로미터나 떨어져 있어서 근무 교사들은 밤길 나서기가 두려웠다고 말합니다.
<녹취> 섬 근무 여교사 : "가로등이 없어서 밤에 깜깜할 때 야간자율학습 애들 수업 끝내고 가면 밤에는 안 나가요."
교육당국에서 이런 관사를 연립 주택 형태로 바꾸고는 있지만 학생 수가 많은 곳이 우선이어서 사건이 난 학교 관사도 보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러다보니 전남의 경우 매년 100여 명의 여교사가 다른 곳으로 떠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