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로 예정된 지주회사 기준 상향 적용 시점이 10월 이후로 늦춰질 전망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5일 "기업들이 지주회사 전환 기일인 9월을 맞추기가 빠듯하다고 해 지주회사 자산 기준 상향 적용 시점을 10월 이후로 늦추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지난 6월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 자산 기준을 5조원에서 10조원으로 올리면서 지주회사의 자산 요건도 1천억원에서 5천억원으로 상향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3개월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9월부터 지주회사 전환기준을 신규 적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주사로 전환하려면 이사회 의결, 주주총회 승인, 각종 기업결합 신고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해 3개월이 짧다는 의견이 많아 공정위도 이를 받아들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5일 "기업들이 지주회사 전환 기일인 9월을 맞추기가 빠듯하다고 해 지주회사 자산 기준 상향 적용 시점을 10월 이후로 늦추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지난 6월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 자산 기준을 5조원에서 10조원으로 올리면서 지주회사의 자산 요건도 1천억원에서 5천억원으로 상향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3개월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9월부터 지주회사 전환기준을 신규 적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주사로 전환하려면 이사회 의결, 주주총회 승인, 각종 기업결합 신고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해 3개월이 짧다는 의견이 많아 공정위도 이를 받아들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주회사 전환기준 상향 시점 10월 이후로 연기
-
- 입력 2016-08-05 09:57:18
다음 달로 예정된 지주회사 기준 상향 적용 시점이 10월 이후로 늦춰질 전망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5일 "기업들이 지주회사 전환 기일인 9월을 맞추기가 빠듯하다고 해 지주회사 자산 기준 상향 적용 시점을 10월 이후로 늦추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지난 6월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 자산 기준을 5조원에서 10조원으로 올리면서 지주회사의 자산 요건도 1천억원에서 5천억원으로 상향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3개월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9월부터 지주회사 전환기준을 신규 적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주사로 전환하려면 이사회 의결, 주주총회 승인, 각종 기업결합 신고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해 3개월이 짧다는 의견이 많아 공정위도 이를 받아들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5일 "기업들이 지주회사 전환 기일인 9월을 맞추기가 빠듯하다고 해 지주회사 자산 기준 상향 적용 시점을 10월 이후로 늦추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지난 6월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 지정 자산 기준을 5조원에서 10조원으로 올리면서 지주회사의 자산 요건도 1천억원에서 5천억원으로 상향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3개월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9월부터 지주회사 전환기준을 신규 적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주사로 전환하려면 이사회 의결, 주주총회 승인, 각종 기업결합 신고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해 3개월이 짧다는 의견이 많아 공정위도 이를 받아들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
-
변기성 기자 byun@kbs.co.kr
변기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