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인터넷중독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들이 우울증에 시달리거나 자살을 생각하고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고 미국 소아과학회가 현지시간 27일 임상보고서 최신판을 통해 밝혔다.
학회지 '소아과학'(Pediatrics)에 실린 보고서는 병적인 인터넷 사용이 자살, 자해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하루 5시간 넘게 비디오 게임을 하고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스스로 말하는 청소년들은 우울증에 시달리는 비율이 높았고 자살 생각을 하거나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도 높았다.
자살을 부추기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자살에 관한 온라인 게시판 토론에 참여하는 것도 자살 관련 행동의 증가와 통계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온라인 뉴스 사이트 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자살 소식을 듣는 것도 청소년들의 자살 위험을 높이는 요인일 수 있다고 이 보고서는 지적했다.
어린이·청소년의 따돌림 피해나 가해도 자살 생각·시도와 명확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왕따의 '피해자 겸 가해자'인 경우에는 나중에 정신적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만 8세 시절 왕따 가해자였던 어린이들은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자살 시도를 하거나 자살하는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고, 고교생 시절에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왕따를 경험한 사람들은 몇 년 후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미국의 청소년(만15∼19세) 자살률은 1950년부터 1990년까지 4배로 늘었으나, 1990년을 고비로 줄어들기 시작해 2013년까지 28% 감소했다.
보고서는 미국 소아과학회 홈페이지에 공개됐다.
학회지 '소아과학'(Pediatrics)에 실린 보고서는 병적인 인터넷 사용이 자살, 자해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하루 5시간 넘게 비디오 게임을 하고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스스로 말하는 청소년들은 우울증에 시달리는 비율이 높았고 자살 생각을 하거나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도 높았다.
자살을 부추기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자살에 관한 온라인 게시판 토론에 참여하는 것도 자살 관련 행동의 증가와 통계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온라인 뉴스 사이트 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자살 소식을 듣는 것도 청소년들의 자살 위험을 높이는 요인일 수 있다고 이 보고서는 지적했다.
어린이·청소년의 따돌림 피해나 가해도 자살 생각·시도와 명확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왕따의 '피해자 겸 가해자'인 경우에는 나중에 정신적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만 8세 시절 왕따 가해자였던 어린이들은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자살 시도를 하거나 자살하는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고, 고교생 시절에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왕따를 경험한 사람들은 몇 년 후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미국의 청소년(만15∼19세) 자살률은 1950년부터 1990년까지 4배로 늘었으나, 1990년을 고비로 줄어들기 시작해 2013년까지 28% 감소했다.
보고서는 미국 소아과학회 홈페이지에 공개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게임·인터넷중독, 10대 우울증·자살과 강한 연관”
-
- 입력 2016-06-28 08:04:33
게임·인터넷중독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들이 우울증에 시달리거나 자살을 생각하고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고 미국 소아과학회가 현지시간 27일 임상보고서 최신판을 통해 밝혔다.
학회지 '소아과학'(Pediatrics)에 실린 보고서는 병적인 인터넷 사용이 자살, 자해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하루 5시간 넘게 비디오 게임을 하고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스스로 말하는 청소년들은 우울증에 시달리는 비율이 높았고 자살 생각을 하거나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도 높았다.
자살을 부추기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자살에 관한 온라인 게시판 토론에 참여하는 것도 자살 관련 행동의 증가와 통계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온라인 뉴스 사이트 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자살 소식을 듣는 것도 청소년들의 자살 위험을 높이는 요인일 수 있다고 이 보고서는 지적했다.
어린이·청소년의 따돌림 피해나 가해도 자살 생각·시도와 명확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왕따의 '피해자 겸 가해자'인 경우에는 나중에 정신적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만 8세 시절 왕따 가해자였던 어린이들은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자살 시도를 하거나 자살하는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고, 고교생 시절에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왕따를 경험한 사람들은 몇 년 후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미국의 청소년(만15∼19세) 자살률은 1950년부터 1990년까지 4배로 늘었으나, 1990년을 고비로 줄어들기 시작해 2013년까지 28% 감소했다.
보고서는 미국 소아과학회 홈페이지에 공개됐다.
학회지 '소아과학'(Pediatrics)에 실린 보고서는 병적인 인터넷 사용이 자살, 자해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하루 5시간 넘게 비디오 게임을 하고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스스로 말하는 청소년들은 우울증에 시달리는 비율이 높았고 자살 생각을 하거나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도 높았다.
자살을 부추기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자살에 관한 온라인 게시판 토론에 참여하는 것도 자살 관련 행동의 증가와 통계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온라인 뉴스 사이트 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자살 소식을 듣는 것도 청소년들의 자살 위험을 높이는 요인일 수 있다고 이 보고서는 지적했다.
어린이·청소년의 따돌림 피해나 가해도 자살 생각·시도와 명확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왕따의 '피해자 겸 가해자'인 경우에는 나중에 정신적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만 8세 시절 왕따 가해자였던 어린이들은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자살 시도를 하거나 자살하는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고, 고교생 시절에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왕따를 경험한 사람들은 몇 년 후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기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미국의 청소년(만15∼19세) 자살률은 1950년부터 1990년까지 4배로 늘었으나, 1990년을 고비로 줄어들기 시작해 2013년까지 28% 감소했다.
보고서는 미국 소아과학회 홈페이지에 공개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