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북 핵실험 어떻게 탐지하나?
입력 2016.09.09 (10:20) 수정 2016.09.09 (10:45) 속보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는북한의 핵 실험, 어떻게 탐지할까요.

다양한 추적 방법이 있는데 지진파와 공중 음파를 통한 탐지가 대표적입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세계 핵실험 움직임을 감시하는 유엔 산하 기구,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기구는 탐지법을 세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우선 지진파입니다.

핵 실험의 파형은 폭발 시점인 초기에 높다가 지속적으로 작아집니다.

블규칙적이고 복잡한 자연 지진의 파형과 확실히 다릅니다.

또 진앙지 깊이도 70km 정도인 자연 지진보다 훨씬 얕은 5km 안쪽 입니다.

공중 음파나 수중 음파도 핵 실험의 증겁니다.

폭발 뒤 강력한 충격파가 대기압을 변화시키고, 이 변화가 공기 중으로 퍼지면서 음파를 만들어내는 겁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때에도 20Hz 이하의 저주파 음파가 감지됐습니다.

여기에다, 대기 중에서 제논, 크립톤 등의 방사능 핵종까지 검출됐다면 핵 폭발은 거의 확실합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지정 관측소인 강원도 원주의 한국지진관측소를 비롯해 전세계 170여 개의 관측소가 이 같은 기준에 따라 북한의 핵실험 동향을 면밀히 관측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 북 핵실험 어떻게 탐지하나?
    • 입력 2016-09-09 10:21:49
    • 수정2016-09-09 10:45:39
    속보
<앵커 멘트>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는북한의 핵 실험, 어떻게 탐지할까요.

다양한 추적 방법이 있는데 지진파와 공중 음파를 통한 탐지가 대표적입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세계 핵실험 움직임을 감시하는 유엔 산하 기구,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기구는 탐지법을 세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우선 지진파입니다.

핵 실험의 파형은 폭발 시점인 초기에 높다가 지속적으로 작아집니다.

블규칙적이고 복잡한 자연 지진의 파형과 확실히 다릅니다.

또 진앙지 깊이도 70km 정도인 자연 지진보다 훨씬 얕은 5km 안쪽 입니다.

공중 음파나 수중 음파도 핵 실험의 증겁니다.

폭발 뒤 강력한 충격파가 대기압을 변화시키고, 이 변화가 공기 중으로 퍼지면서 음파를 만들어내는 겁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때에도 20Hz 이하의 저주파 음파가 감지됐습니다.

여기에다, 대기 중에서 제논, 크립톤 등의 방사능 핵종까지 검출됐다면 핵 폭발은 거의 확실합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지정 관측소인 강원도 원주의 한국지진관측소를 비롯해 전세계 170여 개의 관측소가 이 같은 기준에 따라 북한의 핵실험 동향을 면밀히 관측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