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지금 세계는] 英 어린이, 동전 건전지 삼키는 사고 잇따라
입력 2016.09.23 (07:25) 수정 2016.09.23 (08:31) 뉴스광장
<앵커 멘트>
영국에서는 최근 어린이들이 작고 동그란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건전지를 삼킬 경우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런던 김덕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세살바기 이 어린이는 지난해 집에서 놀다가 치명적인 사고를 당했습니다.
부모가 한 눈을 파는 사이 체중계의 작고 동그란 건전지를 꺼내 삼킨 것입니다.
<인터뷰>산토스(어린이 엄마) : "(체중계는) 내부에 건전지가 있다는 인식을 잘 못 하는 리모컨 같은 거죠."
뒤늦게 이 사실을 안 부모는 병원으로 데려가 수술을 했지만 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건전지가 아이의 식도에 구멍을 낸 것입니다.
실제 작은 이 건전지를 햄 위에 올려 놓자 화학 작용이 시작되더니 2시간 만에 건전지 주변을 새까맣게 태웠습니다.
특히 작은 건전지를 삼킬 경우 내려가지 않은 채 식도 관 주변에 끼일 수 있어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크로스(전문의) : "건전지가 전자 장비를 작동시키듯 어린이 몸속에서 (치명적인)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최근 영국에서 작고 동그란 건전지 사용이 증가하면서 어린이가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 역시 한 달에 한 번 발생할 정도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건전지에 막을 씌우는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영국에서는 최근 어린이들이 작고 동그란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건전지를 삼킬 경우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런던 김덕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세살바기 이 어린이는 지난해 집에서 놀다가 치명적인 사고를 당했습니다.
부모가 한 눈을 파는 사이 체중계의 작고 동그란 건전지를 꺼내 삼킨 것입니다.
<인터뷰>산토스(어린이 엄마) : "(체중계는) 내부에 건전지가 있다는 인식을 잘 못 하는 리모컨 같은 거죠."
뒤늦게 이 사실을 안 부모는 병원으로 데려가 수술을 했지만 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건전지가 아이의 식도에 구멍을 낸 것입니다.
실제 작은 이 건전지를 햄 위에 올려 놓자 화학 작용이 시작되더니 2시간 만에 건전지 주변을 새까맣게 태웠습니다.
특히 작은 건전지를 삼킬 경우 내려가지 않은 채 식도 관 주변에 끼일 수 있어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크로스(전문의) : "건전지가 전자 장비를 작동시키듯 어린이 몸속에서 (치명적인)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최근 영국에서 작고 동그란 건전지 사용이 증가하면서 어린이가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 역시 한 달에 한 번 발생할 정도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건전지에 막을 씌우는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 [지금 세계는] 英 어린이, 동전 건전지 삼키는 사고 잇따라
-
- 입력 2016-09-23 07:28:49
- 수정2016-09-23 08:31:37

<앵커 멘트>
영국에서는 최근 어린이들이 작고 동그란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건전지를 삼킬 경우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런던 김덕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세살바기 이 어린이는 지난해 집에서 놀다가 치명적인 사고를 당했습니다.
부모가 한 눈을 파는 사이 체중계의 작고 동그란 건전지를 꺼내 삼킨 것입니다.
<인터뷰>산토스(어린이 엄마) : "(체중계는) 내부에 건전지가 있다는 인식을 잘 못 하는 리모컨 같은 거죠."
뒤늦게 이 사실을 안 부모는 병원으로 데려가 수술을 했지만 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건전지가 아이의 식도에 구멍을 낸 것입니다.
실제 작은 이 건전지를 햄 위에 올려 놓자 화학 작용이 시작되더니 2시간 만에 건전지 주변을 새까맣게 태웠습니다.
특히 작은 건전지를 삼킬 경우 내려가지 않은 채 식도 관 주변에 끼일 수 있어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크로스(전문의) : "건전지가 전자 장비를 작동시키듯 어린이 몸속에서 (치명적인)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최근 영국에서 작고 동그란 건전지 사용이 증가하면서 어린이가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 역시 한 달에 한 번 발생할 정도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건전지에 막을 씌우는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영국에서는 최근 어린이들이 작고 동그란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건전지를 삼킬 경우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런던 김덕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세살바기 이 어린이는 지난해 집에서 놀다가 치명적인 사고를 당했습니다.
부모가 한 눈을 파는 사이 체중계의 작고 동그란 건전지를 꺼내 삼킨 것입니다.
<인터뷰>산토스(어린이 엄마) : "(체중계는) 내부에 건전지가 있다는 인식을 잘 못 하는 리모컨 같은 거죠."
뒤늦게 이 사실을 안 부모는 병원으로 데려가 수술을 했지만 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건전지가 아이의 식도에 구멍을 낸 것입니다.
실제 작은 이 건전지를 햄 위에 올려 놓자 화학 작용이 시작되더니 2시간 만에 건전지 주변을 새까맣게 태웠습니다.
특히 작은 건전지를 삼킬 경우 내려가지 않은 채 식도 관 주변에 끼일 수 있어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크로스(전문의) : "건전지가 전자 장비를 작동시키듯 어린이 몸속에서 (치명적인)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최근 영국에서 작고 동그란 건전지 사용이 증가하면서 어린이가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 역시 한 달에 한 번 발생할 정도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건전지에 막을 씌우는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덕원 기자 kim0526@kbs.co.kr
김덕원 기자의 기사 모음
-