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폭염과의 전쟁…‘폐사를 막아라!’
입력 2016.08.05 (07:34)
수정 2016.08.05 (08: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기록적인 불볕더위 때문에 가축들이 줄지어 폐사해 축산농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농민들은 폭염에 대응해 특별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피해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박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뜨거운 햇볕을 막기 위해 차광막을 설치했지만, 축사 내부 온도는 33도를 웃돕니다.
쉴 새 없이 돌아가는 대형 선풍기 바람으로도 열기를 몰아내는 건 역부족입니다.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추고, 특제 사료까지 먹여도, 우유의 양과 품질이 신통치가 않습니다.
<인터뷰> 김진걸(목장운영) : "올해는 유별나게 날씨가 더워서 그런지 등급이 좀 안 좋더라고요. 안 좋으면 저희가 손해 보는 거죠."
폭염이 괴롭기는 돼지도 마찬가지.
가쁜 숨을 몰아쉬는 돼지에게 얼음을 먹여보지만, 더위를 잊는 건 그때뿐입니다.
축산 당국은 비상 체제를 가동했습니다.
<인터뷰> 정동완(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농촌지도관) : "농가에서는 가축에게 신선한 물 공급, 새벽과 저녁에 사료 주기, 차광막 설치 등 폭서기 가축 관리를 통해서 가축피해를 최소화해야 하겠습니다."
특히 땀구멍이 없는 닭과 같은 가금류는 기온이 30도가 넘어가면 폐사가 속출합니다.
지금까지 신고된 올여름 가축 폐사는 닭 217만 마리를 포함해 225만여 마리에 달해 지난해보다 피해가 심각합니다.
축산농가들은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밤낮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8월에도 무더위가 이어질 전망이어서 축산 농가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기록적인 불볕더위 때문에 가축들이 줄지어 폐사해 축산농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농민들은 폭염에 대응해 특별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피해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박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뜨거운 햇볕을 막기 위해 차광막을 설치했지만, 축사 내부 온도는 33도를 웃돕니다.
쉴 새 없이 돌아가는 대형 선풍기 바람으로도 열기를 몰아내는 건 역부족입니다.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추고, 특제 사료까지 먹여도, 우유의 양과 품질이 신통치가 않습니다.
<인터뷰> 김진걸(목장운영) : "올해는 유별나게 날씨가 더워서 그런지 등급이 좀 안 좋더라고요. 안 좋으면 저희가 손해 보는 거죠."
폭염이 괴롭기는 돼지도 마찬가지.
가쁜 숨을 몰아쉬는 돼지에게 얼음을 먹여보지만, 더위를 잊는 건 그때뿐입니다.
축산 당국은 비상 체제를 가동했습니다.
<인터뷰> 정동완(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농촌지도관) : "농가에서는 가축에게 신선한 물 공급, 새벽과 저녁에 사료 주기, 차광막 설치 등 폭서기 가축 관리를 통해서 가축피해를 최소화해야 하겠습니다."
특히 땀구멍이 없는 닭과 같은 가금류는 기온이 30도가 넘어가면 폐사가 속출합니다.
지금까지 신고된 올여름 가축 폐사는 닭 217만 마리를 포함해 225만여 마리에 달해 지난해보다 피해가 심각합니다.
축산농가들은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밤낮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8월에도 무더위가 이어질 전망이어서 축산 농가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축산농가 폭염과의 전쟁…‘폐사를 막아라!’
-
- 입력 2016-08-05 07:46:34
- 수정2016-08-05 08:37:59

<앵커 멘트>
기록적인 불볕더위 때문에 가축들이 줄지어 폐사해 축산농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농민들은 폭염에 대응해 특별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피해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박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뜨거운 햇볕을 막기 위해 차광막을 설치했지만, 축사 내부 온도는 33도를 웃돕니다.
쉴 새 없이 돌아가는 대형 선풍기 바람으로도 열기를 몰아내는 건 역부족입니다.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추고, 특제 사료까지 먹여도, 우유의 양과 품질이 신통치가 않습니다.
<인터뷰> 김진걸(목장운영) : "올해는 유별나게 날씨가 더워서 그런지 등급이 좀 안 좋더라고요. 안 좋으면 저희가 손해 보는 거죠."
폭염이 괴롭기는 돼지도 마찬가지.
가쁜 숨을 몰아쉬는 돼지에게 얼음을 먹여보지만, 더위를 잊는 건 그때뿐입니다.
축산 당국은 비상 체제를 가동했습니다.
<인터뷰> 정동완(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농촌지도관) : "농가에서는 가축에게 신선한 물 공급, 새벽과 저녁에 사료 주기, 차광막 설치 등 폭서기 가축 관리를 통해서 가축피해를 최소화해야 하겠습니다."
특히 땀구멍이 없는 닭과 같은 가금류는 기온이 30도가 넘어가면 폐사가 속출합니다.
지금까지 신고된 올여름 가축 폐사는 닭 217만 마리를 포함해 225만여 마리에 달해 지난해보다 피해가 심각합니다.
축산농가들은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밤낮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8월에도 무더위가 이어질 전망이어서 축산 농가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기록적인 불볕더위 때문에 가축들이 줄지어 폐사해 축산농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농민들은 폭염에 대응해 특별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피해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박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뜨거운 햇볕을 막기 위해 차광막을 설치했지만, 축사 내부 온도는 33도를 웃돕니다.
쉴 새 없이 돌아가는 대형 선풍기 바람으로도 열기를 몰아내는 건 역부족입니다.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추고, 특제 사료까지 먹여도, 우유의 양과 품질이 신통치가 않습니다.
<인터뷰> 김진걸(목장운영) : "올해는 유별나게 날씨가 더워서 그런지 등급이 좀 안 좋더라고요. 안 좋으면 저희가 손해 보는 거죠."
폭염이 괴롭기는 돼지도 마찬가지.
가쁜 숨을 몰아쉬는 돼지에게 얼음을 먹여보지만, 더위를 잊는 건 그때뿐입니다.
축산 당국은 비상 체제를 가동했습니다.
<인터뷰> 정동완(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농촌지도관) : "농가에서는 가축에게 신선한 물 공급, 새벽과 저녁에 사료 주기, 차광막 설치 등 폭서기 가축 관리를 통해서 가축피해를 최소화해야 하겠습니다."
특히 땀구멍이 없는 닭과 같은 가금류는 기온이 30도가 넘어가면 폐사가 속출합니다.
지금까지 신고된 올여름 가축 폐사는 닭 217만 마리를 포함해 225만여 마리에 달해 지난해보다 피해가 심각합니다.
축산농가들은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밤낮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8월에도 무더위가 이어질 전망이어서 축산 농가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
-
박민경 기자 pmg@kbs.co.kr
박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