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분석] 인구 5천만 명 돌파…‘1인 가구’ 급증
입력 2016.09.07 (16:00)
수정 2016.09.07 (17: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고령화 여파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처음으로 5천만명을 넘어섰습니다.
또, 전체 가구 중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아졌습니다.
통계청이 오늘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경제부 김영인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김영인 기자, 우리나라 인구는 5천만 명, 이렇게 얘기들은 많이 했는데, 이게 공식 통계로 확인된 거군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5,107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4천만 명을 돌파한 지 30년 만에 인구 5천만 명 시대가 열린 겁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5년마다 실시되거든요.
2010년보다 136만 명 늘었습니다.
이렇게 인구가 증가 추세를 보이는 건, 고령화 속도가 빨라진 탓으로 분석됩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13.2%를 차지했습니다.
5년전 보다 121만 명, 2.2%p 증가한 겁니다.
반면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는 691만명으로 5년전에 비해 97만명, 2.3%p 줄었습니다.
전체 인구를 연령별로 세워보면요.
가장 가운데에 해당하는 중위 연령은 41.2세로 처음으로 40세를 넘어섰습니다.
이에 따라 연령별 인구구조도 40, 50대 인구가 가장 많은 항아리형 인구 피라미드 형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질문>
김 기자! 이번에 또 눈에 띄는 조사 결과가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잡은 거라면서요?
<답변>
네, 1인 가구는 520만 가구로 가장 주된 가구유형으로 등장했습니다.
1인 가구 비중은 27.2%로 집계됐는데요.
2010년보다 3.3%p 늘어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높았습니다.
1995년과 비교해보면요. 25년 만에 14.5%p 늘었습니다.
일단 평균 가구원 수가 줄었고요.
가족끼리 따로따로 사는 경우가 많아진 탓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예전 교과서에서 흔히 보던 아버지, 어머니, 자녀 두 명으로 이뤄진 4인 가구는 이제 1인, 2인, 3인 가구보다 더 드물게 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요.
1인 가구 중에선 30대가 18.3%로 가장 높았고, 70대, 20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질문>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도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요?
<답변>
네, 2015년 기준으로 136만 명입니다.
2010년엔 96만 명이었으니까, 5년 새 40% 넘게 늘었습니다.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였습니다.
10명 중 6명 정도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에 45만 명, 서울엔 34만 명입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계 외국인, 그러니까, 중국 동포, 중국인, 타이완인 등이 51.6%를 차지했습니다.
지난 15년 새 증가폭이 큰 외국인 국적을 살펴보니까요.
미얀마와 캄보디아, 네팔 출신 등이 2~3배 넘는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고령화 여파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처음으로 5천만명을 넘어섰습니다.
또, 전체 가구 중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아졌습니다.
통계청이 오늘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경제부 김영인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김영인 기자, 우리나라 인구는 5천만 명, 이렇게 얘기들은 많이 했는데, 이게 공식 통계로 확인된 거군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5,107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4천만 명을 돌파한 지 30년 만에 인구 5천만 명 시대가 열린 겁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5년마다 실시되거든요.
2010년보다 136만 명 늘었습니다.
이렇게 인구가 증가 추세를 보이는 건, 고령화 속도가 빨라진 탓으로 분석됩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13.2%를 차지했습니다.
5년전 보다 121만 명, 2.2%p 증가한 겁니다.
반면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는 691만명으로 5년전에 비해 97만명, 2.3%p 줄었습니다.
전체 인구를 연령별로 세워보면요.
가장 가운데에 해당하는 중위 연령은 41.2세로 처음으로 40세를 넘어섰습니다.
이에 따라 연령별 인구구조도 40, 50대 인구가 가장 많은 항아리형 인구 피라미드 형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질문>
김 기자! 이번에 또 눈에 띄는 조사 결과가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잡은 거라면서요?
<답변>
네, 1인 가구는 520만 가구로 가장 주된 가구유형으로 등장했습니다.
1인 가구 비중은 27.2%로 집계됐는데요.
2010년보다 3.3%p 늘어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높았습니다.
1995년과 비교해보면요. 25년 만에 14.5%p 늘었습니다.
일단 평균 가구원 수가 줄었고요.
가족끼리 따로따로 사는 경우가 많아진 탓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예전 교과서에서 흔히 보던 아버지, 어머니, 자녀 두 명으로 이뤄진 4인 가구는 이제 1인, 2인, 3인 가구보다 더 드물게 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요.
1인 가구 중에선 30대가 18.3%로 가장 높았고, 70대, 20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질문>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도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요?
<답변>
네, 2015년 기준으로 136만 명입니다.
2010년엔 96만 명이었으니까, 5년 새 40% 넘게 늘었습니다.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였습니다.
10명 중 6명 정도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에 45만 명, 서울엔 34만 명입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계 외국인, 그러니까, 중국 동포, 중국인, 타이완인 등이 51.6%를 차지했습니다.
지난 15년 새 증가폭이 큰 외국인 국적을 살펴보니까요.
