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금리 유도에도 변동금리 주택대출 3년간 늘었다
입력 2016.06.19 (11:35)
수정 2016.06.19 (11: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의 고정금리 대출 유도정책에도 전체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의 총 잔액은 최근 3년 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6개 은행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012년 말 총 241조2천억원에서 2013년 말 242조2천억원, 2014년 말 252조1천억원에 이어 지난해 말 262조3천억원으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2012년에서 2015년 사이 8.7% 증가한 것이다. 대출건수 기준으로 보면 같은 기간 333만8천건에서 360만9천건으로 8.1% 늘었다.
앞서 정부는 2011년 6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발표한 이후 지속적으로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확대를 유도해왔다. 금리상승 위험에 노출되는 가계대출을 줄이려는 목적이었다. 그 결과 2011년 5%에 불과했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약 37%까지 늘었다. 정부는 올해 은행권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의 목표를 최근에는 40%로 상향조정했다. 그러나 비중 기준으로는 목표를 초과달성했지만 금리변동에 노출된 대출총액과 대출자 수는 오히려 과거보다 늘어났다.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를 합친 전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총액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6개 은행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012년 말 총 241조2천억원에서 2013년 말 242조2천억원, 2014년 말 252조1천억원에 이어 지난해 말 262조3천억원으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2012년에서 2015년 사이 8.7% 증가한 것이다. 대출건수 기준으로 보면 같은 기간 333만8천건에서 360만9천건으로 8.1% 늘었다.
앞서 정부는 2011년 6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발표한 이후 지속적으로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확대를 유도해왔다. 금리상승 위험에 노출되는 가계대출을 줄이려는 목적이었다. 그 결과 2011년 5%에 불과했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약 37%까지 늘었다. 정부는 올해 은행권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의 목표를 최근에는 40%로 상향조정했다. 그러나 비중 기준으로는 목표를 초과달성했지만 금리변동에 노출된 대출총액과 대출자 수는 오히려 과거보다 늘어났다.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를 합친 전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총액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정금리 유도에도 변동금리 주택대출 3년간 늘었다
-
- 입력 2016-06-19 11:35:37
- 수정2016-06-19 11:43:35

정부의 고정금리 대출 유도정책에도 전체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의 총 잔액은 최근 3년 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6개 은행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012년 말 총 241조2천억원에서 2013년 말 242조2천억원, 2014년 말 252조1천억원에 이어 지난해 말 262조3천억원으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2012년에서 2015년 사이 8.7% 증가한 것이다. 대출건수 기준으로 보면 같은 기간 333만8천건에서 360만9천건으로 8.1% 늘었다.
앞서 정부는 2011년 6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발표한 이후 지속적으로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확대를 유도해왔다. 금리상승 위험에 노출되는 가계대출을 줄이려는 목적이었다. 그 결과 2011년 5%에 불과했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약 37%까지 늘었다. 정부는 올해 은행권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의 목표를 최근에는 40%로 상향조정했다. 그러나 비중 기준으로는 목표를 초과달성했지만 금리변동에 노출된 대출총액과 대출자 수는 오히려 과거보다 늘어났다.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를 합친 전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총액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6개 은행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012년 말 총 241조2천억원에서 2013년 말 242조2천억원, 2014년 말 252조1천억원에 이어 지난해 말 262조3천억원으로 3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2012년에서 2015년 사이 8.7% 증가한 것이다. 대출건수 기준으로 보면 같은 기간 333만8천건에서 360만9천건으로 8.1% 늘었다.
앞서 정부는 2011년 6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발표한 이후 지속적으로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확대를 유도해왔다. 금리상승 위험에 노출되는 가계대출을 줄이려는 목적이었다. 그 결과 2011년 5%에 불과했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약 37%까지 늘었다. 정부는 올해 은행권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의 목표를 최근에는 40%로 상향조정했다. 그러나 비중 기준으로는 목표를 초과달성했지만 금리변동에 노출된 대출총액과 대출자 수는 오히려 과거보다 늘어났다.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를 합친 전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총액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
-
김지선 기자 3rdline@kbs.co.kr
김지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