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우즈베크, 北 대사관 폐쇄 배경은?

입력 2016.08.19 (21:02) 수정 2016.08.19 (22: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앙아시아의 가운데에 위치해 있는 우즈베키스탄은, 스탈린의 이주 정책으로 옮겨간 고려인들의 그 후손들이 현재 18만 명이나 살고 있는 곳이죠

구소련 붕괴 이후 1992년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었는데 고려인들이 많은데다 값싼 원재자 수입 공급원으로 북한에게는 중앙아시아의 외교적 요충지 역할을 해온 곳입니다.

이랬던 우즈베키스탄이 북한 대사관을 사실상 쫓아내면서, 북한은 중앙아시아 외교에서 큰 타격을 받게 됐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우즈베키스탄 카리모프 대통령이 4선에 성공한 이후 선택한 첫 공식 해외 방문국은 한국이었습니다.

<인터뷰> 카리모프(대통령) : "한국은 구조개혁과 현대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창조경제 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고 있습니다"

현재 60여 개 국내 기업들이 우즈베키스탄에 6억 달러 넘게 투자하고 있고, 국제 무대에서도 한국의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원하는 등 우즈베키스탄에게 한국은 '핵심 협력대상국'입니다.

고위급 교류와 협정, 교역이 거의 없는 북한보다는 한국이 더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녹취> 우즈베크 한인회장 : "(한국과 북한) 비교가 안돼죠.. 옛날에는 여기가 독립하기 전에는 좀 그랬는데, 지금은 한국. 북한이 게임이 안되죠.. (북한과는) 활성화돼 있지 않죠... 소원해요.."

우즈베키스탄의 북한 대사관 폐쇄 조치는 이런 경제적 배경 속에서 최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북한은 지난 1998년 폐쇄한 카자흐스탄 대사관의 재개설을 시도하고 있지만 카자흐스탄의 호응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유라시아를 잇는 요충지이자 풍부한 지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중앙 아시아의 마지막 대사관까지 폐쇄되면서 북한의 외교적 고립은 더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우즈베크, 北 대사관 폐쇄 배경은?
    • 입력 2016-08-19 21:04:46
    • 수정2016-08-19 22:42:14
    뉴스 9
<앵커 멘트>

중앙아시아의 가운데에 위치해 있는 우즈베키스탄은, 스탈린의 이주 정책으로 옮겨간 고려인들의 그 후손들이 현재 18만 명이나 살고 있는 곳이죠

구소련 붕괴 이후 1992년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었는데 고려인들이 많은데다 값싼 원재자 수입 공급원으로 북한에게는 중앙아시아의 외교적 요충지 역할을 해온 곳입니다.

이랬던 우즈베키스탄이 북한 대사관을 사실상 쫓아내면서, 북한은 중앙아시아 외교에서 큰 타격을 받게 됐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우즈베키스탄 카리모프 대통령이 4선에 성공한 이후 선택한 첫 공식 해외 방문국은 한국이었습니다.

<인터뷰> 카리모프(대통령) : "한국은 구조개혁과 현대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창조경제 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고 있습니다"

현재 60여 개 국내 기업들이 우즈베키스탄에 6억 달러 넘게 투자하고 있고, 국제 무대에서도 한국의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원하는 등 우즈베키스탄에게 한국은 '핵심 협력대상국'입니다.

고위급 교류와 협정, 교역이 거의 없는 북한보다는 한국이 더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녹취> 우즈베크 한인회장 : "(한국과 북한) 비교가 안돼죠.. 옛날에는 여기가 독립하기 전에는 좀 그랬는데, 지금은 한국. 북한이 게임이 안되죠.. (북한과는) 활성화돼 있지 않죠... 소원해요.."

우즈베키스탄의 북한 대사관 폐쇄 조치는 이런 경제적 배경 속에서 최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북한은 지난 1998년 폐쇄한 카자흐스탄 대사관의 재개설을 시도하고 있지만 카자흐스탄의 호응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유라시아를 잇는 요충지이자 풍부한 지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중앙 아시아의 마지막 대사관까지 폐쇄되면서 북한의 외교적 고립은 더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