미얀마와 캄보디아, 네팔 출신 등이 2~3배 넘는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분석] 인구 5천만 명 돌파…‘1인 가구’ 급증
-
- 입력 2016-09-07 16:02:44
- 수정2016-09-07 17:11:37
<앵커 멘트>
고령화 여파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처음으로 5천만명을 넘어섰습니다.
또, 전체 가구 중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아졌습니다.
통계청이 오늘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경제부 김영인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김영인 기자, 우리나라 인구는 5천만 명, 이렇게 얘기들은 많이 했는데, 이게 공식 통계로 확인된 거군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5,107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4천만 명을 돌파한 지 30년 만에 인구 5천만 명 시대가 열린 겁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5년마다 실시되거든요.
2010년보다 136만 명 늘었습니다.
이렇게 인구가 증가 추세를 보이는 건, 고령화 속도가 빨라진 탓으로 분석됩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13.2%를 차지했습니다.
5년전 보다 121만 명, 2.2%p 증가한 겁니다.
반면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는 691만명으로 5년전에 비해 97만명, 2.3%p 줄었습니다.
전체 인구를 연령별로 세워보면요.
가장 가운데에 해당하는 중위 연령은 41.2세로 처음으로 40세를 넘어섰습니다.
이에 따라 연령별 인구구조도 40, 50대 인구가 가장 많은 항아리형 인구 피라미드 형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질문>
김 기자! 이번에 또 눈에 띄는 조사 결과가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잡은 거라면서요?
<답변>
네, 1인 가구는 520만 가구로 가장 주된 가구유형으로 등장했습니다.
1인 가구 비중은 27.2%로 집계됐는데요.
2010년보다 3.3%p 늘어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높았습니다.
1995년과 비교해보면요. 25년 만에 14.5%p 늘었습니다.
일단 평균 가구원 수가 줄었고요.
가족끼리 따로따로 사는 경우가 많아진 탓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예전 교과서에서 흔히 보던 아버지, 어머니, 자녀 두 명으로 이뤄진 4인 가구는 이제 1인, 2인, 3인 가구보다 더 드물게 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요.
1인 가구 중에선 30대가 18.3%로 가장 높았고, 70대, 20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질문>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도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요?
<답변>
네, 2015년 기준으로 136만 명입니다.
2010년엔 96만 명이었으니까, 5년 새 40% 넘게 늘었습니다.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였습니다.
10명 중 6명 정도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에 45만 명, 서울엔 34만 명입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계 외국인, 그러니까, 중국 동포, 중국인, 타이완인 등이 51.6%를 차지했습니다.
지난 15년 새 증가폭이 큰 외국인 국적을 살펴보니까요.
미얀마와 캄보디아, 네팔 출신 등이 2~3배 넘는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고령화 여파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처음으로 5천만명을 넘어섰습니다.
또, 전체 가구 중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아졌습니다.
통계청이 오늘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경제부 김영인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김영인 기자, 우리나라 인구는 5천만 명, 이렇게 얘기들은 많이 했는데, 이게 공식 통계로 확인된 거군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5,107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4천만 명을 돌파한 지 30년 만에 인구 5천만 명 시대가 열린 겁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5년마다 실시되거든요.
2010년보다 136만 명 늘었습니다.
이렇게 인구가 증가 추세를 보이는 건, 고령화 속도가 빨라진 탓으로 분석됩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13.2%를 차지했습니다.
5년전 보다 121만 명, 2.2%p 증가한 겁니다.
반면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는 691만명으로 5년전에 비해 97만명, 2.3%p 줄었습니다.
전체 인구를 연령별로 세워보면요.
가장 가운데에 해당하는 중위 연령은 41.2세로 처음으로 40세를 넘어섰습니다.
이에 따라 연령별 인구구조도 40, 50대 인구가 가장 많은 항아리형 인구 피라미드 형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질문>
김 기자! 이번에 또 눈에 띄는 조사 결과가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잡은 거라면서요?
<답변>
네, 1인 가구는 520만 가구로 가장 주된 가구유형으로 등장했습니다.
1인 가구 비중은 27.2%로 집계됐는데요.
2010년보다 3.3%p 늘어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높았습니다.
1995년과 비교해보면요. 25년 만에 14.5%p 늘었습니다.
일단 평균 가구원 수가 줄었고요.
가족끼리 따로따로 사는 경우가 많아진 탓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예전 교과서에서 흔히 보던 아버지, 어머니, 자녀 두 명으로 이뤄진 4인 가구는 이제 1인, 2인, 3인 가구보다 더 드물게 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요.
1인 가구 중에선 30대가 18.3%로 가장 높았고, 70대, 20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질문>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도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요?
<답변>
네, 2015년 기준으로 136만 명입니다.
2010년엔 96만 명이었으니까, 5년 새 40% 넘게 늘었습니다.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였습니다.
10명 중 6명 정도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에 45만 명, 서울엔 34만 명입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계 외국인, 그러니까, 중국 동포, 중국인, 타이완인 등이 51.6%를 차지했습니다.
지난 15년 새 증가폭이 큰 외국인 국적을 살펴보니까요.
미얀마와 캄보디아, 네팔 출신 등이 2~3배 넘는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김영인 기자 heemang@kbs.co.kr
김영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