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전통 문화 계승 10년…전국 유일 가곡전수관
입력 2016.09.23 (06:54) 수정 2016.09.23 (07:32)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시조를 국악 가락에 맞춰 부르는 전통 성악곡인 가곡은 인류무형유산에 지정될 정도로 소중한 문화유산지만 일반인들에게 낯설게 느껴지는데요.
우리나라 전통 가곡을 알리고 있는 가곡전수관이 개관 10년을 맞았습니다.
정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아한 목소리가 공연장에 울려퍼집니다.
관객들은 어느새 끊어질 듯 말듯 이어지는 곡조에 차분하게 귀를 기울입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 '가곡'입니다.
<인터뷰> 조순자(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 "세계에서 가장 느린 음악이 가곡이에요. 마음을 다스리는거기 때문에 이 마음을 평화스럽게 하면 이런 걱정이 없어지는거죠."
가곡 보존에 나서기 위해 가곡전수관이 마산에 세워진 지 어느덧 10년.
전수자를 양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일반인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연과 강좌도 마련해 가곡을 알려 왔습니다.
<인터뷰> 이가은(청소년 국악학교 학생) : "계속 배우다 보니까 가곡의 매력들이 보이는거 같아요. 목소리가 너무 예쁜거 같아요."
10주년 특별 공연에서는 가곡 뿐 아니라 불교 음악인 범패와 판소리, 퓨전국악 등 다양한 우리 소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현옥(창원시 마산회원구) : "처음에는 별로 재미없을거다 좀 칙칙하고 그랬는데 오니까는 그게 아니고 너무 감동적이어서 눈물이 날라 그러더라고."
느림의 미학을 담고 있는 전통 가곡.
소중한 문화유산 보존뿐 아니라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여유를 되찾아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유진입니다.
시조를 국악 가락에 맞춰 부르는 전통 성악곡인 가곡은 인류무형유산에 지정될 정도로 소중한 문화유산지만 일반인들에게 낯설게 느껴지는데요.
우리나라 전통 가곡을 알리고 있는 가곡전수관이 개관 10년을 맞았습니다.
정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아한 목소리가 공연장에 울려퍼집니다.
관객들은 어느새 끊어질 듯 말듯 이어지는 곡조에 차분하게 귀를 기울입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 '가곡'입니다.
<인터뷰> 조순자(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 "세계에서 가장 느린 음악이 가곡이에요. 마음을 다스리는거기 때문에 이 마음을 평화스럽게 하면 이런 걱정이 없어지는거죠."
가곡 보존에 나서기 위해 가곡전수관이 마산에 세워진 지 어느덧 10년.
전수자를 양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일반인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연과 강좌도 마련해 가곡을 알려 왔습니다.
<인터뷰> 이가은(청소년 국악학교 학생) : "계속 배우다 보니까 가곡의 매력들이 보이는거 같아요. 목소리가 너무 예쁜거 같아요."
10주년 특별 공연에서는 가곡 뿐 아니라 불교 음악인 범패와 판소리, 퓨전국악 등 다양한 우리 소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현옥(창원시 마산회원구) : "처음에는 별로 재미없을거다 좀 칙칙하고 그랬는데 오니까는 그게 아니고 너무 감동적이어서 눈물이 날라 그러더라고."
느림의 미학을 담고 있는 전통 가곡.
소중한 문화유산 보존뿐 아니라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여유를 되찾아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유진입니다.
- 전통 문화 계승 10년…전국 유일 가곡전수관
-
- 입력 2016-09-23 06:56:22
- 수정2016-09-23 07:32:19

<앵커 멘트>
시조를 국악 가락에 맞춰 부르는 전통 성악곡인 가곡은 인류무형유산에 지정될 정도로 소중한 문화유산지만 일반인들에게 낯설게 느껴지는데요.
우리나라 전통 가곡을 알리고 있는 가곡전수관이 개관 10년을 맞았습니다.
정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아한 목소리가 공연장에 울려퍼집니다.
관객들은 어느새 끊어질 듯 말듯 이어지는 곡조에 차분하게 귀를 기울입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 '가곡'입니다.
<인터뷰> 조순자(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 "세계에서 가장 느린 음악이 가곡이에요. 마음을 다스리는거기 때문에 이 마음을 평화스럽게 하면 이런 걱정이 없어지는거죠."
가곡 보존에 나서기 위해 가곡전수관이 마산에 세워진 지 어느덧 10년.
전수자를 양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일반인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연과 강좌도 마련해 가곡을 알려 왔습니다.
<인터뷰> 이가은(청소년 국악학교 학생) : "계속 배우다 보니까 가곡의 매력들이 보이는거 같아요. 목소리가 너무 예쁜거 같아요."
10주년 특별 공연에서는 가곡 뿐 아니라 불교 음악인 범패와 판소리, 퓨전국악 등 다양한 우리 소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현옥(창원시 마산회원구) : "처음에는 별로 재미없을거다 좀 칙칙하고 그랬는데 오니까는 그게 아니고 너무 감동적이어서 눈물이 날라 그러더라고."
느림의 미학을 담고 있는 전통 가곡.
소중한 문화유산 보존뿐 아니라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여유를 되찾아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유진입니다.
시조를 국악 가락에 맞춰 부르는 전통 성악곡인 가곡은 인류무형유산에 지정될 정도로 소중한 문화유산지만 일반인들에게 낯설게 느껴지는데요.
우리나라 전통 가곡을 알리고 있는 가곡전수관이 개관 10년을 맞았습니다.
정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아한 목소리가 공연장에 울려퍼집니다.
관객들은 어느새 끊어질 듯 말듯 이어지는 곡조에 차분하게 귀를 기울입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 '가곡'입니다.
<인터뷰> 조순자(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 "세계에서 가장 느린 음악이 가곡이에요. 마음을 다스리는거기 때문에 이 마음을 평화스럽게 하면 이런 걱정이 없어지는거죠."
가곡 보존에 나서기 위해 가곡전수관이 마산에 세워진 지 어느덧 10년.
전수자를 양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일반인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연과 강좌도 마련해 가곡을 알려 왔습니다.
<인터뷰> 이가은(청소년 국악학교 학생) : "계속 배우다 보니까 가곡의 매력들이 보이는거 같아요. 목소리가 너무 예쁜거 같아요."
10주년 특별 공연에서는 가곡 뿐 아니라 불교 음악인 범패와 판소리, 퓨전국악 등 다양한 우리 소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현옥(창원시 마산회원구) : "처음에는 별로 재미없을거다 좀 칙칙하고 그랬는데 오니까는 그게 아니고 너무 감동적이어서 눈물이 날라 그러더라고."
느림의 미학을 담고 있는 전통 가곡.
소중한 문화유산 보존뿐 아니라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여유를 되찾아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유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정유진 기자 truly@kbs.co.kr
정유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