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으로 목디스크 환자 급증…5년새 24% ↑
입력 2016.06.19 (12:02)
수정 2016.06.1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5년 사이 목디스크 환자가 24%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사용 증가로 자세가 잘못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 분석 결과를 보면, 목디스크라고 하는 '경추간판장애' 진료 인원은 2010년 69만9천858명에서 2015년 86만8천729명으로 24.3% 증가했다. 그 사이 총진료비는 1천666억 원에서 2천260억 원으로 35.6% 뛰었다.
목디스크 환자의 증가세에는 스마트기기의 사용 증가가 한 원인으로 꼽힌다. 장호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IT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면서 잘못된 자세로 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목디스크 환자가 늘어난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목디스크는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작년 인구 10만 명 당 환자 수는 50대가 533명으로 40대(369명)나 60대(340명), 70대(184명), 30대(175명), 20대(69명)보다 많았다. 장 교수는 50대 환자가 특히 많은 것은 30대 중반부터 시작되는 퇴행성 변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라며 "30~40대 환자는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목디스크가 오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목에는 머리와 척추를 이어주는 7개의 뼈(경추)가 있으며 그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 역할을 하는 경추간판(디스크)이 있다. 목디스크는 디스크의 탄력이 떨어지거나 충격을 받아 디스크 수핵이 빠져나와 주위의 신경근이나 척수를 자극하면서 통증이나 마비를 일으킨다.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면 목의 자세를 평소 바르게 하고 고개를 약간 드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 작업 때 모니터는 눈높이로 하고 거북이 목처럼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장 교수는 지적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 분석 결과를 보면, 목디스크라고 하는 '경추간판장애' 진료 인원은 2010년 69만9천858명에서 2015년 86만8천729명으로 24.3% 증가했다. 그 사이 총진료비는 1천666억 원에서 2천260억 원으로 35.6% 뛰었다.
목디스크 환자의 증가세에는 스마트기기의 사용 증가가 한 원인으로 꼽힌다. 장호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IT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면서 잘못된 자세로 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목디스크 환자가 늘어난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목디스크는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작년 인구 10만 명 당 환자 수는 50대가 533명으로 40대(369명)나 60대(340명), 70대(184명), 30대(175명), 20대(69명)보다 많았다. 장 교수는 50대 환자가 특히 많은 것은 30대 중반부터 시작되는 퇴행성 변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라며 "30~40대 환자는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목디스크가 오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목에는 머리와 척추를 이어주는 7개의 뼈(경추)가 있으며 그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 역할을 하는 경추간판(디스크)이 있다. 목디스크는 디스크의 탄력이 떨어지거나 충격을 받아 디스크 수핵이 빠져나와 주위의 신경근이나 척수를 자극하면서 통증이나 마비를 일으킨다.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면 목의 자세를 평소 바르게 하고 고개를 약간 드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 작업 때 모니터는 눈높이로 하고 거북이 목처럼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장 교수는 지적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마트폰 사용으로 목디스크 환자 급증…5년새 24% ↑
-
- 입력 2016-06-19 12:02:31
- 수정2016-06-19 15:00:45

최근 5년 사이 목디스크 환자가 24%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사용 증가로 자세가 잘못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 분석 결과를 보면, 목디스크라고 하는 '경추간판장애' 진료 인원은 2010년 69만9천858명에서 2015년 86만8천729명으로 24.3% 증가했다. 그 사이 총진료비는 1천666억 원에서 2천260억 원으로 35.6% 뛰었다.
목디스크 환자의 증가세에는 스마트기기의 사용 증가가 한 원인으로 꼽힌다. 장호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IT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면서 잘못된 자세로 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목디스크 환자가 늘어난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목디스크는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작년 인구 10만 명 당 환자 수는 50대가 533명으로 40대(369명)나 60대(340명), 70대(184명), 30대(175명), 20대(69명)보다 많았다. 장 교수는 50대 환자가 특히 많은 것은 30대 중반부터 시작되는 퇴행성 변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라며 "30~40대 환자는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목디스크가 오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목에는 머리와 척추를 이어주는 7개의 뼈(경추)가 있으며 그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 역할을 하는 경추간판(디스크)이 있다. 목디스크는 디스크의 탄력이 떨어지거나 충격을 받아 디스크 수핵이 빠져나와 주위의 신경근이나 척수를 자극하면서 통증이나 마비를 일으킨다.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면 목의 자세를 평소 바르게 하고 고개를 약간 드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 작업 때 모니터는 눈높이로 하고 거북이 목처럼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장 교수는 지적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 분석 결과를 보면, 목디스크라고 하는 '경추간판장애' 진료 인원은 2010년 69만9천858명에서 2015년 86만8천729명으로 24.3% 증가했다. 그 사이 총진료비는 1천666억 원에서 2천260억 원으로 35.6% 뛰었다.
목디스크 환자의 증가세에는 스마트기기의 사용 증가가 한 원인으로 꼽힌다. 장호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IT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면서 잘못된 자세로 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목디스크 환자가 늘어난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목디스크는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작년 인구 10만 명 당 환자 수는 50대가 533명으로 40대(369명)나 60대(340명), 70대(184명), 30대(175명), 20대(69명)보다 많았다. 장 교수는 50대 환자가 특히 많은 것은 30대 중반부터 시작되는 퇴행성 변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라며 "30~40대 환자는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목디스크가 오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목에는 머리와 척추를 이어주는 7개의 뼈(경추)가 있으며 그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 역할을 하는 경추간판(디스크)이 있다. 목디스크는 디스크의 탄력이 떨어지거나 충격을 받아 디스크 수핵이 빠져나와 주위의 신경근이나 척수를 자극하면서 통증이나 마비를 일으킨다.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면 목의 자세를 평소 바르게 하고 고개를 약간 드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 작업 때 모니터는 눈높이로 하고 거북이 목처럼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장 교수는 지적했다.
-
-
은준수 기자 eunjs@kbs.co.kr
은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