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돼지고기가 ‘한우’ 둔갑…불량 떡갈비
입력 2016.07.25 (23:29) 수정 2016.07.26 (01:21) 뉴스라인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않은 돼지고기에 소고기를 조금 넣고 한우 떡갈비라며 판매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때가 잔뜩 낀 화장실 앞 바닥에 각종 조미료가 널려있습니다.
바로 옆 선반 위에 있는 건 고기를 갈거나 반죽할 때 쓰이는 장비들입니다.
39살 주 모씨 등 6명은 이 곳에서 무허가로 떡갈비를 만들었습니다.
이 업체는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돼지고기를 사용해 떡갈비를 만든 뒤, 한우 떡갈비로 속여 판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떡갈비의 80%는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돼지고기였습니다.
소고기는 20%에 불과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주 씨 등은 한우 떡갈비처럼 보이기 위해 붉은색 색소를 넣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떡갈비는 별도 함량 표시 없이 '한우떡갈비'로 포장돼 주 씨가 운영하는 수도권 4곳의 정육점에서 팔렸습니다.
<녹취> 정육점 직원(음성변조) : "장사가 너무 안 되니까 이거라도 해서 애들 월급이라도 주고 먹고살라고."
경찰은 축산물 위생관리법 위반 혐의로 주 씨를 구속하고, 40살 이 모 씨 등 5명을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않은 돼지고기에 소고기를 조금 넣고 한우 떡갈비라며 판매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때가 잔뜩 낀 화장실 앞 바닥에 각종 조미료가 널려있습니다.
바로 옆 선반 위에 있는 건 고기를 갈거나 반죽할 때 쓰이는 장비들입니다.
39살 주 모씨 등 6명은 이 곳에서 무허가로 떡갈비를 만들었습니다.
이 업체는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돼지고기를 사용해 떡갈비를 만든 뒤, 한우 떡갈비로 속여 판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떡갈비의 80%는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돼지고기였습니다.
소고기는 20%에 불과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주 씨 등은 한우 떡갈비처럼 보이기 위해 붉은색 색소를 넣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떡갈비는 별도 함량 표시 없이 '한우떡갈비'로 포장돼 주 씨가 운영하는 수도권 4곳의 정육점에서 팔렸습니다.
<녹취> 정육점 직원(음성변조) : "장사가 너무 안 되니까 이거라도 해서 애들 월급이라도 주고 먹고살라고."
경찰은 축산물 위생관리법 위반 혐의로 주 씨를 구속하고, 40살 이 모 씨 등 5명을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 돼지고기가 ‘한우’ 둔갑…불량 떡갈비
-
- 입력 2016-07-25 23:30:23
- 수정2016-07-26 01:21:07

<앵커 멘트>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않은 돼지고기에 소고기를 조금 넣고 한우 떡갈비라며 판매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때가 잔뜩 낀 화장실 앞 바닥에 각종 조미료가 널려있습니다.
바로 옆 선반 위에 있는 건 고기를 갈거나 반죽할 때 쓰이는 장비들입니다.
39살 주 모씨 등 6명은 이 곳에서 무허가로 떡갈비를 만들었습니다.
이 업체는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돼지고기를 사용해 떡갈비를 만든 뒤, 한우 떡갈비로 속여 판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떡갈비의 80%는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돼지고기였습니다.
소고기는 20%에 불과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주 씨 등은 한우 떡갈비처럼 보이기 위해 붉은색 색소를 넣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떡갈비는 별도 함량 표시 없이 '한우떡갈비'로 포장돼 주 씨가 운영하는 수도권 4곳의 정육점에서 팔렸습니다.
<녹취> 정육점 직원(음성변조) : "장사가 너무 안 되니까 이거라도 해서 애들 월급이라도 주고 먹고살라고."
경찰은 축산물 위생관리법 위반 혐의로 주 씨를 구속하고, 40살 이 모 씨 등 5명을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않은 돼지고기에 소고기를 조금 넣고 한우 떡갈비라며 판매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때가 잔뜩 낀 화장실 앞 바닥에 각종 조미료가 널려있습니다.
바로 옆 선반 위에 있는 건 고기를 갈거나 반죽할 때 쓰이는 장비들입니다.
39살 주 모씨 등 6명은 이 곳에서 무허가로 떡갈비를 만들었습니다.
이 업체는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돼지고기를 사용해 떡갈비를 만든 뒤, 한우 떡갈비로 속여 판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떡갈비의 80%는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돼지고기였습니다.
소고기는 20%에 불과했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주 씨 등은 한우 떡갈비처럼 보이기 위해 붉은색 색소를 넣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떡갈비는 별도 함량 표시 없이 '한우떡갈비'로 포장돼 주 씨가 운영하는 수도권 4곳의 정육점에서 팔렸습니다.
<녹취> 정육점 직원(음성변조) : "장사가 너무 안 되니까 이거라도 해서 애들 월급이라도 주고 먹고살라고."
경찰은 축산물 위생관리법 위반 혐의로 주 씨를 구속하고, 40살 이 모 씨 등 5명을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