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미국이 북 핵시설만 타격한다면 묵인할 것”
입력 2016.09.20 (14:47)
수정 2016.09.20 (16: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을 타격할 경우 이를 묵인할 방침을 세웠다고 20일 타이완 매체 중국시보가 보도했다.
중국시보는 외교 소식통과 학자들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북한이 붕괴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김정은을 버릴 준비를 마쳤다며 이같이 전했다.
중국의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 체제가 붕괴되지 않는 한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에 대해 '외과수술식' 정밀 타격과 김정은을 제거하는 '참수 작전'을 감행할 경우 중국 측이 이를 묵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올해 초 북한 핵시설을 타격할 계획이 있었지만, 중국 측 입장으로 인해 이를 확정하지 못했다며 그러나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한 후 중국이 입장을 바꿨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그러면서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런민대 스인훙 국제관계학원 교수도 "중국이 고려하는 것은 미국이 어떤 규모로 북한의 핵시설을 타격할 것이냐는 것"이라며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만 타격한다면 중국이 비공식적으로 찬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 교수는 "미국이 북한에 자국 세력을 키우려고 한다면 중국은 반대할 것"이라며 양국 간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진찬룽 런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도 "형(중국)이 아우(북한)를 통제할 수 없어 이미 포기했다"고 말했다.
중국시보는 외교 소식통과 학자들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북한이 붕괴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김정은을 버릴 준비를 마쳤다며 이같이 전했다.
중국의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 체제가 붕괴되지 않는 한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에 대해 '외과수술식' 정밀 타격과 김정은을 제거하는 '참수 작전'을 감행할 경우 중국 측이 이를 묵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올해 초 북한 핵시설을 타격할 계획이 있었지만, 중국 측 입장으로 인해 이를 확정하지 못했다며 그러나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한 후 중국이 입장을 바꿨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그러면서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런민대 스인훙 국제관계학원 교수도 "중국이 고려하는 것은 미국이 어떤 규모로 북한의 핵시설을 타격할 것이냐는 것"이라며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만 타격한다면 중국이 비공식적으로 찬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 교수는 "미국이 북한에 자국 세력을 키우려고 한다면 중국은 반대할 것"이라며 양국 간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진찬룽 런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도 "형(중국)이 아우(북한)를 통제할 수 없어 이미 포기했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미국이 북 핵시설만 타격한다면 묵인할 것”
-
- 입력 2016-09-20 14:47:59
- 수정2016-09-20 16:48:44

중국은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을 타격할 경우 이를 묵인할 방침을 세웠다고 20일 타이완 매체 중국시보가 보도했다.
중국시보는 외교 소식통과 학자들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북한이 붕괴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김정은을 버릴 준비를 마쳤다며 이같이 전했다.
중국의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 체제가 붕괴되지 않는 한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에 대해 '외과수술식' 정밀 타격과 김정은을 제거하는 '참수 작전'을 감행할 경우 중국 측이 이를 묵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올해 초 북한 핵시설을 타격할 계획이 있었지만, 중국 측 입장으로 인해 이를 확정하지 못했다며 그러나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한 후 중국이 입장을 바꿨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그러면서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런민대 스인훙 국제관계학원 교수도 "중국이 고려하는 것은 미국이 어떤 규모로 북한의 핵시설을 타격할 것이냐는 것"이라며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만 타격한다면 중국이 비공식적으로 찬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 교수는 "미국이 북한에 자국 세력을 키우려고 한다면 중국은 반대할 것"이라며 양국 간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진찬룽 런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도 "형(중국)이 아우(북한)를 통제할 수 없어 이미 포기했다"고 말했다.
중국시보는 외교 소식통과 학자들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북한이 붕괴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김정은을 버릴 준비를 마쳤다며 이같이 전했다.
중국의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 체제가 붕괴되지 않는 한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에 대해 '외과수술식' 정밀 타격과 김정은을 제거하는 '참수 작전'을 감행할 경우 중국 측이 이를 묵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올해 초 북한 핵시설을 타격할 계획이 있었지만, 중국 측 입장으로 인해 이를 확정하지 못했다며 그러나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한 후 중국이 입장을 바꿨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그러면서 중국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런민대 스인훙 국제관계학원 교수도 "중국이 고려하는 것은 미국이 어떤 규모로 북한의 핵시설을 타격할 것이냐는 것"이라며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시설만 타격한다면 중국이 비공식적으로 찬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 교수는 "미국이 북한에 자국 세력을 키우려고 한다면 중국은 반대할 것"이라며 양국 간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진찬룽 런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도 "형(중국)이 아우(북한)를 통제할 수 없어 이미 포기했다"고 말했다.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